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11n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68206 | |
005 | 20110927172404 | |
007 | ta | |
008 | 110927s2011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86913903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70.18 ▼2 22 |
085 | ▼a 070.18 ▼2 DDCK | |
090 | ▼a 070.18 ▼b 2011 | |
100 | 1 | ▼a 유현석 |
245 | 1 0 | ▼a 다큐멘터리 이론과 실제 / ▼d 유현석 |
246 | 1 1 | ▼a Documentary theory & practice |
260 | ▼a 서울 : ▼b 차송, ▼c 2011 | |
300 | ▼a 231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25-231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18 2011 | 등록번호 1116425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에서 다큐멘터리 분야는 1980년대 도입된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의 등장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다큐멘터리라 지칭하는 영상물의 상당수는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경계에 위치한 영상물이다. 그러면 과연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저자는 이 책에서 이러한 질문에 답을 찾고자 했다. 내용은 크게 1부와 2부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다큐멘터리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 즉 다큐멘터리 학자들의 관점과 다큐멘터리의 기능, 역사와 세부 장르별 특성 등에 관해 논의하고 최근에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리얼리티 쇼와 다큐소프(docu-soap)에 관해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저자가 <신문과 방송>에 연재한 글들 중 실제 국내 지상파 방송에서 방송된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제 방송프로그램을 비교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엮었다.
1920년대 그리어슨이 플래허티의 <모아나(Moana)>를 보고 ‘기록할 만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라고 한 데서 유래한 다큐멘터리라는 용어의 정의는 작가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 왔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사실적인 것을 기록하여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상물이라는 데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다큐멘터리 분야는 1980년대 도입된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의 등장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다큐멘터리라 지칭하는 영상물의 상당수는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경계에 위치한 영상물이다.
그러면 과연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저자는 이 책에서 이러한 질문에 답을 찾고자 했다. 내용은 크게 1부와 2부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다큐멘터리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 즉 다큐멘터리 학자들의 관점과 다큐멘터리의 기능, 역사와 세부 장르별 특성 등에 관해 논의하고 최근에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리얼리티 쇼와 다큐소프(docu-soap)에 관해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저자가 <신문과 방송>에 연재한 글들 중 실제 국내 지상파 방송에서 방송된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제 방송프로그램을 비교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엮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서문 = 4 1부. 다큐멘터리에 대한 이해 1장. 다큐멘터리의 기능 = 15 1. 들어가며 = 15 2. 다큐멘터리의 기원과 다큐멘터리에 대한 정의를 둘러싼 논란 = 16 3. 다큐멘터리의 기능적 다양성 = 21 4. 맺음말 = 39 2장. 다큐멘터리의 다양한 제작방식 = 43 1. 들어가며 = 43 2. 다큐멘터리에서 진실을 추구하는 방법과 방법론의 한계 = 47 3. 다양한 차원의 리얼리티 = 60 4. 맺음말 = 67 3장. 민속지학 다큐멘터리(ethnographic documentary) = 69 1. 들어가며 = 69 2. 초창기 민속지학 다큐멘터리 = 70 3. 1960∼70년대, 민속지학적 다큐멘터리에 대한 관심과 확산 = 77 4. 민속지학 다큐멘터리의 변화 방향 = 80 5. 맺음말 = 85 4장. 비디오 저널리스트 다큐멘터리(video journalist documentary) = 87 1. 들어가며 = 87 2. VJ의 형성 과정 = 88 3. 맺음말 = 94 5장. 뉴스 릴 다큐멘터리 = 97 1. 들어가며 = 97 2. 뉴스 릴의 발달과정 = 99 3. 뉴스 릴과 이데올로기 = 103 4. 맺음말 : 텔레비전의 등장과 뉴스 릴 = 108 6장. 체험 다큐멘터리(experience documentary) = 111 1. 들어가며 = 111 2. 체험 다큐멘터리와 액티비스트(activist) 다큐멘터리 = 113 3. 체험 다큐멘터리의 사례 = 116 4. 맺음말 = 129 7장. 다큐멘터리, 다큐소프(docu-soap) 그리고 리얼리티 쇼에서 보여주는 현실과 진실들 = 133 1. 들어가며 = 133 2. 다큐멘터리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차원의 현실들(realities)과 진실들(truths) = 136 3. 다큐소프(docu-soap)와 리얼리티 프로그램 = 145 4. 맺음말 = 154 2부. 국내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비평 〈아시아 리포트〉〈리얼TV〉〈인간극장〉〈VJ특공대〉 그리고 VJ의 실종 = 159 의학 다큐멘터리의 경계선 = 167 탐사보도 다큐멘터리에 관한 소고 :〈추적 60분〉과〈이영돈 PD의 소비자 고발〉 = 173 페이크 다큐멘터리(fake documentary)에 관한 소고 = 179 다큐멘터리 3일 = 187 프로그램 개편 시즌에 즈음하여 = 193 BBC의 광우병 보도 = 199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관한 소고 = 205 KBS 1TV의 아시아 투데이를 보고 : 뉴스 매거진, VJ, 다큐멘터리,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세 가지 방식에 관하여 = 211 다큐멘터리의 스타마케팅 = 219 참고문헌 =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