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51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665620 | |
005 | 20110908173951 | |
007 | ta | |
008 | 110908s2011 ggkaj b 001c dkor | |
020 | ▼a 9788973388547 ▼g 03310 | |
035 | ▼a (KERIS)BIB000012387838 | |
040 | ▼a 242001 ▼c 242001 ▼d 242001 ▼d 24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1.4/22/0904 ▼a 519.509 ▼2 22 |
085 | ▼a 001.422 ▼2 DDCK | |
090 | ▼a 001.422 ▼b 2011 | |
100 | 1 | ▼a Salsburg, David, ▼d 1931- ▼0 AUTH(211009)29645 |
245 | 1 0 | ▼a 통계학의 피카소는 누구일까? : ▼b 20세기 과학혁명을 이끈 통계학 영웅들의 이야기 / ▼d David, Salsburg 지음; ▼e 박중양 옮김 |
246 | 1 9 | ▼a (The) lady tasting tea : ▼b how statistics revolutionized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
260 | ▼a 파주 : ▼b 자유아카데미, ▼c 2011 | |
300 | ▼a 352 p. : ▼b 삽화, 연대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31-342)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cience ▼x Statistical methods ▼x History ▼y 20th century |
700 | 1 | ▼a 박중양, ▼e 역 ▼0 AUTH(211009)104082 |
900 | 1 0 | ▼a 살스버그, 데이비드,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001.422 2011 | Accession No. 1116415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422 2011 | Accession No. 1116415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422 2011 | Accession No. 1116431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1.422 2011 | Accession No. 1212175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Course Reserves/ | Call Number 응용통계학과 001.422 2011 | Accession No. 151304164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001.422 2011 | Accession No. 1116415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422 2011 | Accession No. 1116415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422 2011 | Accession No. 1116431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1.422 2011 | Accession No. 1212175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Course Reserves/ | Call Number 응용통계학과 001.422 2011 | Accession No. 151304164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데이비드 살스버그(지은이)
'파이저 제약회사'의 주임연구원을 지냈고, 제약연구 및 제조 협회에서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미국 통계학 협회 회원으로 코네티컷 칼리지, 하버드 공중 보건 대학, 로드아일랜드 칼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코네티컷 대학,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통계학을 강의했다. 통계학과 관련된 3권의 저서가 있으며 5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박중양(옮긴이)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응용통계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 산업공학과에서 응용통계학을 공부했다. 현재는 경상대학교 정보통계학과에 재직 중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과학철학을 접하면서 통계학과 과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갖게 되었다. 이 새로운 이해는 과학사와 인물에 대한 탐구를 동반했다. 최근 출판한 저서 『기초통계학-개념과 방법 그리고 R을 이용한 실습』과 통계학사 관련 번역서 『통계학의 피카소는 누구일까: 20세기 과학혁명을 이끈 통계학 영웅들의 이야기』는 바로 이 새로운 이해에 기초한 결과물이다. 이 책『어쩌다 보니 통계학자』도 동일선상에 있는 번역서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8 1장 차 맛을 가리는 여인 = 13 과학은 공동으로 연구해야 한다 = 15 실험설계 = 16 2장 기운분포 = 21 골튼생물통계연구소 = 24 상관과 회귀 = 25 분포와 모수 = 26 바이오메트리카를 창간한 목적 = 30 3장 친애하는 고셋 선생 = 37 스튜던트의 탄생 = 39 스튜던트 t-검증 = 41 4장 거름더미 뒤지기 = 45 피셔와 칼 피어슨 = 47 파시스트로 비난받은 피셔 = 48 연구자들을 위한 통계적 방법 = 50 로뎀스테드와 농업실험 = 52 5장 작물 수확량 변동에 관한 연구 = 55 "작물 수확량 변동에 관한 연구 l" = 58 "평균으로의 회구"의 일반화 = 58 임의화 실험 = 60 피셔의 분산분석 = 62 자유도 = 63 작물 수확량 변동에 관한 세 번째 연구 = 64 6장 백 년에 한 번 정도 일어나는 대홍수 = 67 극단값의 분포 = 70 정치적 살인 = 71 7장 피셔의 승리 = 75 피셔적 관점과 피어슨적 관점 = 79 피셔의 최대가능도방법 = 81 반복 알고리즘 = 83 8장 치사량 = 87 프로빗분석 = 89 스탈린 시절 레닌그라드에서 연구한 블리스 = 92 9장 종 모양 곡선 = 97 중심극한정리란 무엇인가? = 98 죽음이여 영원하라! = 101 린드버그-레비 조건에서 u-통계량으로 = 103 베를린에서의 호에프딩 = 104 운용 연구 = 106 10장 적합도검증 = 109 혼돈이론과 적합도 = 111 칼 피어슨의 적합도검증 = 112 차 맛을 가린다는 여인은 정말로 차 맛을 가릴 수 있는가 = 113 피셔가 p값을 사용한 방법 = 114 네이만의 수학적 배경 = 116 네이만이 수학 연구를 하는 자세 = 119 11장 가설검증 = 123 확률은 무엇인가? = 127 확률의 빈도론적 정의 = 128 12장 신뢰수준이란 속임수 = 133 네이만의 설명 = 137 확률과 신뢰수준 = 139 13장 베이즈정리에 기반을 둔 이단적 통계학 = 141 역확률에 대한 의심 = 145 계층적 베이즈모형 = 146 개인적 확률 = 149 14장 수학의 모차르트 = 153 인간 콜모고로프 = 157 콜모고로프의 수리통계학 연구 = 158 실세계에서 확률은 무엇인가? = 161 소련 통계학의 실패에 관한 후기 = 162 15장 아래서 올려다본 세상 = 167 칼 피어슨과 함께 = 170 전쟁과 관련한 연구 = 173 16장 모수 없애기 = 177 계속되는 비모수적 통계학의 발전 = 180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 181 17장 부분이 전체보다 더 나은 경우 = 185 뉴딜정책과 표집 = 188 제롬 콘필드 = 192 경제지표 = 194 18장 흡연이 암을 일으키는가? = 197 인과관계란 것이 존재하는가? = 199 실질적 함의 = 202 흡연과 폐암의 관계에 대해 콘필드가 제시한 답 = 203 흡연과 페암의 관계와 고엽제 문제 = 206 편향된 발표 = 207 피셔가 제시한 해결책 = 208 19장 최상의 적임자를 원한다면 = 211 여성들의 공헌 = 214 경제지표의 발전 = 217 이론통계학 분야에서 활약한 여성들 = 221 20장 평범한 텍사스 촌놈 = 223 프린스턴대학의 통계학 = 226 통계학과 전쟁수행 = 227 통계학의 추상화 = 229 21장 가난한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천재 = 233 잭굳 = 234 퍼시 디아코니스 = 239 22장 통계학의 피카소 = 243 다재다능한 튜키 = 246 23장 오염 문제 = 251 통계학자가 된 박스 = 254 미국에서 온 박스 = 257 박스와 콕스 = 259 24장 산업계를 개조한 사나이 = 261 고위 경영자에게 전하는 데밍의 메시지 = 264 품질관리의 본질 = 267 가설검증에 대한 데밍의 관점 = 269 25장 검은 옷을 입은 여인이 준 교훈 = 271 기네스양조회사의 통계학 = 274 예기치 못한 변동 = 276 추상적인 수학과 실용적인 통계학 = 279 26장 마팅게일의 등장 = 281 초기의 이론적 연구 = 284 울혈성 심부전 연구에 사용된 마팅게일 = 286 27장 치료의도분석 = 289 검증에 관한 데이비드 콕스의 연구 = 294 과학연구에 대한 박스의 접근법 = 294 데밍의 관점 = 295 코크란의 과학 연구 = 296 루빈의 모형 = 297 28장 스스로 작동하는 컴퓨터 = 299 글리벤코-칸텔리 보조정리 = 301 에프론의 부트스트랩 = 303 재표집과 다른 컴퓨터 집약적 방법들 = 303 통계모형의 승리 = 305 29장 통계학의 불안정한 토대 = 307 통제력을 잃은 통계학자들 = 310 통계혁명이 궤도를 벗어나지는 않았는가? = 311 통계혁명이 기반을 두고 의사를 결정해도 좋은가? = 313 실세계에서 확률은 어떤 의미인가? = 315 사람들은 정말 확률을 이해하고 있는가? = 318 확률은 과연 필요한 것인가? = 321 21세기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 321 끝맺음 = 323 역자후기 = 325 통계학 연대표 = 327 참고문헌 = 331 찾아보기 =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