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다원적 자본의 개념정립
Chapter 01 잘 살기 위한 가치관의 개혁과 다원적 자본 = 14
1. 왜곡된 가치관을 바로잡는 철학의 필요성 = 14
2. 자본주의사회에서 잘 살기 위한 가치지향적 기본덕목 = 28
3. 다원적 자본의 개념적 특징 = 41
다양한 지식을 축적하는 덕목
인격을 고양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덕목
협동하며 신용을 축적하는 덕목
Chapter 02 다원적 자본주의정신과 국가발전 = 51
1. '한강의 기적'과 물질적 근대화 = 51
2. 다원적 자본주이 정신과 한국인의 정체성 = 57
제2부 개인적 차원에서 다원적 자본축적
Chapter 03 지식혁명 시대의 지식자본축적 = 68
1. 지식자본 축적으로 부의 가치창출 = 68
2. 지식자본을 축적하는 방법론 = 75
학습하는 습관으로 지식자본의 확보
시간의 가치는 지식자본의 원천이다
자식자본은 독서의 양과 정비례 한다
경험지식자본은 성공의 길잡이이다
3. 재테크로 부를 창출하는 지식자본 = 93
재테크 없이 부를 기대할 수 없는 시대
주식 재테크에 관한 기초지식
재테크의 5가지 기본원칙
Chapter 04 건전한 역량과 인격을 갖춘 인적 자본 = 106
1. 핵심역량 강화로 인적 자본 육성 = 106
2. 육체건강에서 건전한 체격, 정신건강에서 건전한 인격 = 110
3. 역량강화와 인격완성 = 113
Chapter 05 신뢰의 가치를 쌓는 신용자본축적 = 122
1.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신용의 가치 = 122
2. 신용자본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 129
제3부 국가적 차원에서 다원적 자본확충
Chapter 06 사회윤리 차원에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 = 140
1. 정치윤리의 개선과 사회적 자본의 확충 = 141
2. 행정윤리의 개선과 사회적 자본의 확충 = 147
3. 기업윤리의 개선과 사회적 자본의 확충 = 155
기업경영상 대외적인 윤리관계
기업경영상 대내적인 윤리관계
4. 시민윤리의 개선과 사회적 자본의 확충 = 160
5. 윤리 사회적 자본가 풍요한 사회 = 165
Chapter 07 교육정책 차원에서 인적 자본의 확충 = 171
1. 철학부재의 모방교육 = 171
2. 교육이념의 재정립과 홍익인간의 정체성 확립 = 176
인간다운 인간의 학습능력 교육
인간다운 인간의 자활능력 교육
인간다운 인간의 공민자질 교육
Chapter 08 지식자본의 확충으로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 201
1. R&D 혁신 지식자본으로 재도약 = 202
2. 차세대 신성장동력산업의 육성과제 = 211
로봇산업의 개발
차세대 전기자동차산업의 개발
신세대 바이오산업의 개발
기타 성장동력산업 육성
Chapter 09 사회간접자본의 조화로운 투자 = 229
1. 사회간접자본의 기능 = 229
2. 정부주도형과 민간주도형의 조화 = 232
Chapter 10 최적의 복지제도를 통한 사회적 자본 확충 = 236
1. 최대 다수이 최대행복 = 236
Pigou 효용이론
Pareto 최적분배론
Kaldor와 Hicks의 보상원리
2. 최적 자유와 최적 평등의 원리 = 242
최적 자유의 개념
최적 평등의 개념
3. 최적평등의 사회복지제도와 그 모형 = 259
별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