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정거래법 (2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동훈 김은경, 저 김봉철, 저
서명 / 저자사항
공정거래법 = Competition law / 김동훈, 김은경, 김봉철
발행사항
서울 :   HUFS Books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1  
형태사항
xvi, 482 p. ; 27 cm
ISBN
9788974646806
서지주기
참고문헌(p. xv-xvi)과 색인수록
000 00731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68221
005 20110927201906
007 ta
008 110927s2011 ulk b AU 001c kor
020 ▼a 9788974646806 ▼g 93360
035 ▼a (KERIS)REQ000020558106
040 ▼a 211059 ▼d 211009
082 0 4 ▼a 343.519072 ▼2 22
085 ▼a 343.53072 ▼2 DDCK
090 ▼a 343.53072 ▼b 2011z10
100 1 ▼a 김동훈
245 1 0 ▼a 공정거래법 = ▼x Competition law / ▼d 김동훈, ▼e 김은경, ▼e 김봉철
260 ▼a 서울 : ▼b HUFS Books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c 2011
300 ▼a xvi, 482 p. ; ▼c 27 cm
504 ▼a 참고문헌(p. xv-xvi)과 색인수록
700 1 ▼a 김은경, ▼e
700 1 ▼a 김봉철,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3.53072 2011z10 등록번호 11164262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2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3.53072 2011z10 등록번호 1116426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들은 그동안의 강의 및 연구경험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이를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법과 경제학의 관련성, 외국의 법제도 등을 보완하는 것이 경제법 내지 공정거래법을 좀 더 깊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데 의견일치를 보았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그러한 사항들을 최대한 보완하였으며, 현 시점에서 가장 최신의 관련 판례 및 심결례 그리고 관련 법령을 소개하였다.

현대 경제법의 핵심은 경쟁법이라고 하는 공정거래법이라고 하여도 무리가 없다. 공정거래법에서 현대 각국의 경제 질서를 올바르게 규정하고 적절히 규제하기 위한 기본적인 법원칙 및 제도를 정립하고 있으며, 이를 충실하게 실현하는 것이 현대 경제사회의 합리적이고 공정한 발전을 담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우리 공정거래법은 국제적으로도 별 손색이 없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경제법 총론과 공정거래법만을 대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저자들은 그동안의 강의 및 연구경험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이를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법과 경제학의 관련성, 외국의 법제도 등을 보완하는 것이 경제법 내지 공정거래법을 좀 더 깊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데 의견일치를 보았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그러한 사항들을 최대한 보완하였으며, 현 시점에서 가장 최신의 관련 판례 및 심결례 그리고 관련 법령을 소개하였다. 향후 법령개정 등이 발생하면 최대한 신속하게 개정본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봉철(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을 수석 입학·졸업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학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런던대 킹스칼리지(King’s College London)에서 법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제통상법과 개발협력법 그리고 극지역을 포함한 지역법 문제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Lectures on Korean FTA and Law』(공저), 『Lectures on Korean ODA and Law』(공저), 『Korean FTA: Policy and Law』(공저), 『Korean ODA: Policy and Law』(공저), 『Selected Issues in the EU-Korea Relations』(공저) 등이 있다.

김동훈(지은이)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과 및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chool of Law 연구교수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 한국비교법학회 회장 - 한국법제연구원 자문위원 -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상법개설>(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회사법>(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기업법강의>(공저, 인텔에듀케이션)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경쟁법적 규제” 외 다수

김은경(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 졸업(법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상사법전공(법학석사) 독일 Mannheim Universit?t 졸업(법학박사, Dr. iur.) 경기대학교 대우교수 한국소비자원 분쟁조정위원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주요 참고문헌 = xv 
제1편 총설 = 1 
 제1장 경제체제 = 3 
  제1절 의의 = 3 
   Ⅰ. 형식적 의의의 상법 = 3
   Ⅱ. 내용 = 4
  제2절 자본주의 시장경제질서 = 8 
   Ⅰ. 자유시장경제 질서의 내용 = 8
   Ⅱ. 시장경제의 효율성 = 9
   Ⅲ. 자본주의경제의 한계와 수정 = 9
  제3절 우리나라의 경제질서 = 11 
   Ⅰ. 본질 = 11
   Ⅱ. 기본원칙 = 12
 제2장 경제법의 의의 = 13 
  제1절 개념 = 13 
   Ⅰ. 형성배경 = 13
   Ⅱ. 학설논의 = 14
   Ⅲ. 검토 = 15
  제2절 성질 및 범위 = 17
   Ⅰ. 성질 = 17
   Ⅱ. 실정법적 범위 = 18 
  제3절 구별개념 = 19 
 제3장 경제법의 특징 = 21 
  제1절 공사법의 융합 = 21 
  제2절 시민법적 원리의 수정 = 22 
  제3절 국가경제정책 실현의 수단 = 23 
  제4절 규제의 강행성 = 24 
 제4장 경제법의 지위 = 25 
  제1절 헌법과 경제법 = 25 
  제2절 민상법과 경제법 = 26
   Ⅰ. 민법과 경제법 = 26
   Ⅱ. 상법과 경제법 = 27 
  제3절 행정법과 경제법 = 28 
  제4절 형법과 경제법 = 29 
  제5절 노동법과 경제법 = 30 
  제6절 국제경제법과 경제법 = 32 
 제5장 경제법의 규제 방법 = 35 
  제1절 규제의 유형 = 35 
  제2절 규제의 대상 = 35 
  제3절 규제의 기능 = 36 
  제4절 규제의 방법 = 37 
   Ⅰ. 권력적ㆍ강제적 규제 = 37
   Ⅱ. 비권력적 규제 = 39
 제6장 경제법의 동향 = 42 
제2편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 45
 제1장 공정거래법 서설 = 47 
  제1절 공정거래법의 의의 = 47
   Ⅰ. 개념 = 47
   Ⅱ. 필요성 = 48 
  제2절 공정거래법의 목적 = 49
   Ⅰ. 1차적 목적과 최종목적 = 49
   Ⅱ. 내용 = 51
  제3절 공정거래법의 성격 = 53
   Ⅰ. 사법체계 기본원리의 수정 = 53
   Ⅱ. 소비자의 권익 보호 = 54
   Ⅲ. 위임입법주의 = 54
   Ⅳ. 규제의 한계 = 55
  제4절 공정거래법의 체계와 규제형태 = 55
   Ⅰ. 규제의 종류 = 55
   Ⅱ. 공정거래제도의 주요내용 = 60 
  제5절 공정거래법의 연혁 = 63
   Ⅰ. 우리나라의 공정거래제도의 도입 = 63
   Ⅱ. 공정거래법의 개정경과 = 65
  제6절 주요국의 공정거래법 = 73
   Ⅰ. 미국(반트러스트법) = 73
   Ⅱ. 독일(경쟁제한방지법) = 77
   Ⅲ. 영국(독점법) = 80
   Ⅳ. EU = 82
   Ⅴ. 일본(사적독점금지법) = 85
   Ⅵ. 중국(반독점법) = 88
 제2장 공정거래법의 기본관념 = 89 
  제1절 시장과 경쟁 = 89
   Ⅰ. 시장의 의의 = 89
   Ⅱ. 완전경쟁시장과 비경쟁시장 = 90
   Ⅲ. 유효경쟁시장 = 92
   Ⅳ. 구조기준과 성과기준(하버드학파와 시카고학파) = 94 
  제2절 일정한 거래 분야 = 100
   Ⅰ. 개념 = 100
   Ⅱ. 시장의 획정 = 101
  제3절 경쟁의 실질적 제한 = 107
   Ⅰ. 경쟁의 개념 = 107
   Ⅱ. 경쟁의 실질적 제한 = 107 
   Ⅲ. 경쟁의 부당한 제한 = 110
   Ⅳ. 공정한 거래를 저해할 우려 = 111
  제4절 당연위법의 원칙과 합리성의 원칙 = 112 
 제3장 공정거래법의 적용범위 = 117 
  제1절 적용대상 = 117
   Ⅰ. 사업자와 사업자단체 = 117
   Ⅱ. 국가 기타의 공법인 = 123
   Ⅲ. 특수관계인 = 123
  제2절 적용범위의 축소 - 적용제외 = 126
   Ⅰ. 의의 및 유형 = 126
   Ⅱ. 다른 법령에 기한 정당한 행위 = 128
   Ⅲ. 무체재산권의 행사행위 = 131
   Ⅳ. 소규모조합의 행위 = 134
   Ⅴ. 적용제외의 한계 = 135
  제3절 적용 범위의 확대 - 역외적용 = 136
   Ⅰ. 의의 = 136
   Ⅱ. 이론적 근거 = 137
   Ⅲ. 공정거래법상의 역외적용규정 = 139
 제4장 시장 지배적 지위의 남용 = 143 
  제1절 규제의 취지 = 143 
  제2절 시장지배적 사업자 = 147
   Ⅰ. 개념 = 147
   Ⅱ. 요건 = 147
  제3절 시장지배적 지위남용행위 = 153
   Ⅰ. 개관 = 153
   Ⅱ. 금지행위의 유형 = 155
   Ⅰ. 필수설비이론의 의의 = 167
   Ⅱ. 공정거래법상 필수설비이론 = 168
  제4절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 171
   Ⅰ. 행정적 제재 = 171
   Ⅱ. 민사적 제재 = 173
   Ⅲ. 형사적 제재 = 173
  제5절 독과점적 시장구조의 개선 = 174 
 제5장 기업결합의 제한 = 175 
  제1절 개관 = 175 
  제2절 기업결합 규제의 의의 = 176
   Ⅰ. 개념 및 규제취지 = 176
   Ⅱ. 기업결합이 유형 = 178 
  제3절 기업결합의 제한 = 183
   Ⅰ. 결합의 당사자 = 183
   Ⅱ. 경쟁제한적 기업결합이 금지 = 184
  제4절 기업결합의 신고 = 200
   Ⅰ. 제도의 취지 = 200
   Ⅱ. 신고의무 = 201
   Ⅲ. 신고시기 = 203
   Ⅳ. 신고절차 = 205
  제5절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 206
   Ⅰ. 행정적 제재 = 206
   Ⅱ. 민사적 제재 = 210
   Ⅲ. 형사적 제재 = 211
 제6장 경제력 집중의 억제 = 212 
  제1절 개관 = 212
   Ⅰ. 규제의 취지 = 212
   Ⅱ. 규제의 경과 = 213
   Ⅲ. 규제의 성격과 체계 = 217
  제2절 지주회사의 규제 = 218
   Ⅰ. 개관 = 218
   Ⅱ. 규제대상 = 220
   Ⅲ. 설립 및 전환 = 223
   Ⅳ. 행위의 제한 = 225
   Ⅴ. 탈법행위의 금지 = 230
   Ⅵ. 법 위반의 효과 = 231
  제3절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등에 대한 규제 = 233
   Ⅰ. 개관 = 233
   Ⅱ. 상호출자의 금지 = 242
   Ⅲ. 채무보증의 제한 = 245
   Ⅳ.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 = 249
   Ⅴ. 대규모내부거래의 이사회결의 및 공시 = 252
   Ⅵ. 공시 = 256
   Ⅶ. 신고 및 감사 = 260
   Ⅷ. 탈법행위 금지 = 260
   Ⅸ. 법 위반의 효과 = 261
 제7장 부당한 공동행위의 제한 = 264 
  제1절 규제의 취지 = 264
   Ⅰ. 부당한 공동행위의 의의 = 264
   Ⅱ. 규제 개관 = 266
  제2절 부당한 공동행위의 금지 = 267
   Ⅰ. 부당한 공동행위의 의의 = 267
   Ⅱ. 금지행위의 유형 = 279
   Ⅲ. 행정지도에 따른 공동해위 = 295
  제3절 인가에 의한 예외적 허용 = 299
   Ⅰ. 취지 = 299
   Ⅱ. 인가의 요건 = 300
   Ⅲ. 인가의 한계 = 302
   Ⅳ. 실시상황의 보고의무 = 303
  제4절 법 위반행위의 효과 = 304
   Ⅰ. 행정적 제재 = 304
   Ⅱ. 민사적 제재 = 309 
   Ⅲ. 형사적 제재 = 309
 제8장 불공정한 거래의 금지 = 310 
  제1절 서설 = 310
   Ⅰ. 규제의 취지 = 310
   Ⅱ. 규제방식 = 311
   Ⅲ. 규제의 체계 = 311
  제2절 불공정거래행위의 의의 = 313
   Ⅰ. 개념 = 313
   Ⅱ. 불공정거래행위의 유형화 = 316 
   Ⅲ. 다른 불공정거래쥬제와의 관계 = 317
  제3절 일반 불공정거래행위 = 320
   Ⅰ. 개관 = 320
   Ⅱ. 거래거절 = 322
   Ⅲ. 차별적 취급 = 325
   Ⅳ. 경쟁사업자 배제 = 328
   Ⅴ. 부당한 고객유인 = 331
   Ⅵ. 거래강제 = 334
   Ⅶ. 거래상 지위의 남용 = 338
   Ⅷ. 구속조건부 거래 = 345
   Ⅸ. 사업활동의 방해 = 349
   Ⅹ. 부당한 자금ㆍ자산ㆍ인력의 지원 = 352
   XI.  기타 공정한 거래를 저해할 우려 있는 행위 = 358
  제4절 특수불공정거래행위 = 358
   Ⅰ. 개관 = 358
   Ⅱ. 경품류 제공에 관한 고시 = 360
   Ⅲ. 대규모소매업에 관한 고시 = 365
   Ⅳ. 병행수입에 관한 고시 = 374
   Ⅴ. 신문업에 관한 고시 = 377 
  제5절 법위반의 효과 = 384
   Ⅰ. 행정적 제재 = 384
   Ⅱ. 민사적 제재 = 385
   Ⅲ. 형사적 제재 = 385
 제9장 사업자단체ㆍ재판매가격 유지행위ㆍ부당한 국제계약 = 386 
  제1절 사업자단체에 대한 규제 = 386
   Ⅰ. 개관 = 386
   Ⅱ. 사업자단체의 의의 = 387
   Ⅲ. 사업자단체의 금지행위 및 예외적 허용 = 390
   Ⅳ. 사업자단체 활동지침 = 401
   Ⅴ. 법 위반의 효과 = 402
  제2절 재판매가격 유지행위의 제한 = 403
   Ⅰ. 의의 = 403
   Ⅱ. 재판매가격 유지행위의 금지와 예외 = 408
   Ⅲ. 재판매가격 유지의 수정 = 415
   Ⅳ. 법 위반의 효과 = 415
  제3절 부당한 국제계약 체결의 제한 = 417
   Ⅰ. 국제계약체결 제한의 취지 = 417
   Ⅱ. 적용대상 = 418
   Ⅲ. 계약체결의 심사 = 420
  제4절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 421
   Ⅰ. 행정적 제재 = 421
   Ⅱ. 민사적 제재 = 422
   Ⅲ. 형사적 제재 = 422
 제10장 법집행기관 및 사건처리절차 = 423 
  제1절 공정거래위원회 = 423
   Ⅰ. 설치 = 423
   Ⅱ. 조직 = 424
   Ⅲ. 회의 = 425
  제2절 한국공정거래조정원 = 427
   Ⅰ.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의 설치 = 427
   Ⅱ. 공정거래분쟁조정협의회 = 427
  제3절 사건처리절차 = 431
   Ⅰ. 조사 및 심사절차 = 431
   Ⅱ. 심의절차 = 436
   Ⅲ. 의사절차 = 439
   Ⅳ. 불복절차 = 443
 제11장 위반에 대한 제재 및 구제 = 445 
  제1절 행정적 제재 = 445
   Ⅰ. 시정조치 = 445
   Ⅱ. 과징금 = 447
   Ⅲ. 과태료 = 452
  제2절 민사적 구제 = 453
   Ⅰ. 손해배상 = 453
   Ⅱ. 법 위반행위의 사법상 효과 = 459
   Ⅲ. 사인의 정지청구 = 461
  제3절 형사적 제재 = 462
   Ⅰ. 형벌 = 462 
   Ⅱ. 고발 = 463
 제12장 보칙 = 466
   Ⅰ. 비밀엄수의 의무 = 466
   Ⅱ. 경쟁제한적인 법령제정의 협의 등 = 466
   Ⅲ. 업무협조 = 467
   Ⅳ. 권한의 위임 = 467
   Ⅴ. 포상금의 지금 = 467
   Ⅵ. 벌칙 적용에서의 공무원 의제 = 468
찾아보기 = 469 
판례/심결례 찾아보기 = 477

관련분야 신착자료

강경태 (2023)
Kettemann, Matthias C. (2022)
최원목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