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Loan 20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현석, 저 김동석, 저 김보엽, 저 박균열, 저 박정주, 저 반상진, 저 변기용, 저 안선회, 저 양성관, 저 엄준용, 저 이강, 저 이경호, 저 이일권, 저 이정진, 저 전상훈, 저 조흥순, 저
Title Statement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신현석 [외]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0   (2013)  
Physical Medium
573 p. : 삽화 ; 26 cm
ISBN
9788963304953
General Note
공저자: 김동석, 김보엽, 박균열, 박정주, 반상진, 변기용, 안선회, 양성관, 엄준용, 이강, 이경호, 이일권, 이정진, 전상훈, 조흥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51-569)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68065
005 20170613183536
007 ta
008 110926s2010 ulka b 001c kor
020 ▼a 9788963304953 ▼g 93370
035 ▼a (KERIS)BIB000012269533
040 ▼a 225013 ▼c 225013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71.2 ▼2 23
085 ▼a 371.2 ▼2 DDCK
090 ▼a 371.2 ▼b 2010z7
245 2 0 ▼a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d 신현석 [외] 공저
246 1 1 ▼a Educational administiation & educational management
246 3 1 ▼a Educational administiation and educational management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0 ▼g (2013)
300 ▼a 573 p. : ▼b 삽화 ; ▼c 26 cm
500 ▼a 공저자: 김동석, 김보엽, 박균열, 박정주, 반상진, 변기용, 안선회, 양성관, 엄준용, 이강, 이경호, 이일권, 이정진, 전상훈, 조흥순
504 ▼a 참고문헌(p. 551-569)과 색인수록
700 1 ▼a 신현석, ▼e▼0 AUTH(211009)88842
700 1 ▼a 김동석, ▼e
700 1 ▼a 김보엽, ▼e
700 1 ▼a 박균열, ▼e
700 1 ▼a 박정주, ▼e
700 1 ▼a 반상진, ▼e▼0 AUTH(211009)66254
700 1 ▼a 변기용, ▼e
700 1 ▼a 안선회, ▼e
700 1 ▼a 양성관, ▼e
700 1 ▼a 엄준용, ▼e
700 1 ▼a 이강, ▼e
700 1 ▼a 이경호, ▼e
700 1 ▼a 이일권, ▼e
700 1 ▼a 이정진, ▼e
700 1 ▼a 전상훈, ▼e
700 1 ▼a 조흥순,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1.2 2010z7 Accession No. 1116618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 2010z7 Accession No. 1116430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 2010z7 Accession No. 1116618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 2010z7 Accession No. 1116624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교육행정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창의적 문제의식을 갖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집필되었다.
모두 5부 16장으로 구성되어, 제1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입문’에서는 교육행정의 개념과 영역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을 역사적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제2부 ‘교육행정의 주요 이론’에서는 조직론, 동기이론, 지도성이론 및 의사결정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제3부 ‘교육행정의 실제’에서는 교육정책, 교육법규, 교육제도 및 교육행정조직, 교육인사행정, 교육재정 및 교육경제에 대한 기초 개념과 제도적 실제를 살펴보았다. 제4부 ‘교육경영의 실제’에서는 학교행정에서 행해지는 주요 활동인 자율 장학, 혁신전략, 갈등관리, 학교·학급 경영의 개념과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제5부 ‘교육행정의 과제’에서는 사회변화 추세를 다섯 가지로 요약하고, 그에 따른 변화, 우리나라 교육행정의 과제를 조망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신현석(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Wisconsin 대학교 대학원 교육행정학과 졸업(Ph.D) 한국교육정치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역임 교육부 대학발전기획단장, 정책숙려제위원장, 정책자문위원 역임 고려대학교 기획예산처장, 사범대학 학장 및 교육대학원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 주요저서 한국의 교육개혁정책(학지사, 2000) 한국 공교육의 새로운 구상과 전략(공저, 집문당, 2003)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학지사, 2005) 한국의 교원정책(학지사, 2010) 한국 교육개혁의 정치학(공저, 학지사, 2014) 한국의 대학평가(공저, 학지사, 2020)

안선회(지은이)

한경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수료 현) 도시원예연구소 연구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입문
 제1장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기초 / 김동석 = 17
  1.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개념 = 18
   1) 교육행정의 개념 = 18
   2) 교육경영의 개념 = 20
  2. 교육행정의 영역 = 28
   1) 교육행정의 기능 = 29
   2) 교육행정의 단위 = 33
   3) 교육행정의 대상 = 35
  3. 교육행정의 특성 = 36
   1) 교육행정의 성격 = 36
   2) 교육행정의 규범적 원리 = 42
   3) 교육행정학 학습의 유용성 = 46
 제2장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 양성관 = 53
  1. 고전이론 = 54
   1) 과학적 관리론 = 54
   2) 과학적 관리론과 교육행정 = 57
   3) 행정가 관리론 = 58
   4) 행정가 관리론과 교육행정 = 60
   5) 관료제론 = 61
   6) 관료제론과 교육행정 = 62
  2. 인간관계론 = 64
   1) Follet의 조직심리연구 = 64
   2) Mayo와 Roethlisberger의 호손실험 = 65
   3) 인간관계론과 교육행정 = 68
  3. 행동과학론 = 69
   1) 조직이론화 운동 = 70
   2) 사회체계이론 = 72
   3) 개방체계와 교육행정 = 73
   4) 사회체계이론과 학교조직 = 75
  4. 대안적 관점: 전문적 학습 공동체 = 77
   1) 학습조직과 배움의 공동체 = 78
   2) 전문적 학습 공동체 = 79
제2부 교육행정의 주요 이론
 제3장 조직론 / 조흥순 = 87
  1. 조직 이해의 기초 = 88
   1) 조직의 개념과 특성 = 88
   2) 조직의 주요 요소 = 89
   3) 조직의 형태 = 91
  2. 조직유형론 = 94
   1) Blue와 Scott의 수혜자 유형 = 94
   2) Parsons의 사회적 기능 유형 = 95
   3) Carlson의 봉사조직 유형 = 95
   4) Etzioni의 순응 유형 = 96
  3. 조직구조론 = 97
   1) Weber의 관료제이론 = 98
   2) Mintzberg의 구조이론 = 100
  4. 조직 문화ㆍ풍토론 = 102
   1) 조직 문화 및 풍토의 개념과 의의 = 102
   2) Ouchi의 Z이론 = 103
   3) Steinhoff와 Owens의 학교문화 유형론 = 104
   4) Sethia와 Glinow의 문화유형론 = 105
   5) Halpin과 Croft의 학교풍토론 = 106
   6) Willower 등의 학교풍토론 = 108
   7) Miles의 조직건강론 = 109
  5. 조직 성장ㆍ개발론 = 110
   1) Greiner의 조직성장론 = 110
   2) Owens와 Steinhoff의 조직개발론 = 111
  6. 학교조직의 특성 = 113
   1)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 113
   2) 전문관료제로서의 학교 = 114
   3) 조직화된 무정부로서의 학교 = 115
   4) 이완결합체제로서의 학교 = 116
   5) 이중조직으로서의 학교 = 117
   6)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 118
 제4장 동기이론 / 이일권 = 123
  1. 동기의 개념 = 124
  2. 동기의 내용이론 = 125
   1) 욕구위계이론 = 125
   2) 생존ㆍ관계ㆍ성장이론 = 127
   3) 동기-위생이론 = 129
   4) X-Y이론 = 133
   5) 미성숙-성숙이론 = 135
  3. 동기의 과정이론 = 136
   1) 기대이론 = 136
   2) 성취-만족이론 = 138
   3) 공정성이론 = 140
   4) 목표설정이론 = 142
  4. 동기이론의 시사점 = 144
 제5장 지도성이론 / 이정진 = 149
  1. 지도성의 개념 = 150
   1) 지도성의 정의 = 150
   2) 지도성연구에 대한 접근방법 = 152
  2. 지도성 특성이론 = 153
  3. 지도성 행동이론 = 154
   1) 아이오와대학교 연구 = 154
   2)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연구 = 155
   3) 관리망 = 156
  4. 지도성 상황이론 = 158
   1) 상황적합적 지도성 = 158
   2) 경로-목표이론 = 160
   3) 3차원 지도성 효과이론 = 161
   4) 상황적 지도성이론 = 162
  5. 최근의 지도성이론 = 164
   1) 변혁적 지도성 = 164
   2) 분산적 지도성 = 166
   3) 수업지도성 = 167
   4) 그 외의 지도성 = 169
 제6장 의사결정이론 / 엄준용 = 173
  1. 의사결정의 개념 = 174
   1) 의사결정의 개념 및 의의 = 174
   2) 의사결정의 유형 = 175
   3) 의사결정의 과정 = 176
  2. 의사결정의 주요 모형 = 178
   1) 합리모형 = 178
   2) 만족모형 = 179
   3) 점증모형 = 180
   4) 혼합모형 = 181
   5) 쓰레기통모형 = 182
  3. 의사결정과 참여 = 183
   1) 의사결정에서의 참여 = 183
   2) 의사결정의 참여 모형 = 184
  4. 의사소통 = 191
   1) 의사소통의 개념 및 기능 = 191
   2) 의사소통의 과정, 유형 및 형태 = 192
   3) 의사소통의 주요 기법 : 조하리의 창 = 197
   4) 의사소통의 장애요인 및 개선방안 = 199
제3부 교육행정의 실제 
 제7장 교육정책 / 변기용 = 209
  1. 교육정책의 이해 = 210
   1) 교육정책의 개념과 특성 = 210
   2) 교육정책의 유형 = 212
   3) 교육정책과 환경변화 = 215
  2. 교육정책의 과정 = 216
   1) 교육정책과정의 개관 = 216
   2) 교육정책 의제설정 = 218
   3) 교육정책의 결정 = 219
   4) 교육정책의 집행 = 221
   5) 교육정책의 평가 및 환류 = 223
  3. 교육정책의 주요 참여자 = 224
   1) 공식적 참여자 = 225
   2) 비공식적 참여자 = 228
  4. 교육정책 사례 분석: 학급당 학생 수 감축 정책 = 230
  5. 학교행정가와 교육정책 = 234
 제8장 교육법규 / 김보엽 = 239
  1. 교육행정과 교육법규 = 240
   1) 교육법규의 의미와 성격 = 240
   2) 교육법규의 법원과 분류 = 241
   3) 교육법의 기본원리 = 243
  2. 교육법규의 주요 내용 = 245
   1) 기본법 = 245
   2) 학교교육에 관한 법 = 246
   3) 평생교육에 관한 법 = 249
   4) 사립학교에 관한 법 = 250
   5) 학교 규칙 = 251
  3. 교육 당사자의 교육권과 의무 = 252
   1) 교육권의 개념 = 252
   2) 학생의 학습권과 의무 = 253
   3) 부모 등 보호자의 교육권과 의무 = 255
   4) 교사의 교육권과 의무 = 256
   5) 학교 설립자ㆍ경영자의 교육권리권과 의무 = 256
   6) 국가의 교육권과 의무 = 257
   7) 교육당사자 간 교육권의 법적 관계와 갈등 조정 = 258
   8) 국민의 알 권리와 교육정보 공시 = 259
  4. 학교사고의 책임과 구제 = 261
   1) 학교사고의 개념 및 내용 = 261
   2) 학교사고의 배상 책임 = 262
   3) 학교사고의 피해자 구제 = 264
 제9장 교육제도 및 교육행정조직 / 이강 = 267
  1. 학교제도 = 268
   1) 교육제도와 학제와의 관계 = 268
   2) 학교제도의 개념 = 268
   3) 학제의 유형 = 270
   4) 현행 학제의 구조 = 270
   5) 현행 학제의 문제점과 개편방향 = 273
  2. 중앙교육행정조직과 지방교육행정조직 = 274
   1) 중앙교육행정조직 = 274
   2) 지방교육행정조직 = 276
  3. 지방교육자치제도 = 280
   1) 지방교육자치의 개념 = 280
   2) 지방교육자치의 법적 근거 = 283
   3) 교육의 자주성ㆍ전문성ㆍ정치적 중립성과 교육자치 = 284
   4)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연혁과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 = 288
 제10장 교육인사행정 / 안선희 = 299
  1. 교육인사행정의 기초 = 300
   1) 교육인사행정의 개념 및 영역 = 300
   2) 교육인사행정의 원리 = 301
   3) 교육인사행정 관계 법령과 기구 = 304
   4) 교육직원의 분류 = 305
  2. 교원의 임용 직전단계 인사행정 = 307
   1) 교원의자격 = 307
   2) 교원 수급계획 = 312
   3) 교원의 양성 = 314
   4) 교원의 선발과 신규채용 = 315
  3. 교원 현직단계 교육력 신장 = 321
   1) 교원의 연수 = 321
   2) 교원의 승진(근무평정 포함) = 323
   3) 교장의 임용 = 329
   4) 교원의 전직 전보 = 330
   5) 교원능력개발평가 = 334
   6) 수석교사제 = 336
  4. 교원의 사기 앙양 = 338
   1) 교원의 권리와 의무 = 338
   2) 교원의 보수와 성과급 = 340
   3) 단체교섭 = 343
   4) 교원의 휴직 = 346
 제11장 교육재정 및 교육경제 / 반상진 = 351
  1. 교육재정 = 352
   1) 교육재정의 의미와 특성 = 352
   2) 교육재정의 성격과 특성 = 356
   3) 교육재정의 구조와 특징 = 359
   4) 교육재정의 규모 = 367
  2. 교육경제 = 375
   1) 교육경제의 이론적 기초 = 375
   2) 교육비용의 구조 = 378
   3) 투자로서의 교육 = 381
제4부 학교경영의 실제 
 제12장 자율 장학 / 박정주 = 399
  1. 장학의 이해 = 400
   1) 장학의 정의 = 400
   2) 장학 개념의 변화 = 402
  2. 자율 장학의 유형 = 405
   1) 교내 자율 장학 = 406
   2) 지구별 자율 장학 = 409
   3) 학교 컨설팅 = 410
  3. 자율 장학 행정 = 411
   1) 장학 지도력의 권위 = 411
   2) 장학 행정의 발전 방향 = 413
 제13장 혁신전략 / 전상훈 = 419
  1. 학교경영의 혁신 = 420
  2. 혁신모형과 전략 = 423
   1) 혁신모형 = 423
   2) 혁신전략 = 436
  3. 학교경영의 혁신 사례 = 439
   1) 학교단위 책임경영 = 439
   2) 교장공모제 = 440
   3) 학교자율화 = 442
 제14장 갈등관리 / 박균열 = 447
  1. 갈등의 이해 = 448
   1) 갈등의 정의와 성격 = 448
   2) 갈등의 유형 = 449
  2. 갈등관리 전략 = 451
  3. 집단갈등 관리 사례 = 454
   1) 현장 정책 사례 1(교원평가) = 454
   2) 현장 정책 사례 2(교원성과급) = 456
   3) 현장 정책 사례 3(학부모 동원) = 457
 제15장 학교ㆍ학급 경영 / 이경호 = 461
  1. 학교경영 = 462
   1) 학교경영의 이해 = 462
   2) 학교경영의 실제 = 463
   3) 학교경영의 평가 = 472
  2. 학급경영 = 478
   1) 학급경영의 이해 = 478 
   2) 학급경영의 실제 = 482
   3) 학급경영의 평가 = 489
제5부 교육행정의 과제 
 제16장 사회변화와 한국 교육행정의 과제 / 신현석 = 499
  1. 탈근대화와 교육행정 = 500
   1) 탈근대화 = 500
   2) 교육행정의 과제 = 501
  2. 지식기반사회화와 교육행정 = 503
   1) 지식기반사회화 = 503
   2) 교육행정의 과제 = 504
  3. 평생학습사회화와 교육행정 = 505
   1) 평생학습사회화 = 505
   2) 교육행정의 과제 = 506
  4. 유비쿼터스화와 교육행정 = 507
   1) 유비쿼터스화 = 507
   2) 교육행정의 과제 = 508
  5. 글로벌화와 교육행정 = 510
   1) 글로벌화 = 510
   2) 교육행정의 과제 = 511
기출문제 = 517
참고문헌 = 551
찾아보기 = 57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