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05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664371 | |
005 | 20110902104023 | |
007 | ta | |
008 | 110902s201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4138220 ▼g 93180 | |
035 | ▼a (KERIS)REW000000126801 | |
040 | ▼d 211009 | |
041 | 1 | ▼a kor ▼h chi |
082 | 0 4 | ▼a 154.2 ▼a 616.89 ▼2 22 |
085 | ▼a 154.2 ▼2 DDCK | |
090 | ▼a 154.2 ▼b 2011z2 | |
100 | 1 | ▼a 朱光潛, ▼d 1897-1986 ▼0 AUTH(211009)22267 |
245 | 1 0 | ▼a 무의식과 잠재의식을 연구한 학자들 / ▼d 주광첸 著; ▼e 이용욱 譯 |
246 | 1 9 | ▼a 變態心理學派別 |
246 | 1 1 | ▼a (The) scholars of the unconscious and the subconscious |
246 | 3 | ▼a Bian tai xin li xue pai bie |
260 | ▼a 서울 : ▼b 인터북스, ▼c 2011 | |
300 | ▼a 304 p. : ▼b 삽화 ; ▼c 19 cm | |
500 | ▼a 부록: 프로이트의 무의식학설과 심리분석, 맥두걸과 워슨이 행위주의파로 병렬될 수 있는가, 문학연구의 길 외 | |
504 | ▼a 참고문헌(p. 223-23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logy, Pathological |
700 | 1 | ▼a 이용욱 ▼g 李鎔郁, ▼d 1975-, ▼e 역 |
900 | 1 0 | ▼a 주광첸, ▼e 저 |
900 | 1 0 | ▼a Zhu, Guangqian,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4.2 2011z2 | Accession No. 1116407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줄곧 전통심리학자들은 완전한 성인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왔고 성인의 심리에 대해서도 의식적 삶이라는 일부분에만 주의를 기울였다. 현대심리학의 최대 성취는 이러한 협소한 범위를 크게 확충시킨 데 있다. 확충의 방향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정신’을 떠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신’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줄곧 전통심리학자들은 완전한 성인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왔고 성인의 심리에 대해서도 의식적 삶이라는 일부분에만 주의를 기울였다. 현대심리학의 최대 성취는 이러한 협소한 범위를 크게 확충시킨 데 있다.
확충의 방향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정신’을 떠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신’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전자로 인하여 심리학은 지금 이미 동물과 영아를 연구범위 내에 모두 포함시켰다. 예전에 유아 독존하던 성인심리학은 결국 하나의 부속물로 물러났고 의식적 삶 역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이 됐다. 이러한 운동의 선구자로 미국 발생주의 심리학자와 행동주의 심리학자를 들 수 있다. 행동주의의 대표자 존 워슨(John Watson)은 심지어 모든 ‘정신’이란 것을 완전히 떼어낸 뒤 자극-반응에 전적으로 주의를 기울였다. 자극-반응은 동물계의 보편현상이므로 객관적 과학의 방법으로 연구할 수 있는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주광첸(지은이)
현대 미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저명한 미학자이자 존경받는 교육자. 동서양 미학의 융합을 지향하는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동양권에서는 물론 국제적으로 명성 높은 ‘미학의 대가’로 칭송받으며 현대 미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베이징대학교, 쓰촨대학교, 우한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중국미학학회 회장, 중국작가협회 고문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談美》, 《담미서간談美書簡》, 《열두 통의 편지給靑年的十二封信》, 《서양미학사西方美學史》, 《문예심리학文藝心理學》 등이 있다.
이용욱(옮긴이)
칭화대학교 언론학부에서 문학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옮긴 책으로 『문예심리학』(근간), 『가치철학과인식론』(근간), 『지식과 문화』(근간), 『사상과 사회』(근간) 등이 있다. 대륙의 중화민국 시기 문학예술 외 인문학 분야의 중요한 무의식 연구물들을 모아 엮어 『중국과 프로이트-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꿈』으로 출판을 준비한다. E-mail: heibao21@daum.net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국어판 서문 / 이종민 = 5 중국어판 서문 / 가오줴푸 = 10 제1장 들어가는 말 = 17 제2장 파리학파와 낭시학파 = 25 최면술 = 28 동물자기설 = 28 자기술에서 최면술로 = 29 브레이드의 독존관념 = 30 리보 = 32 낭시학파와 파리학파의 논쟁 = 33 베른하임의 학설 = 35 베른하임의 치료법 = 36 최면의 정의 = 37 암시로 인한 최면의 실례 = 38 암시한 관념이 어떻게 동작으로 변화하나 = 40 관념운동(Ideomotor)적 활동 = 41 최면상태 속에 의식은 존재하는가 = 43 베른하임의 미해결 문제 = 44 관념운동적 반사’는 불가능 = 45 베른하임의 공헌 = 45 베른하임과 프로이트 = 45 제3장 신낭시학파 = 47 쿠에와 보두엥 = 49 신낭시학파의 구별 = 50 암시의 종류 = 52 자발적 자기암시 = 52 자기암시의 법칙 = 56 성찰적 암시 = 58 성찰적 암시와 자발적 암시의 구별 = 58 상상이 의지보다 중요하다 = 59 잠재의식적 자유의 용솟음 = 60 경합 = 61 주의고정 = 62 자기암시 = 63 타인암시는 즉 자기암시이다 = 64 쿠에의 방법 = 65 보두엥의 방법 = 67 자기암시의 효험 = 68 제4장 자네 = 71 히스테리의 실례 = 74 몽유병 = 74 배회증 = 75 이중인격 = 77 모든 히스테리의 공동 원리: 고착관념 = 77 망각 = 78 분리작용 = 79 정신병은 생리적인 것이 아니라는 예 = 81 분리작용의 원인 = 83 종합작용의 실패 = 83 의식범위의 축소 = 85 심리적 수평선의 하락 = 85 심리적 에너지의 소모 = 86 상처받은 기억 = 87 자네와 프로이트 = 89 정신병의 치료 = 90 마음의 절약은 휴식치료 = 90 격리치료 = 91 청산 = 92 마음의 소득 = 92 저장된 에너지의 동원 = 93 자네 학설에 대한 비평 = 94 자네 학설의 약점 = 95 제5장 프로이트(上) = 99 브로이어의 '담화요법' = 102 히스테리의 세 가지 특징 = 103 쾌락원칙과 현실원칙 = 104 성욕본능과 자아본능 = 105 성욕의 의의: 리비도 = 106 충돌과 억압 = 106 관념과 정조 = 107 관념복합체 = 108 무의식, 잠재의식, 전의식, 관념복합체의 구별 = 109 검사작용 = 110 꿈의 감춰진 생각과 드러난 내용 = 111 상징의 필요성 = 113 꿈의 작업 = 114 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 = 115 망각과 실수 = 115 사전 결정론 = 116 위트 = 118 경향성을 띤 위트의 예 = 118 위트는 왜 쾌락을 불러오나 = 120 심리적 힘의 절감 = 120 웃음 = 122 문예와 승화작용 = 123 결점의 보상 = 123 제6장 프로이트(下) = 125 신경병과 정신병 = 127 정신쇠약 = 128 전환히스테리 = 130 초조히스테리 = 131 강박히스테리 = 132 양가감정 = 133 토템과 금기 = 135 제사고기 나눠먹기 예식과 죄악의식 = 137 정신분석 = 138 자유연상법 = 140 '저항' = 140 '감정전이' = 141 프로이트 학설에 대한 비평: 그의 공헌 = 142 그의 결점 = 143 그의 꿈의 해석의 억지성 = 144 생리적 근거의 결여 = 147 제7장 융 = 149 융 = 149 비엔나학파와 취리히학파의 논쟁 = 151 융과 프로이트의 구별 = 152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 = 152 집단적 무의식 = 154 사유의 원형 = 155 Persona와 Anima = 156 성욕관과 능력관 = 157 인과관계와 최후결과 = 160 두 학파의 정신분석법 = 164 단어연상법 = 165 내향과 외향 = 167 보상작용 = 170 융의 학설에 대한 비평 = 171 심리원형 학설의 결점 = 172 습득성이 유전될 수 있을까 = 173 제8장 아들러 = 175 아들러 = 175 심리학은 목적 중시해야 = 178 상승 욕구와 남성적 항의 = 179 양극설 = 180 기관결함과 보상 = 181 아동심리와 보상 = 182 부드러움으로 이긴다 = 183 정신병은 도피 = 184 성욕은 상승 의지의 변장 = 185 결함의 느낌과 '상승 의지'의 충돌 = 186 꿈의 해석 = 187 정신병의 치료 = 190 교육의 중요성 = 190 개인심리학의 태도 = 191 아들러 학설에 대한 비평 = 193 제9장 프린스 = 195 영미학파 = 197 기억의 단계 = 198 의식적 기억과 생리적 기억 = 199 무엇을 무의식이라 하나 = 200 연락작용 = 200 심리학적 의미 = 201 의미와 상징 = 202 무엇을 잠재의식이라 하나 = 203 2차적 의식 = 203 부(副)의식의 예 = 204 세 가지 분리될 수 있는 시스템 = 206 분리의 원인 = 207 충돌작용 = 208 배제는 왜 분열을 야기하나 = 209 본능의 배제와 정조의 배제 = 209 잠재의식의 확대 = 210 정신병과 '최면 후 암시'가 유사하다 = 213 다중인격의 실례 = 214 프린스 학설에 대한 비평 = 220 참고문헌 = 223 부록 = 231 1. 프로이트의 무의식학설과 심리분석 = 233 2. 맥두걸과 워슨이 행위주의파로 병렬될 수 있는가 = 253 3. 문학연구의 길 = 261 4. 원시시가 속에서 성욕 '모티브'의 위치 = 267 5. 중국의 사상 위기 = 277 역자 후기 =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