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444camcc2200409 c 4500 | |
001 | 000045664355 | |
005 | 20110902162550 | |
007 | ta | |
008 | 110902s2011 ulk 001c kor | |
020 | ▼a 9788955441611 ▼g 93370 | |
035 | ▼a (KERIS)REQ000020274980 | |
040 | ▼a 211032 ▼d 211009 | |
041 | 1 | ▼a kor ▼b eng ▼h jpn |
082 | 0 4 | ▼a 379 ▼2 22 |
085 | ▼a 379 ▼2 DDCK | |
090 | ▼a 379 ▼b 2011 | |
245 | 0 0 | ▼a 비판적 교육학과 공교육의 미래 : ▼b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을 재검토한다 / ▼d 마이클 W. 애플, ▼e 제프 위티, ▼e 나가오 아키오 편 ; ▼e 정영애 [외]옮김 |
246 | 1 9 | ▼a 批判的敎育學と公敎育の再生 : ▼b 格差を廣げる新自由主義改革を問い直す |
246 | 1 1 | ▼a Critical education and the struggle for public schools : ▼b contesting neoliberal education reform and beyond |
246 | 3 | ▼a Hihanteki kyoikugaku to kokyoiku no saisei : ▼b kakusa o hirogeru shin jiyu shugi kaikaku o toinaosu |
260 | ▼a 서울 : ▼b 원미사, ▼c 2011 | |
300 | ▼a 264 p. ; ▼c 23 cm | |
500 | ▼a 옮긴이: 정영애, 이명실, 고경임, 김미란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Apple, Michael W., ▼d 1942-, ▼e 편 ▼0 AUTH(211009)18906 |
700 | 1 | ▼a Whitty, Geoff, ▼d 1946-, ▼e 편 ▼0 AUTH(211009)75143 |
700 | 1 | ▼a 長尾彰夫, ▼d 1946-, ▼e 편 ▼0 AUTH(211009)42704 |
700 | 1 | ▼a 정영애, ▼e 역 |
700 | 1 | ▼a 이명실, ▼e 역 ▼0 AUTH(211009)11656 |
700 | 1 | ▼a 고경임, ▼e 역 ▼0 AUTH(211009)59376 |
700 | 1 | ▼a 김미란, ▼e 역 ▼0 AUTH(211009)20094 |
900 | 1 0 | ▼a 애플, 마이클 W., ▼e 편 |
900 | 1 0 | ▼a 위티, 제프, ▼e 편 |
900 | 1 0 | ▼a 나가오 아키오, ▼e 편 |
900 | 1 0 | ▼a Nagao, Akio,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 2011 | Accession No. 1116407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마이클 W. 애플(지은이)
1942년생. 위스콘신 대학교 석좌교수. 교육학자가 되기 이전에 교사였으며 교원노조의 대표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이런 경험이 밑바탕이 되어 교육학자가 된 이후에도 꾸준히 교육을 정치적 맥락 속에서 위치시켜 통합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진보적 지식인의 모습을 견지했으며, 교육운동과 사회 변화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 2014년에 세 번째로 한국을 방문하게 되었다. 1989년 방문 당시 전교조 지지 발언으로 안기부의 감시와 억류를 당한 적이 있는, 한국을 특별하게 생각하는 세계적 교육 석학이다(연구실 문패에 우리말로 자기 이름까지 써두었다고 한다). 2001년 방문 때에는 신자유주의와 신보수주의의 신헤게모니 블록이 시장원리로 교육을 ‘개혁’하는 것의 문제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Ideology and Curriculum』(1979, 한국어판 제목 『교육과 이데올로기』)은 지난 100년 동안 교육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책 20권에 선정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80~1990년대 진보적 교육 영역에서 『교육과 권력』 등과 더불어 필독서 가운데 하나였다. 오랫동안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 분석에 헌신한 그는 “기존의 교육과정을 비판적인 통찰력으로 해체하고, 새로운 지식을 개발”하려는 운동을 펼치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의 강연 등 신자유주의 헤게모니 블록에 균열을 내기 위한 연대를 실천하고 있다.
정영애(옮긴이)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서문 / 마이클 W. 애플 ; 제프 위티 ; 나가오 아키오 = 3 옮긴이의 말 = 5 제1장 비판적 교육학의 정치, 이론, 현실 / 마이클 W. 애플 ; 웨인 오우 머리말 = 19 1. 비판적 교육연구와 실천의 다섯 가지 과제 = 20 2. 비판적 교육학의 정치적 뿌리 = 22 3. 증언자로서의 비판적 교육연구 = 27 4. 파우로 프레이리와 비판적 교육학의 전개 = 30 5. 내재하는 긴장관계와 모순 = 33 6. 비판적 교육학과 보수적 사회운동 = 36 7. 피반적 교육학과 진보적 사회운동 = 39 8. 맺음말에 대신하여 = 43 제2장 언어 리터러시 교육의 정치학 / 사토 마나부 1. '신학습지도요령'과 언어교육 = 57 2. 도구기능 교육으로서 언어교육 = 59 3. 언어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 61 4. 리터러시 교육의 세 가지 접근 = 63 5. '언어=도구기능'적 이데올로기의 기원 = 69 6. 결론: 언어교과의 구상 = 73 제3장 교육의 시장화와 그 문제 - 교육 바우처ㆍ학교선택제의 정책담론가 현실 / 이누이 아키오 머리말 = 79 1. 교육 바우처와 학교선택제: '교육재생회의'의 논의 = 82 2. 학교선택을 둘러싼 학계의 논쟁 = 86 3. 학교선택제 도입의 현실 = 89 맺음말 = 96 제4장 공교육의 위기와 학교선택ㆍ바우처 제도 / 오타 나오코 머리말 = 103 1. 영국 교육개혁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 104 2. 교육개혁의 일본적 맥락 = 109 3. 일본 교육개혁의 동향 = 114 제5장 일본의 학교교육과 성정치학 / 기무라 료코 1. 교육의 헤게모니 투쟁과 젠더 비난 = 129 2. 학교, 근대적 젠더질서의 형성 장치 = 132 3. 남녀평등의 원칙과 젠더질서의 재편성 = 136 4.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내재된 젠더질서 = 139 5. 교육과 성정치학의 전망 = 147 제6장 비교교육학에 대한 비판적 접근 - 전지구적 저항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 다카야마 게이타 1. 일본과 미국 교육개혁의 특징 = 155 2. 비교교육학과 오리엔탈리즘의 유산 = 157 3. 비서구적 타자의 관점에서 본 '비교'에 대한 비판 = 160 4. 미국의 교육담론에 나타난 일본교육 = 163 5. 일본의 교육담론에 나타난 미국교육 = 166 6. 미국과 일본 교육개혁의 '역방향'론 = 171 7. 전지구적 교육의 구조적 재편 = 174 8. 전지구적 저항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 180 제7장 교육개혁의 정치학 - 새로운 교사론이 구축을 위하여 / 나가오 아키오 1. 최근 교육개혁의 동향 = 193 2. 교육개혁의 정치학적 분석 = 197 3. 교육개혁과 교사론의 위상 = 201 4. 교육개혁에 나타난 교사론의 정치학 = 207 제8장 일본의 교사와 교원제도 개혁 / 구도미 요시유키 머리말: 교육개혁 시대의 교사들 = 215 1. 교사업무의 재검토 = 216 2. 교원제도 개혁의 동향과 비판적 검토 = 224 맺음말 / 나가오 아키오 = 235 Abstract(영문요약) = 237 INDEX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