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01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65931 | |
005 | 20110914163442 | |
007 | ta | |
008 | 100609s2010 ggkag 000c kor | |
020 | ▼a 9788926810347 ▼g 03070 | |
035 | ▼a (KERIS)BIB000012061614 | |
040 | ▼a 211032 ▼d 244002 | |
082 | 0 4 | ▼a 070.43 ▼2 22 |
085 | ▼a 070.43 ▼2 DDCK | |
090 | ▼a 070.43 ▼b 2010z4 | |
100 | 1 | ▼a 김영재 |
245 | 1 0 | ▼a 기자수첩 보도일기 : ▼b 시대를 증언하는 언론인의 양심 / ▼d 김영재 지음 |
260 | ▼a 파주 : ▼b 이담Books : ▼b 한국학술정보, ▼c 2010 | |
300 | ▼a 410 p. : ▼b 삽화(일부천연색), 악보 ; ▼c 23 cm | |
440 | 0 0 | ▼a 즐거운지식 ; ▼v 47 |
500 | ▼a 이담Books는 한국학술정보의 지식실용서 브랜드임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70.43 2010z4 | 등록번호 1512912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저자가 지역신문에서 기자로 활동하면서 기록하였던 언론인으로서의 지난 발자취를 각 분야로 나누어 담고 있다. 제1부는 경제 분야이다. 1994년 12월 16일부터 1995년 5월 25일까지 6개월간 매주 1회씩 <하나일보>에 게재했던 경제 관련 칼럼을 모았다. 제2부는 문화예술 분야이다. 문화예술계를 둘러싼 일련의 사건들과 생생한 현장에서의 감상평을 중심으로 게재했다. 제3부는 교육 분야로, 지인의 부탁으로 어느 신문에 2002년 3월 5일부터 4월 30일까지 기고했던 교육칼럼들을 수록하였다. 제4부는 언론 분야를 다룬다. 언론계의 동향과 현안, 실태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5부는 생활 영역에 대한 이야기를 옮겼다. 생활 속에서 느끼고 생각한 소소한 삶의 편린을 담았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한 사람의 언론인으로 성장하는 저자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읽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자의 기록을 통해 지난 십수 년간 우리 가까이에서 일어난 경제, 문화예술, 교육, 언론, 생활상을 돌아볼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영재(지은이)
大邱新聞硏究院을 운영하는 재야언론인이다. ‘유통경제신문’과 ‘하나일보’의 기자, ‘신라일보’ 논설위원으로 일천한 언론인 생활을 했다. ‘한겨레신문’ 대구지사 자료조사실장, 우리신문 창간준비위원, 월간 ‘대구예술’ 편집장을 지냈고, 한겨레신문전국독자주주모임 공동대표를 맡았었다. 펴낸 책으로는 ‘웹2.0과 미디어2.0’, ‘해바라기 言論의 龍飛御天歌’, ‘言論自由와 言論改革’, ‘佛敎言論의 理解’, ‘大邱慶北言論史’, ‘朝鮮時代의 言論文化’, ‘現代社會와 民主言論’ 외 다수가 있다. 大邱新聞硏究院은 언론의 민주화?지방화?사회화라는 지표아래 진리와 함께, 민중과 함께, 역사와 함께를 추구한다. 大邱新聞硏究院은 언론산업에 관한 자료의 연구와 조사, 교육사업 등으로 지역언론개혁과 언론민주화운동을 지원하고, 낙후한 언론문화의 창달로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한다. 이를 위해 지은이는 ‘大邱新聞硏究院의 커뮤니케이션 & 저널리즘 블로그(blog.naver.com/tgpress)’라는 창에서 “사람의 언론”이라는 드높은 이상을 추구한다. 전자우편 tgpress@naver.com으로는 “시민언론”을 구현하기 위해 독자와 활발한 의사소통을 도모한다.

목차
목차 PART Ⅰ 경제포커스 01. 추곡수매의 정치경제학 = 15 02. 정부조직 개편과 한은 독립 = 17 03. 재벌연가 "삼성은 대구기업인가" = 19 04. 국제화와 세계화 = 22 05. 주세법 파동 "누가 술주정하는가" = 25 06. 개혁의 꽃 실명제 = 28 07. 돈의 시장경제론 = 31 08. 결국은 물가가 문제다 = 34 09. 불우이웃돕기와 이웃나라돕기 = 37 10. 김영삼 정부의 재벌정책 = 39 11. 국민경제 좀먹는 교육개혁 = 42 12. 가격파괴의 허와 실 = 45 13. 중간평가 = 48 14. 재정경제원 = 51 15. 금융산업 경쟁력 서둘러야 한다 = 53 16. ISO9000ㆍ광고ㆍ연구개발비 = 56 17. 지하경제 58조 원과 실명제 해법 = 59 18. 정치의 논리… 경제의 논리… = 62 19. 슈퍼 엔고 시대와 한국경제 = 65 20. 광복 50년과 경제의 창 = 68 21. "행운을 드립니다" = 71 22. 민심이 무너지고 있다 = 74 23.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77 24. 지방화와 서울공화국 = 79 25. 금융의 사금고화 더 이상 안된다 = 81 PART Ⅱ 예술의 향기 01. 공(空)의 예술, 정한(情恨)의 미학 = 87 02. 개혁정치와 인간의 길 = 89 03. 당신은 문화인인가? = 91 04. 위대한 문화유산의 봄나들이 = 93 05. 잃어버린 인간성을 찾아서 = 95 06. 한(恨)을 잃지 않는 리듬 살려야 = 97 07. 인류의 본향이 왔다 = 99 08. 정상인 위로한 장애인 음악회 = 101 09. 누드화의 경제학 = 103 10. 석연찮은 '군계일학' 부끄럽다 = 105 11. 관객우롱 일관한 소문난 잔치 = 107 12. TK문화와 지역경제 = 110 13. 함량미달 문화예술인 많다 = 113 14. 트리플 컬처 = 115 15.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 함께한 그림잔치 = 118 16. 비엔날레를 보는 눈 = 120 17. 관객이 만드는 공연예술 = 123 18. '우리 가락 좋을시고' = 126 19. 대구예총회장과 예술CEO론 = 129 PART Ⅲ 교육춘추 01. 친일파 단상 = 149 02. '전학 줄서기'와 명문대생 만들기 = 152 03. 교권침해와 교실붕괴 = 154 04. 보충수업 부활과 기득권의 음모 = 156 05. 학교폭력 추방 = 158 06. 학교운영위원회와 교육민주화 = 160 07. 일본의 역사왜곡과 정부의 대응 = 162 08.「배틀로얄」과 폭력사회 = 164 09. 영재교육 = 168 PART Ⅳ 언론가 산책 01. 한국언론사와 대구언론사 = 173 02. 정보화 사회와 민주언론 = 176 03. 대통령 선거와 언론 = 180 04. 6ㆍ19 임시주총과〈한겨레〉쟁취운동 = 183 05. 대구지역 신문산업 실태 = 188 06. "비틀대는 정치, 춤추는 언론" = 228 07. 케이블TV산업과 방송구조개편 = 230 08. 방송산업의 현황과 과제 = 233 09. 지방자치시대의 지방언론 = 237 10. 대구지역 광고산업의 현황 = 241 11. 지역신문의 역할과 사명 = 245 12. 지방신문의 광고대란과 광고전쟁 = 251 13. 다시 '신문의 날'에 생각한다 = 262 14. 언론민주화운동의 대안 인터넷언론 = 265 15. 방송개혁과 방송청문회 = 273 16. 인터넷섬유신문을 창간하자 = 280 17. 언론윤리 = 286 18. 디지털 시대와 커뮤니케이션 = 288 19. 한국인과 인터넷문화 = 291 20. 디지털TV와 50조 원의 진실 = 299 21. 언론개혁 실천론 = 306 22.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관 = 309 23. 공신언론의 탈선과 망동 = 315 24. 언론비평과 도덕성 = 318 25. 족벌언론 = 320 26. 戊子年의 저널리즘 화두 = 325 PART Ⅴ 대덕산유록 01. 학문하는 법, 공부하는 법 = 329 02. 지식인의 사명과 역할 = 331 03. 한국사회와 '바이 코리아' = 337 04. 노블레스 오블리주 = 339 05. 재벌금융의 서민 등치기 = 343 06. 나아감과 물러남 = 347 07. 12월 = 351 08. 사유(四維) = 354 09. 여성의 화장과 산행 = 357 10. 국민정신 = 362 11. 산행과 흡연 = 365 12. 설 이야기 = 369 13. "반갑다 친구야" = 372 14. 벚꽃과 인생 = 375 15. 등산복 = 377 16. 민주시민 = 380 17. 옥탑방을 턴 도둑놈에게 = 382 18. 수표 송사 = 387 19. 시외버스가 수상하다 = 391 20. 정직과 신용의 상업학 = 394 21. 노트북 정가를 알고 싶다 = 402 22. 문화예술과 디자인경영 = 406 23. 봄처녀 =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