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 사회주의를 넘어서 (2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orz, Andre 이현웅, 역
서명 / 저자사항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 사회주의를 넘어서 / 앙드레 고르 지음 ; 이현웅 옮김
발행사항
파주 :   생각의나무,   2011  
형태사항
293 p. ; 20 cm
원표제
Adieux au proletariat
ISBN
9788996693604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일반주제명
Socialism Capitalism Proletariat
000 00859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667956
005 20110926102159
007 ta
008 110924s2011 ggk b 001c kor
020 ▼a 9788996693604 ▼g 03300
035 ▼a (KERIS)BIB000012532641
040 ▼a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335 ▼2 22
085 ▼a 335 ▼2 DDCK
090 ▼a 335 ▼b 2011z1
100 1 ▼a Gorz, Andre ▼0 AUTH(211009)61127
245 1 0 ▼a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 ▼b 사회주의를 넘어서 / ▼d 앙드레 고르 지음 ; ▼e 이현웅 옮김
246 1 9 ▼a Adieux au proletariat
260 ▼a 파주 : ▼b 생각의나무, ▼c 2011
300 ▼a 293 p. ; ▼c 20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650 0 ▼a Socialism
650 0 ▼a Capitalism
650 0 ▼a Proletariat
700 1 ▼a 이현웅, ▼e▼0 AUTH(211009)87892
900 1 0 ▼a 고르, 앙드레,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 2011z1 등록번호 1116430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5 2011z1 등록번호 1513041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 2011z1 등록번호 1116430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5 2011z1 등록번호 1513041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가장 순결한 영혼’이라 불렸던 앙드레 고르의 명저. 이 책은 1980년에 출간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대를 뛰어넘는 예지에 가득한 성찰로 점철되어 있어, 앙드레 고르가 당대에 왜 그토록 뛰어난 평가를 받았고, 현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추앙받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출간 이후 노동운동가와 수많은 사상가들로부터 아낌없는 찬사를 받았고, 아직까지도 노동문제에 대한 비판서로 최고의 반열에 우뚝 서 있다.

앙드레 고르는 서구 자본주의 사회의 위기를 고찰하며, 노동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생산관계와 생산수단의 폐기가 아닌 임금노동 자체의 폐기를 주장하고 있다. 이미 노동계급이 자본의 복제품으로서 지배질서 속에 편입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도린, 나는 당신의 장례식에 참석하기도, 당신의 재를 뿌리기도 싫다오. 우리는 둘 중 누구도 상대방보다
더 오래 살기를 원치 않으며, 서로 자주 이야기했듯이 다시 태어난다면 우리는 다시 같이 살아갈 것이오.”

불치병에 걸린 아내를 20여 년간 간호하다 생전에 함께 약속한 대로 파리 교외의 시골 마을의 작은 집에서 잠자듯 침대에 나란히 누워 오랜 삶을 자유의지로 마감했던 앙드레 고르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상가이자 뛰어난 언론인이었다. 그는 프랑스가 낳은 세계적 석학 장 폴 사르트르가 창간한 <레탕 모데른> 지(誌)의 주간이자 전문기자, 탐사취재의 대가로 명성을 날렸으며, <누벨 옵세르바퇴르>의 창간자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고르는 1960년대 이후 신좌파의 주요 이론가로 활동하며 68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일자리 나누기와 최저임금제의 필요성을 역설한 선구적인 노동이론가이자 생태주의를 정립한 초기 이론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1980년대 이후 산업시대의 노동중심성이 종말을 고하고 글로벌 경제, 정보화 시대가 도래할 것임을 예견하였으며, 사르트르는 그를 ‘가장 날카로운 지성’이라 평가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체성을 잃어버린 노동운동에 대한 통렬한 비판
이 책 <프롤레타리아여 안녕>은 1980년에 출간된 앙드레 고르의 저작이다. 그럼에도 시대를 뛰어넘는 예지와 사회문제를 냉철하게 분석하는 성찰로 점철되어 있어, 당대에 그가 왜 그토록 뛰어난 평가를 받았고, 현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추앙받고 있는지를 여실하게 증명해주고 있다. 이 책은 출간 이후 노동운동가와 수많은 사상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고, 아직까지도 노동 문제에 대한 비판서로 최고의 반열에 우뚝 서 있다.
이 책에서 고르는 서구 자본주의 사회의 위기를 고찰하며, 노동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생산관계와 생산수단의 폐기가 아닌 임금노동 자체의 폐기를 주장하고 있다. 이미 노동계급이 자본의 복제품으로서 지배질서 속에 편입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고르는 자본주의의 생산수단이 분할, 조직, 그리고 요구하거나 허용하는 과업의 등급화를 통해 지배의 수단이 되어버린다고 말한다. 군인들이 조직과 규칙의 양식을 송두리째 바꾸지 않는 한 군대를 장악할 수 없듯이, 노동계급 역시 자신을 구조화하고 기능적으로 분할하고 지배하는 생산수단을 바꿀 수는 없다. 만약 그 생산수단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고 장악한다 하더라도 노동계급은 결국 똑같은 지배체제를 재생산하는 기능적 부르주아지가 될 것이다.
고르는 이 책이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 반대라고 이야기한다. 고르는 마오이스트들, 신화적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그들의 원초적인 숭배, 중국 농민을 대상으로 마오쩌둥이 만들어낸 토지 몰수 전략을 도시화된 선진국에서 실현하려는 강변에 일침을 가한다. 그것은 천박한 마르크스주의가 귀결되어 나타난 자본주의의 사회민주화, 그리고 월급제 노동을 영광스럽게 떠받드는 행태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다.
고르는 이 책의 부제이기도 한 ‘사회주의를 넘어서’ 다다라야 할 공산주의의 진정한 모습과 그것에 이르지 못하고 시대가 갖고 있는 엉망진창의 시스템을 열거하며, 자본주의 안에서 사회적, 역사적으로 특유한 형태에 복속된 노동, 즉 일자리 노동, 상품으로서의 노동을 폐지하자고 강하게 주장한다.
고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이상 노동계급이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없음을 인정하며, 대신 비노동자, 노동시장 분화에 의해 주변화된 자, 노동할 수 없는 자, 자동화로 인해 직장을 잃은 자, 다시 말해 비계급을 혁명의 주체로 내세워 임금노동을 거부하고 자활노동을 창조해야 한다고 말한다.
실제로 이 비계급은 노동의 소멸과정에 따라 생산현장을 떠나게 된 사람들 혹은 지적 노동의 산업화(자동화와 정보화)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에 못 미치는 일자리를 얻는 모든 사람들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 그들은 노동, 곧 노동의 존엄, 가치화, 사회적 효용, 욕망에 토대를 두었던 구(舊)사회가 해체되며 나타난 산물이다. 이들은 자본주의사회 내에서의 노동계급처럼 단결하는 존재도, 정치적 권력을 획득하기를 열망하는 존재도 아니다. 그들은 자유와 개인적인 고유한 공간을 가장 중요시하며, 바로 그러한 성격 때문에 자연스럽게 모순적인 사회 시스템을 해체하고 전복할 수 있는 존재인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앙드레 고르스(지은이)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상가이자 언론인. 1923년 빈에서 태어나 열여섯 살 때 독일군의 징집을 피하기 위해 스위스 로잔으로 갔다. 로잔 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했으며, 1946년 사르트르를 만난 이후 실존주의와 현상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49년 파리로 이주해 《파리 프레스》 《렉스프레스》 《레탕모데른》의 경제 전문기자이자 탐사취재의 대가로 명성을 날렸으며 장 다니엘과 《누벨 옵세르바퇴르》를 공동 창간했다. 1960년대 이후 신좌파의 주요 이론가로 활동하며 68혁명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일자리 나누기와 최저임금제의 필요성을 역설한 선구적인 노동이론가이자 생태주의를 정립한 초기 이론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1980년대 이후 산업시대의 노동중심성이 종말을 고하고 글로벌 경제, 정보화 시대가 도래할 것임을 예견했고 사르트르는 그를 “유럽에서 가장 날카로운 지성”이라고 평가했다. 1947년 도린과 만나 1949년에 결혼했으며 아내가 불치병에 걸리자 공적인 활동을 접고 20여 년간 간호했다. 2007년 9월 22일 자택에서 아내와 동반자살했다. 대표작으로 『배반자Le Traitre』(1958), 『생태학과 정치Ecologie et politique』(1975), 『생태학과 자유Ecologie et liberte』(1977), 『프롤레타리아여 안녕Adieux au proletariat』(1980), 『노동의 변모, 의미의 추구Metamorphoses du travail, quete sens』(1988), 『현재의 참상, 가능한 부Miseres du present, richesse du possible』(1997), 『D에게 보낸 편지Lettre a D.: Histoire D’un Amour』(2006) 등이 있다.

이현웅(옮긴이)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출판 기획자와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느와르』, 『어느 인질에게 보내는 편지』, 『자본주의는 윤리적인가』, 『2030 미래희망』,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혁명의 한가운데로의 여행』, 『그들이 세상을 지배해왔다』, 『야만의 스포츠』, 『생텍쥐페리의 르포르타주』, 『나치의 아이들』, 『유엔을 말하다』, 『헤라클레이토스의 불』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론 = 8
1장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1. 마르크스의 포롤레타리아
  헤겔적 신의 헌현으로부터 프롤레타리아의 종교로 = 17
  분리된 의식 = 21
  정교주의적 사고의 뿌리 = 25
 2. 집단소유의 불가능성
  수공업에서 추상적 보편노동으로 = 27
  실존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상적 프롤레타리아 = 29
  무정부주의적 조합주의의 일시적 단계 = 34
  프롤레테르들과 분리된 권력으로서의 '프롤레타리아' = 36
  공장 훈련에서 군대의 이데올로기로 = 40
  생산의 속박에 대한 수용 혹은 거부 = 42
 3. '자본'의 복제품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이름으로 행하는 억압 = 47
  물화(物化)에서 원한으로 = 50
  국가에 대한 요구 = 54
  전위된 사회 = 59
  주체의 점진적 소멸 = 60
 4. 노동자의 권력?
  생산에 대한 노동자의 통제로부터 노동의 가부장적 조직화 = 65
  공장에서 권력이 사라지다 = 68
  작업장 대표단의 경험 = 72
  비(非)권력의 세계 = 75
  권력은 곧 조직의 구조다 = 76
2장 개인적 권력과 기능적 권력
 슘페터 유형의 기업가 = 81
 가장 능력이 뛰어난 자의 성공에서 정형화된 기능으로 = 83
 기구의 전권 = 86
 관료 = 88
 퓌러가 당신을 시스템에서 해방시켜준다 : 파시즘의 유혹 = 90
 포퓰리즘으로부터 절대국가로 = 93
 권력과 혁명 = 99
3장 사회주의를 넘어서
 1. 역사적 주체의 죽음과 부활 : 후기산업사회 프롤레테르들의 비계급
  노동의 폐기로부터 계급의 해체로 = 107
  해방된 주관성 : 사회 아닌 사회 = 114
 2. 후기산업사회의 혁명
  개인의 우위성 = 121
  외부적 억압으로서의 사회 = 122
  우스꽝스러운 허구 : 민주주의적 '계획' = 124
  시간 해방 = 128
  후기산업사회의 혁명과 페미니즘 = 132
 3. 이원론적 사회를 위하여
  1) 기술적 필요와 도덕적 요구
   축소불가능한 개인 = 144
   도덕과 관계가 없는 규칙들과 관계가 없느 도덕 = 147
   자율성 없는 도덕은 존재하지 않는다 = 149
  2) 실제적 형태의 자율성과 타율성 : 두 영역
   자율적인 활동을 위해 존재하는 타율적인 노동 : 마르크스와 일리히 = 152
   시공간의 이원론적 조직화 = 156
   지식의 사회화로부터 노동의 평범화로 = 158
   자주관리의 한계들 = 162
   효율성을 찬성하기 위해, 자급자족을 반대하기 위해 = 163
   두 영역의 변증법적 관계: 교대 = 167
 4. 필연성의 영역과 국가
  필연성 영역의 확장 : 기구들의 성장 = 169
  필연성의 거직 폐기 : 종교적 숭고화, '사랑의 의무', '가족' = 173
  필연성을 한정하기 : '법', '국가', '계획' = 180
  두 영역의 항구적 대립: 정치의 공간(빈 공간) = 187
후기 : 파괴적 성장과 생산의 저성장 = 195
부록
 1. 진보에 의한 커다란 손실 = 207
 2-1. 실업의 황금시대 = 218
 2-2. 노동하지 않으며 살아가기? = 241
 3. 정보화 : 어떤 사회? = 251
 4. 덜 일하고, 더 잘 살기(미셸 롤랑과의 대화) = 266
 5. 이원론적 유토피아 = 27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