
000 | 01111camcc2200373 c 4500 | |
001 | 000045668921 | |
005 | 20111004102301 | |
007 | ta | |
008 | 110929s2011 ulk 001c kor | |
020 | ▼a 978899151743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496981 | |
040 | ▼a 211006 ▼c 211006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 ▼2 22 |
085 | ▼a 150 ▼2 DDCK | |
090 | ▼a 150 ▼b 2011z7 | |
100 | 1 | ▼a Bruner, Jerome S. ▼q (Jerome Seymour) ▼0 AUTH(211009)39302 |
245 | 1 0 | ▼a 인간 과학의 혁명 : ▼b 마음, 문화, 그리고 교육 / ▼d Jerome Bruner 지음 ; ▼e 강현석 [외] 옮김 |
246 | 1 9 | ▼a Acts of meaning |
260 | ▼a 서울 : ▼b 아카데미프레스, ▼c 2011 | |
300 | ▼a 220 p. ; ▼c 23 cm | |
500 | ▼a 역자: 강현석, 유제순, 이자현, 김무정, 최영수, 이순옥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Meaning (Psychology) |
650 | 0 | ▼a Cognitive psychology ▼x History |
650 | 0 | ▼a Ethnopsychology |
700 | 1 | ▼a 강현석, ▼e 역 ▼0 AUTH(211009)94962 |
700 | 1 | ▼a 유제순, ▼e 역 ▼0 AUTH(211009)73908 |
700 | 1 | ▼a 이자현, ▼e 역 ▼0 AUTH(211009)136473 |
700 | 1 | ▼a 김무정, ▼e 역 ▼0 AUTH(211009)127922 |
700 | 1 | ▼a 최영수, ▼e 역 |
700 | 1 | ▼a 이순옥,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 2011z7 | 등록번호 1116428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목차
목차 제1장 인간에 관한 적절한 연구 = 23 1. 인지 혁명에 대한 회고 = 24 2. 인지 혁명의 성격과 본래 목적 = 34 3. 문화심리학에 대한 경고 = 38 4. 인간 보편성의 이해: 생물학과 문화의 관련성 = 43 5. 문화심리학의 상대주의 문제 = 47 6. 과학적 심리학의 입장 = 54 제2장 문화 도구로서의 일상심리학 = 57 1. 문화의 도구로서의 일상심리학의 출현 = 58 1) 1장의 요지: 의미의 구성과 관련된 인지 혁명에 대한 논쟁 = 58 2)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근거로서의 문화적 시스템 = 58 3) 인간 행위에 의미를 부여하고 생물학적 한계를 초월하도록 하는 문화 = 59 4) 일상심리학의 출현 = 60 5) 일상심리학의 조직 원리인 내러티브와 의미 만들기 = 61 2. 일상심리학이 등장하기까지의 역사 = 61 1) 일상심리학의 역사 스케치 = 61 2) 민족식물학이나 민족항법에 대한 연구 사례 = 62 3) 사람들 사이의 경험 조직에 대한 연구에 몰두했었던 인류학자들 = 62 4) 문화에 기초한 인류학자들의 연구 사례 = 63 5) "민속방법론"으로 접근하는 민족사회학의 등장 = 63 6) 사회적 실재를 구성하는 문화적 제도 = 64 3. 일상심리학의 구성요소 및 내러티브적 재구성과 능동적 자아 = 65 1) 일상심리학의 구성요소와 내러티브가 구성되는 상황 = 65 2) 일상심리학의 내러티브적 재구성 = 66 3) 경험의 영역 = 67 4) 경험의 두 번째 영역68 5) 능동적인 자아의 개념을 포함하는 일상심리학 = 68 6) 가능한 자아 = 69 7) 일상심리학에서의 능동적인 자아에 관한 사례 = 70 4. 내러티브의 속성과 인간의 모방적 기능 = 70 1) 내러티브의 중요성 = 70 2) 내러티브의 속성 - 계열성 = 71 3) 내러티브의 속성 - 예외적인 관계를 포함 = 72 4) 관습과 전통에 기초한 내러티브 형식 = 73 5) 인간의 준비도(readiness) = 73 6) 모방의 개념 = 74 7) 모방적 기능과 관련된 해석항의 의미 = 75 5. 맥락의 적절성에 맞게 행위하는 인간의 속성 = 76 1) 규범성과 예외성을 동시에 다루는 내러티브 = 76 2) 상황에 따라 행동하도록 기대되는 사람들 = 77 3) 상황적 역할과 대화 속의 함의 = 78 4) 맥락의 적절성에 따라 말하고 행위하는 사람들 = 79 6. 내러티브의 특성 = 80 7. 스토리에서 가정법 = 84 8. 일상심리학의 역할 = 87 9. 언어를 사용하는 한 방법으로서 내러티브 = 91 제3장 의미로 들어가기 = 99 1. 도입: 내러티브 해석의 중요성 = 100 2. 상호작용 도구로서의 언어 = 101 3. 담화 형태로서 내러티브의 특징 = 109 4. 내러티브 실제의 사회화 = 115 5. 내러티브의 활용119 6. 내러티브의 구성주의 기능 발달 = 122 7. 인간 과학과 해석주의: 문화와 내러티브 = 130 제4장 자서전과 자아 = 135 1. 자아의 개념과 자아의 연구에 대한 역사: 내러티브 전회 = 136 2. 자아 연구와 관련한 문화심리학의 기준 = 154 3. 문화심리학에서 바라본 자아와 자아 연구 = 158 4. 자서전과 내러티브 재구성 = 162 5. Goodhertz 가족에 대한 내러티브 = 165 6. 자아 형성과 분산 = 170 7. 자아 구성의 역사적 관점 = 175 8. 결론 = 176 주석 = 179 찾아보기 =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