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청소년교육개론

청소년교육개론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이종 權彛鍾 김용구 金容玖, 저
서명 / 저자사항
청소년교육개론 / 권이종, 김용구 저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2011  
형태사항
523 p. : 도표 ; 27 cm
ISBN
9788925404479
일반주기
부록: 제4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서지주기
참고문헌(p. 509-517)과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
청소년교육 ,,
000 00712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65304
005 20110907113058
007 ta
008 110308s2011 ulkd b 001c kor
020 ▼a 9788925404479 ▼g 93370
035 ▼a (KERIS)BIB000012336741
040 ▼a 221008 ▼d 244002
082 0 4 ▼a 373 ▼2 22
085 ▼a 373 ▼2 DDCK
090 ▼a 373 ▼b 2011
100 1 ▼a 권이종 ▼g 權彛鍾
245 1 0 ▼a 청소년교육개론 / ▼d 권이종, ▼e 김용구 저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c 2011
300 ▼a 523 p. : ▼b 도표 ; ▼c 27 cm
500 ▼a 부록: 제4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504 ▼a 참고문헌(p. 509-517)과 색인수록
653 ▼a 청소년교육
700 1 ▼a 김용구 ▼g 金容玖,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3 2011 등록번호 1513023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권이종(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파독근로자기념관장, 한국청소년정책개발원장 역임. 전북 장수 태생으로 전주 동중학교, 전주신흥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4년 독일 메르크슈타인(Merkstein) 아돌프(Adolf) 광산에서 3년간 일했다. 그 후 아헨(Aachen) 공대 교원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학문 분야에서는 최초로 평생교육학과 청소년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하여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해 지금까지 일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아프리카아시아난민교육후원회 이사장, 한국파독광부·간호사·간호조무사연합회 이사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또한 교육부와 체육청소년부 자문위원, 문화관광부 청소년 정책 자문위원, 한국청소년연구소 소장, 대통령 자문기구 새교육공동체 위원, 민주평화통일청소년체육 분과위원장, 서울특별시 청소년 부위원장, 서울시 소년·청소년 상 심사위원장, 서울시 교육청 교육상 심사위원, 교육부 대학 평가위원, 전국 청소년 시설 평가위원, 한국청소년학회장, 한국사회교육학회장, 한국 간행물 윤리위원, KBS 해설위원, 대통령자문기구 청소년보호위원, 서울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소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개방대학』,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자녀교육 시리즈』, 『청소년의 두 얼굴』, 『맴도는 아이 방황하는 아이』, 『한국의 탈무드 손거울』, 『평생교육학』, 『막장광부 교수가 되다』, 『청소년학개론』, 『나눔 교육과 봉사가 세상을 바꾼다』, 『인연 백세백인』, 『아프리카 킬리만자로, 설렘과 마음의 길』, 『파독광부, 꿈을 캐는 교수로』 등 60여 권이 있으며, 국내외 1000여 회 이상 특강, 100여 회 이상 TV와 라디오 출연, 국내외 언론에 50여 회 이상 기고, 50여 회 이상의 인터뷰가 있다. 『동유럽의 교육제도』 등 100여 편의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파독광부 백서』, 『청소년백서』, 이 밖에 『독일에서 흘린 눈물』, 『청소년 문화론』 등을 비롯하여 10여 권의 공저가 있다. 포상으로는 ‘국민훈장 목련장’,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기여한 숨은 공로자 17인 선정’, ‘새 한국 100년을 위한 33인 위원’, ‘위대한 한국인 대상’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제1부 청소년과 청소년학
 제1장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 13
  1. 청소년의 어원 = 13
  2. 청소년의 개념 = 17
  3. 청소년의 특성 = 18
 제2장 청소년학 정립의 필요성과 연구 동향 = 23
  1. 청소년학 정립의 필요성 = 23
  2. 청소년 연구의 동향과 내용 = 24
  3. 청소년학 연구정립의 방향과 과제 = 29
제2부 청소년의 발달이론
 제3장 청소년의 발달원리 = 37
  1. 발달의 정의와 연구동향 = 37
  2. 발달의 원리 = 43
 제4장 청소년의 신체적 발달 = 49
  1. 사춘기의 특징 = 50
  2. 청소년의 신체적 특성 = 51
  3. 성적 성숙 = 58
  4. 신체발달이 청소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 64
 제5장 청소년의 인지적 발달 = 73
  1. 인지 형성과정 = 73
  2. 구체적 조작기 = 74
  3. 형식적 조작기 = 77
  4. 청소년기 사고의 일반적 특징 = 79
  5. 인성발달에 있어서의 지적 발달의 효과 = 82
 제6장 청소년의 심리적 발달 = 85
  1. 청소년기 사회인지의 발달 = 85
  2.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 = 88
  3. 청소년기의 자아 정체성 = 89
  4. 동일시의 의미와 발달 = 93
 제7장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 = 99
  1. 도덕성 발달의 단계 = 99
  2. 청소년 가치관의 일반적 특징 = 104
  3. 도덕적 상대성과 자아 정체성 = 106
  4. 도덕성 형성요인 = 108
  5. 청소년 가치관 혼란의 원인 = 111
  6. 청소년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위한 과제 = 114
 제8장 청소년의 불안과 방어기제 = 117
  1. 청소년의 불안 = 117
  2. 방어기제 = 123
  3. 청소년의 정신적ㆍ심리적 장애 = 130
  4. 청소년의 우울증(Depression) = 136
  5. 청소년의 자살(Depression and suicide) = 138
제3부 청소년 문화, 환경과 복지
 제9장 청소년 문화 = 145
  1. 청소년 문화의 개념 = 145
  2. 청소년 문화의 중요성 = 146 
  3. 현대 청소년 문화의 보편적 특성 = 147
  4. 청소년 문화의 분류와 관점 = 149
  5. 청소년 문화의 유형 = 151
  6. 한국 청소년 문화의 실태와 문제점 = 212
  7. 청소년 문화의 발전과제 = 218
 제10장 청소년의 환경 = 221
  1. 청소년과 가정환경 = 221
  2. 청소년과 학교환경 = 252
  3. 청소년과 사회환경 = 261
 제11장 청소년 복지 = 287
  1. 청소년 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 287
  2. 청소년 복지의 방향과 내용 = 289
  3. 청소년 복지의 역사적 전개 = 291
  4. 청소년 복지의 실태와 과제 = 295
제4부 청소년 문제와 상담
 제12장 청소년의 일탈, 비행, 가출, 소외 및 학교중도탈락 = 305
  1. 청소년의 일탈 = 305
  2. 청소년과 가출 = 323
  3. 청소년의 소외 = 332
  4. 학교중도탈락 = 336
 제13장 청소년 상담 = 345
  1. 청소년 상담의 필요성, 의미, 목표 = 345
  2. 청소년 상담의 대상 및 목표 = 346
  3. 청소년 상담의 유형 = 347 
  4. 청소년 상담의 실태와 과제 = 349
  5. 청소년 상담이론 = 351
  6. 멘토와 청소년 상담 = 359
제5부 청소년 인권, 정책과 미래
 제14장 청소년 인권과 새터민 청소년 = 365
  1. 청소년 인권 논의의 쟁점 = 365
  2. 청소년 인권의 유형 = 372
  3. 학교와 청소년 인권 = 377
  4. 인권교육과 세계 주요 국가의 동향 = 381
  5. 청소년 인권 정책의 방향과 과제 = 384
  6. 새터민 청소년 = 385
 제15장 청소년 행정과 정책 = 395
  1. 청소년 행정이란 = 395
  2. 청소년 육성정책의 배경 = 401
  3. 청소년 정책의 현황과 방향 2010년 여성부 = 404
  4. 한국 청소년 활동 : 진흥원의 2010년 업무 추진현황 = 410
 제16장 청소년의 미래와 전망 = 417
  1. 21세기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청소년상 = 417
  2. 세계 속의 한국청소년과 교육적 과제 = 427
부록 : 제4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 433
참고문헌 = 509
찾아보기 = 51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