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제도분석 : 이론과 쟁점 제2판

제도분석 : 이론과 쟁점 제2판 (13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하연섭
서명 / 저자사항
제도분석 : 이론과 쟁점 / 하연섭 저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서울 :   다산출판사,   2011   (2013)  
형태사항
xxi, 411 p. : 도표 ; 24 cm
ISBN
9788971103975
서지주기
참고문헌(p. [367]-408)과 색인수록
000 00710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64329
005 20140904115547
007 ta
008 110902s2011 ulkd b 001c kor
020 ▼a 9788971103975 ▼g 93350
035 ▼a (KERIS)REQ000020336848
040 ▼a 241044 ▼c 241044 ▼d 211009
082 0 4 ▼a 302.35 ▼2 23
085 ▼a 302.35 ▼2 DDCK
090 ▼a 302.35 ▼b 2011z5
100 1 ▼a 하연섭 ▼0 AUTH(211009)49058
245 1 0 ▼a 제도분석 : ▼b 이론과 쟁점 / ▼d 하연섭 저
246 1 1 ▼a Institutional analysis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다산출판사, ▼c 2011 ▼g (2013)
300 ▼a xxi, 411 p. : ▼b 도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367]-408)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35 2011z5 등록번호 111640750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35 2011z5 등록번호 11166249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2.35 2011z5 등록번호 1212306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35 2011z5 등록번호 1513028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35 2011z5 등록번호 111640750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35 2011z5 등록번호 11166249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2.35 2011z5 등록번호 1212306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35 2011z5 등록번호 1513028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하연섭(지은이)

(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장 (현) 재정개혁특별위원회 위원 (현) 국회예산정책처 예산정책연구 편집위원장 교육부총리 정책보좌관 Indiana University 정책학 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Ⅰ부 서론  
 제1장 사회과학과 신제도주의 연구 
  Ⅰ 신제도주의 이론 = 3
  Ⅱ 신제도주의의 쟁점 = 6
  Ⅲ 책의 구성 = 9
 제2장 제도이론의 발전 
  Ⅰ March와 Olsen의 제도이론 = 16
   1. 주류 사회과학에 대한 비판 = 16
   2. 제도적 맥락의 중요성 = 18
   3. 적절성의 논리 = 20
   4. 선호형성의 내재성 = 22
   5. 역사발전의 비효율성과 경로의존성 = 22
   6. March와 Olsen의 공헌과 한계 = 23
  Ⅱ 정치학 및 정책연구에서의 신ㆍ구제도주의 비교 = 25
   1. 정치학에서의 구제도주의의 특징 = 25
   2. 정치학 및 정책연구에서의 신ㆍ구제도주의 차이점 = 26
  Ⅲ 사회학 및 조직연구에서의 신ㆍ구제도주의 비교 = 28
   1. 조직연구에서의 신제도주의의 등장 = 28
   2. 사회학에서의 신ㆍ구제도주의 차이점 = 29
  Ⅳ 경제학에서의 신ㆍ구제도주의 비교 = 32
   1. 경제학에서의 구제도주의의 특징 = 32
   2. 경제학에서의 신ㆍ구제도주의 차이점 = 33
제Ⅱ부 신제도주의 이론  
 제3장 역사적 제도주의  
  Ⅰ 역사적 제도주의의 이론적 발전 = 38
  Ⅱ 제도의 의미 = 43
  Ⅲ 역사적 제도주의의 주요 주장 = 46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서의 제도 = 46
   2. 제도와 선호형성 = 48
   3. 국가 - 사회관계와 제도 = 49
   4. 거시적 맥락과 제도의 복합적 모습에 대한 분석 = 51
   5. 불평등한 권력관계와 정책 = 53
   6. 역사적 과정과 경로의존에 대한 강도 = 56
  Ⅳ 역사적 제도주의에 대한 비판 = 60
   1. 일반화의 문제 = 61
   2. 행위에 대한 미시적 설명의 문제 = 61
   3. 제도결정론의 문제 = 62
   4. 제도변화에 대한 설명의 문제 = 63
  Ⅴ 역사적 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 64
   1. 역사적 제도주의의 방법론적 특징 = 64
   2. 역사적 제도주의 구조와 행위 = 66
   3. 제도변화 = 68
 제4장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  
  Ⅰ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 이론적 기초 = 72
   1. 합리적 선택이론의 기존가정 = 72
   2.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의 기원 = 76
  Ⅱ 신제도주의 경제학 = 78
   1. 신고전파 경제학 = 78
   2.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기본특징 = 79
   3. Coase와 Williamson의 신제도주의의 경제학 = 81
  Ⅲ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의 주요 주장 = 84
   1. 사회적 딜레마의 해결책으로서의 제도 = 84
   2. 게임의 규칙으로서의 제도 = 86
   3. 합리성과 제도의 결합으로서의 사회현상 = 88
   4. 의식적 설계의 결과로서의 제도 = 89
   5. 균형으로서의 제도 = 90
  Ⅳ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의 문제점 = 91
   1. 제도의 비공식적 측면에 대한 무시 = 91
   2. 선호형성에 대한 부적절한 설명 = 91
   3. 제도형성에 대한 기능주의적 설명 = 92
   4. 역사적 과정과 맥락에 대한 무시 = 94
   5. 권력관계의 무시 = 95
  Ⅴ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 96
   1. 제도의 비공식적 측면에 대한 관심 = 97
   2. 인지구조와 문화에 대한 관심 = 98
   3. 선호형성의 내재성 = 100
   4. 권력관계에 대한 관심 = 102
   5. 분석적 서술기법의 등장 = 105
  Ⅵ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의 앞으로의 방향 = 106
 제5장 사회학적 제도주의  
  Ⅰ 사회학적 제도주의의 이론적 기초 = 110
   1. 사회학적 제도주의의 기본문제 = 110
   2. 사회학적 제도주의에서의 개인과 개인성 = 110
   3. 사회학적 제도주의에서의 제도와 제도화 = 112
  Ⅱ 인지 - 문화적 접근법으로서의 사회학적 제도주의 = 115
   1. 인지 - 문화적 접근법의 의미 = 115
   2. Berger와 Luckmann의 이론 = 117
  Ⅲ 동형화와 수렴 = 120
   1. DiMaggio와 Powell의 동형화 = 120
   2. Meyer와 Rowan의 제도이론 = 122
  Ⅳ 사회학적 제도주의에 대한 비판 = 125
   1. 이익추구 행위의 무시 = 125
   2. 미시적 수준의 행위 무시 = 125
   3. 권력현상의 무시 = 126
   4. 적용범위의 제한성 = 127
  Ⅴ 사회학적 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 128
   1. 이익추구 행위에 대한 인정 = 128
   2. 결과성의 논란에 대한 인정 = 130
   3. 문화의 구성요소의 다양성에 대한 인정 = 131
   4. 권력관계와 제도 = 132
제Ⅲ부 제도분석의 쟁점  
 제6장 제도변화  
  Ⅰ 신제도주의와 제도변화 = 138
   1. 역사적 제도주의와 제도변화 = 138
   2.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와 제도변화 = 142
   3. 사회학적 제도주의와 제도변화 = 156
   4. 제도변화의 기제 = 159
  Ⅱ 최근의 제도변화이론 : 내부적ㆍ점진적 제도변화 = 161
   1. 구성요소의 재결합과 제도변화 = 162
   2. 제도의 모호성, 불완전성과 제도변화 = 167
   3. 제도변화에 있어서 구조와 행위 = 170
   4. 점진적 변화과정과 근본적 제도변화 = 172
  Ⅲ 제도설계 : 의도적ㆍ합리적 제도설계의 가능성 = 176
   1. 적절성의 논리와 제도설계 = 177
   2. 단기적 시각과 제도설계 = 178
   3. 제도설계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 = 178
   4. 경로의존과 제도설계 = 179
 제7장 경로의존, 시간, 제도분석  
  Ⅰ 경제학에서의 수확체증과 경로의존 = 184
   1. 수확체증의 의미 = 184
   2. 수확체증의 원인 = 186
   3. 수확체증의 특징 = 187
   4. QWERTY와 경로의존 = 188
  Ⅱ 정치ㆍ사회현상과 경로의존 = 191
   1. 집합행위의 문제 = 192
   2. 권력 불균형의 문제 = 192
   3. 복잡한 현실과 인식의 제약 = 193
   4. 제도의 점착성 = 194
   5. 제도적 상호보완성 = 195
  Ⅲ 경로의존과 제도분석 = 197
   1. 제도분석에 대한 경로의존 현상의 의미 = 197
   2. 시점과 경로의존 = 199
  Ⅳ 경로의존과 시간 = 202
   1. 경로의존, 역사적 인과관계, 시차 = 202
   2. 일반선형모형과 시간 = 205
  Ⅴ 경로의존과 제도변화 = 208
 제8장 아이디어와 제도  
  Ⅰ 아이디어의 개념과 유형 = 215
  Ⅱ 신제도주의와 아이디어 = 217
   1.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에서의 아이디어 = 217
   2. 역사적 제도주의에서의 아이디어 = 219
   3. 사회구성주의에서의 아이디어 = 222
  Ⅲ 아이디어와 제도변화 = 224
  Ⅳ 아이디어와 틀 짓기 = 230
  Ⅴ 아이디어의 확산과 해석 = 233
  Ⅵ 담론과 제도 = 235
  Ⅶ 결론 = 238
 제9장 제도분석과 연구방법론  
  Ⅰ 사회과학의 세 가지 방법론 = 242
   1. 법칙적인 일반화의 추구 = 242
   2. 해석주의 = 246
   3. 중범위이론의 추구 : 비교역사적 접근법 = 247
  Ⅱ 사례지향 연구와 인과기제의 분석 = 253
   1. 변수지향 연구와 사례지향 연구 = 253
   2. 인과기제의 분석 = 256
   3. 이노가기제 분석과 방법론적 개체주의 = 257
   4. 인과관계의 설명과 예측 = 259
   5. 사례지향 연구, 인과기제 분석 및 중범위이론 = 260
  Ⅲ 인과관계의 복잡성, 시간, 체계적 과정분석 = 261
   1. 인과관계의 복잡성과 역사 = 261
   2. 체계적 과정분석 = 263
제Ⅳ부 제도이론의 응용  
 제10장 정책아이디어와 제도변화 : 우리나라에서 신자유주의의 해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Ⅰ 서론 = 269
  Ⅱ 신자유주의와 선택적 해석 : 이론적 논의 = 271
   1. 불확실성과 정책아이디어 = 271
   2. 신자유주의의 다양성과 선택적 해석 = 274
   3. 제도변화의 맥락과 정책변환 = 278
  Ⅲ 신자유주의로의 전환 = 280
   1. 경제자유화 정책으로의 전환 = 280
   2. 세계화 담론과 신자유주의로의 전환 = 282
   3. 외환ㆍ금융위기와 신자유주의의 심화 = 284
  Ⅳ 정치경제적 맥락과 한국의 신자유주의 = 287
   1. 발전국가의 위기, 민주화, 그리고 신자유주의 = 287
   2. 신자유주의로의 전환을 둘러싼 정치적 역학관계 = 291
   3. 신자유주의와 우리나라 규제완화의 특징 = 293
  Ⅴ 요약 및 결론 = 297 
 제11장 교육과 직업훈련 정책의 비교 분석 :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을 중심으로 
  Ⅰ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 = 303
   1. 제도적 상호보완성과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 = 303
   2.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의 주요 쟁점 = 306
  Ⅱ 생산레짐과 교육 및 직업훈련 정책 = 310
   1. 정부 - 기업 - 개인과 교육ㆍ훈련 정책 = 310
   2. 교육ㆍ훈련 정책과 제도적 상호보완성 = 313
  Ⅲ 독일, 일본, 미국 사례의 비교 = 316
   1. 독일 = 316
   2. 일본 = 321
   3. 미국 = 324 
  Ⅳ 요약 및 결론 = 326 
제Ⅴ부 결론 
 제12장 신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 이론적 자기혁신 
  Ⅰ 신제도주의 세 분파의 주요 주장과 한계 = 336
   1. 신제도주의 세 분파의 제도에 대한 공통된 해석 = 336
   2. 신제도주의 세 분파의 특징과 차이점 = 337
  Ⅱ 신제도주의 세 분파의 이론적 자기혁신 = 344
   1. 제도와 행위 = 344
   2. 선호형성과 제도 = 347
   3. 권력관계와 제도 = 349
   4. 합리성과 제도 = 352
   5. 제도변화와 경로의존 = 355
   6. 방법론의 수렴 = 359
  Ⅲ 결론 = 362
참고문헌 = 367 
찾아보기 = 409 

관련분야 신착자료

有山輝雄 (2023)
Gladwell, Malcolm (2023)
Luhmann, Niklas (2023)
변용수 (2023)
샌드박스네트워크. 데이터랩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