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이민 및 외국인력 유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중장기 효과

이민 및 외국인력 유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중장기 효과 (Loan 1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경수
Title Statement
이민 및 외국인력 유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중장기 효과 / 최경수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KDI,   2010  
Physical Medium
91 p. : 도표 ; 24 cm
Series Statement
정책연구시리즈 ;2010-18
ISBN
978898063489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87]-89
000 00948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666157
005 20110919132436
007 ta
008 110916s2010 ulkd b 000c kor
020 ▼a 9788980634897 ▼g 93320
035 ▼a (KERIS)BIB000012525732
040 ▼a 211029 ▼c 211029 ▼d 21102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31.62 ▼2 22
085 ▼a 331.62 ▼2 DDCK
090 ▼a 331.62 ▼b 2010z1
100 1 ▼a 최경수 ▼0 AUTH(211009)71365
245 1 0 ▼a 이민 및 외국인력 유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중장기 효과 / ▼d 최경수
246 1 1 ▼a Medium and long-term effects of immigrant or foreign labor force entering the domestic labor market
260 ▼a 서울 : ▼b KDI, ▼c 2010
300 ▼a 91 p. : ▼b 도표 ; ▼c 24 cm
490 1 0 ▼a 정책연구시리즈 ; ▼v 2010-18
504 ▼a 참고문헌: p. [87]-89
830 0 ▼a 정책연구시리즈 (한국개발연구원) ; ▼v 2010-18
900 1 0 ▼a Choi, Kyung Soo,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62 2010z1 Accession No. 1116416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발간사
요약 = 1
제1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7
제2장 외국인력 및 이민자 유입의 현황과 전망 = 12
 제1절 외국인력의 유입 현황 = 12
  1. 외국인력의 규모 = 12
  2. 외국인력의 숙련수준 = 14
  3. 외국인력의 산업별 취업구조 = 16
  4. 외국인력의 임금수준 = 18
 제2절 이민자 유입 현황 = 19
  1. 이민자의 범주 및 유입 현황 = 19
  2. 이민자 현황 = 23
 제3절 이민자 및 그 후손 규모 장기추계 = 27
제3장 외국인 유입영향 분석 접근방법 = 30
 제1절 분석대상과 접근방법 = 30
  1. 분석의 대상과 범위 = 30
  2. 총요소비율 접근방법과 효과분석 접근방법 = 32
 제2절 총요소비율 접근방법 = 35
  1. 수요공급모형에서 노동공급 증가의 효과 = 35
  2. 저숙련 노동공급 증가 = 37
  3. 외국인력 유입의 노동공급 증가효과 = 41
  4.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 = 43
  5. 장기적 영향 = 44
 제3절 효과분석 접근방법 = 47
  1. 효과분석과 통제집단 설정의 문제 = 47
  2. 국내 외국인력 유입과 저숙련 노동시장 변화 = 52
제4장 총요소비율 변화의 상대임금에 대한 영향 = 56
 제1절 외국인력 유입과 총요소비율 = 56
 제2절 학력별 노동공급과 상대임금 추이 = 58
 제3절 학력별 노동공급의 임금에 대한 영향 = 61
  1. 2학력집단 = 61
  2. 3학력집단 = 69
 제4절 외국인력 및 이민 유입의 영향 추정 = 74
  1. 고졸 미만과 경합하는 외국인력 = 74
  2. 고졸 미만 및 고졸-초대졸과 경합하는 이민인구 = 76
  3. 탄력성 추정치에 대한 민감도 = 77
  4. 특정 인력과의 대체재 관계 = 78
제5장 정책적 시사점 = 79
참고문헌 = 87
ABSTRACT = 9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영중 (2023)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2023)
한윤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