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최신면역학

최신면역학 (4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미생물 면역분과학회
서명 / 저자사항
최신면역학 / 미생물 면역분과학회
발행사항
서울 :   라이프사이언스,   2011  
형태사항
x, 314 p. : 삽화 ; 28 cm
ISBN
9788961540971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596namcc2200217 c 4500
001 000045661732
005 20110826144958
007 ta
008 110818s2011 ulka b 001c kor
020 ▼a 9788961540971 ▼g 935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6.079 ▼2 22
085 ▼a 616.079 ▼2 DDCK
090 ▼a 616.079 ▼b 2011z1
110 ▼a 미생물 면역분과학회
245 1 0 ▼a 최신면역학 / ▼d 미생물 면역분과학회
246 3 ▼a 면역학
260 ▼a 서울 : ▼b 라이프사이언스, ▼c 2011
300 ▼a x, 314 p. : ▼b 삽화 ; ▼c 28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079 2011z1 등록번호 1310414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079 2011z1 등록번호 1410778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6.079 2011z1 등록번호 1410778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1장 면역계의 개요 = 1
 1.1.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 1
  1) 선천면역(자연면역) = 1
  2) 적응면역(획득면역) = 3
 1.2. 면역반응의 특징 = 4
 1.3. 면역세포 = 5
  1) T세포 = 5
  2) B세포 = 6
  3) 항원제시세포 = 6
  4) MHC에 제한적인 T 세포 반응 = 6
 1.4. 클론 선택설 = 6
 1.5. 면역기능 장애 = 7
2장 면역세포 및 면역기관 = 8
 2.1. 조혈작용 = 8
 2.2. 면역계 세포 = 10
  1) 대식세포 = 10
  2) 과립세포 = 11
  3) 비만세포 = 12
  4) 수지상세포 = 12
  5) 소포 수지상세포 = 12
  6) 임파구 = 13
  7) NK 세포 = 14
 2.3. 면역 조직의 구조와 기능 = 15
  1) 골수 = 15
  2) 흉선(가슴샘) = 16
  3) 림프절 = 16
  4) 비장 = 18
  5) 피부 면역계 = 19
  6) 점막 면역계 = 19
3장 선천면역 = 21
 3.1. 선천면역계에 의한 면역조절 = 21
 3.2. 선천면역계의 구성 = 22
  1) 해부ㆍ물리적 방어체계 = 23
  2) 호중구 = 24
  3) 대식세포 = 25
  4) 자연살해세포 = 25
  5) 수지상세포 = 27
 3.3. 패턴인식 면역수용체 = 27
  1) Toll-유사 수용체 = 28
  2) TLR 신호전달 경로 = 30
 3.4. 선천면역 매개 분자 = 32
  1) 항미생물 펩티드 = 32
  2) 급성기 반응 단백질 = 33
  3) 싸이토카인 = 33
  4) 케모카인 = 33
  5) 지질분자 = 34
 3.5. 염증반응 = 34
  1) 세포부착분자 = 36 
  2)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 38
  3) 혈장 유래 염증인자들 = 41
  4) 염증반응의 단계 = 42
  5) 항염증제 = 43
 3.6. 선천면역계의 종간 공유 = 44
4장 항원과 항체 = 46
 4.1. 항원 = 46
  1) 항원 및 면역원의 정의 = 46
  2) 면역원성 결정 요인 = 47
  3) 면역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 = 48
  4) 항원결정기(에피토프, elitpoe) = 48
  5) 혈액형 항원 = 49
 4.2. 항체 = 49
  1) 항체의 기본 구조 = 49
  2) 항체결합부위 = 51
  3) 항체가 매개하는 작용기작 = 52
  4) 항체의 종류 및 생물학적 활성 = 54
  5) 면역글로불린의 항원결정부위 = 56
  6) B 세포 수용체 = 57
  7) 단클론 항체 = 58
5장 항원-항체 상호반응 = 61
 5.1. 친화력과 결합력 = 62
  1) 항체의 친화력 = 62
  2) 항체의 결합력 = 64
 5.2. 특이성, 민감도, 재현성, 교차반응성 = 64
 5.3. 공정분석기술(PAT)과 표면 플라즈몬 반향법(SPR) = 65
  1) SPR은 한 항원에 반응하는 여러 항체의 항원결정기에 대한 특이성을 검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 66
 5.4. 침강반응 = 67
  1) 겔 내에서 일어나는 침강반응은 침전선으로 보인다  = 67
  2) 면역 전기영동법 = 68
 5.5. 응집반응 = 69
  1) 응집억제 시험 = 70
 5.6. 면역입자분석법 = 70
 5.7. 방사면역측정법(RIA) = 70
 5.8. 효소면역측벙법(ELISA) = 71
  1) 간접 ELISA = 72
  2) 샌드위치 ELISA = 73
  3) 경쟁 ELISA = 73
  4) 증폭 ELISA = 74
  5) 화학발광검사 = 74
  6) ELISPOT 측정법 = 74
 5.9. 웨스턴 블롯법과 면역 블롯법 = 75
 5.10. 면역침전법(Immunoprecipitation) = 75
 5.11. 면역형광법 = 76
 5.12. 유세포 분석과 형광 = 77
 5.13. 바이오 칩 = 78 
  1) Chip의 종류와 원리 = 79 
6장 보체 = 83 
 6.1. 보체의 기능 = 84
 6.2. 보체의 구성요소 = 84
 6.3. 보체의 활성화 = 85
  1) 고전 경로 = 85
  2) 대체 경로 = 87
  3) 렉틴 경로 = 87
  4) 막공격 복합체 = 87
 6.4. 보체계의 조절 = 88
 6.5. 보체의 생물학적 기능 = 90
  1) 보체매개성 용해 = 90
  2) 염증반응의 매개 = 91
  3) 옵소난화 = 91
  4) 바이러스 감염의 중화 = 91
  5) 면역복합체의 제거 = 92
 6.6. 보체결핍증 = 93
7장 주조직적합성 항원과 항원제시 = 94
 7.1. MHC의 중요성 = 94
 7.2. 발견 및 명명 = 95
 7.3. MHC 유전자의 종류 및 기능 = 96
  1) MHC class Ⅰ 분자에 대한 유전자 = 96
  2) MHC class Ⅱ 분자에 대한 유전자 = 96
  3) MHC class Ⅲ 분자에 대한 유전자 = 97
  4) 일배체형 = 97
  5) MHC 분자의 유전자 지도 = 97
  6) MHC 분자의 발현 및 조절 = 99
 7.4.  MHC class Ⅰ및 MHC class Ⅱ 분자의 구조 = 100
  1) MHC class Ⅰ분자 = 100
  2) MHC class Ⅱ분자 = 101
  3) MHC와 다형성 = 101
 7.5. MHC 기능 = 101
  1) T 세포의 항원 인지 특성 = 102
  2) 항원제시세포 및 기능 = 102
  3) 항원 처리과정 및 제시 = 104
  4) 항원제시 경로 = 105
 7.6. MHC와 질병 = 110
8장 항원 수용체 = 111
 8.1. B세포 및 T세포 수용체 유전자의 재조합 = 111
  1) B세포 수용체와 T세포 수용체의 germ-line 유전자 구조 = 111
  2) 유전자 재조합 = 112
 8.2. B세포 및 T세포 수용체의 다양성 = 114
  1) B세포 및 T세포 수용체의 공통적 다양성 = 114
  2) B세포 수용체만의 다양성 = 114
 8.3. B세포 및 T세포 수용체의 발현 = 114
  1) B세포 와 T세포의 발달 = 114
  2) B세포 수용체의 발현 = 115
  3) T세포 수용체의 발현 = 116 
9장 T세포의 발달과 활성 = 120 
 9.1. T세포 발달의 개요 = 120 
 9.2. 흉선에서 T세포의 성숙 = 121
 9.3. T세포의 성숙 = 124
  1) 흉선에서의 양성 및 음성선택 = 124
  2) 음성선택의 자가관용 확인 = 125
  3) 양성 및 음성선택의 필수요소 = 125
  4) 흉선 선택과 관련된 몇 가지 핵심적인 문제 = 127
 9.4. T세포의 분화 = 129
  1) 활성화된 T세포의 작용 및 기억 T세포의 생성 = 130
  2) CD$$4^+$$CD2$$5^+$$ T세포 아집단의 면역반응 억제 = 131
  3) 항원제시세포들의 특징적인 공동자극의 성질 = 132
 9.5. T세포의 활성 = 133
 9.6. 세포자멸사와 T세포 집단 = 140
10장 B세포의 발달과 활성 = 144
 10.1. B세포의 발달 = 144
  1) B세포 발달의 시작 = 144
  2) 미성숙 B세포로의 분화 = 145
  3) Pre-B 세포 수용체(Pre-BCR) = 145
  4) B세포 발달에 필요한 전사인자 = 146
  5) 세포표면 항원 = 147
  6) B-1 세포 및 B-2 세포 = 147
  7) 자가항원에 반응하는 B세포의 선별 = 148
 10.2. B세포 활성과 분열 = 148
  1) 흉선-의존성 및 흉선-비의존성 항원에 의한 반응 = 148
  2) 항원과 B세포 수용체의 결합을 통한 신호전달 = 149
  3) B세포 공동수용체 = 151
  4) $$T_H$$세포와 B세포의 상호작용 = 152
 10.3. Germinal center 및 항원에 의한 B세포 분화 = 153
  1) 친화력 성숙 = 153
  2) 항체의 클래스 전환 = 154
  3) 기억세포와 형질세포의 형성 = 155
 10.4. 체액성 면역반응 = 156
  1) 체액성 면역반응의 일반적 특성 = 156
  2) 체액성 면역의 1차 반응과 2차 반응 = 157
  3) Germinal center에서 유도되는 체액성 면역반응 = 158
11장 싸이토 카인 = 160
 11.1. 싸이토카인의 특성 = 161
  1) 국소적 작용 = 161
  2) 수용체에 대한 높은 친화력 = 161
  3) 다면성과 중복성 = 161
  4) 다른싸이토카인과의 상승 및 길항 작용 = 161
  5) 싸이토카인의 구조 = 161
  6) 싸이토카인의 기능 = 163
 11.2. 싸이토카인 수용체와 신호전달 = 163
  1) 수용체의 분류 = 163
  2) 싸이토카인의 신호전달과정 = 164 
  3) 싸이토카인의 길항제 = 165
 11.3. 선천면역반응 조절 싸이토카인 = 165
  1) 종양괴사인자 = 165
  2) 제1형 인터페론 = 166
  3) 인터루칸-1(IL-1) = 167
  4) 인터루칸-6(IL-6) = 167
  5) 인터루칸-10(IL-10) = 168
  6) 인터루칸-12(IL-12) = 168
  7) 인터루칸-15(IL-15) = 169
  8) 인터루칸-18(IL-18) = 169
  9) 인터루칸-15(IL-23) = 169
  10) 선천면역과 염증에서 싸이토카인의 역할 = 169
 11.4. 적응면역반응 조절 싸이토카인 = 169
  1) 인터루칸-2(IL-2) = 170
  2) 인터루칸-4(IL-4) = 170
  3) 인터루칸-5(IL-5) = 170
  4) 인터루칸-13(IL-13) = 171
  5) 인터페론-γ(IFN-γ) = 171
  6) 전환성장인자-β(TGF-β) = 172
  7) 림포톡신(LT) = 172
  8) 인터루칸-17(IL-17) = 172
  9) 인터루칸-21(IL-21) = 172
  10) 적응면역에서 T세포 싸이토카인의 역할 = 173
 11.5. 조혈작용 싸이토카인 = 173
  1) 에리트로포이에틴(Epo) = 173
  2) 과립구-단핵구-집락자극인자(GM-CSF) = 173
  3) 줄기세포인자(stem cell factor, SCF, c-kit 리간드) = 173
  4) 인터루칸-3(IL-3) = 173
  5) 인터루칸-7(IL-7) = 173
  6) 인터루칸-11(IL-11) = 174
 11.6. 싸이토카인과 관련된 질병들 = 174
  1) 패혈쇼크는 IL-1과 종양괴사인자의 과다 생성 = 174
  2) 림프종과 골수암에 나타나는 IL-6의 활성 = 174
  3) 샤가스병은 IL-2 수용체 발현 감소와 연관 = 174
12장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 = 175
 12.1. 세포성 면역 = 175
  1) 세포성 면역반응의 유형 및 특성 = 175
  2) 작용 CD$$4^+$$ T세포(Effector CD$$4^+$$ T lymphocyte) =177
  3) 작용 CD$$8^+$$ T세포: 세포독성 T세포 = 184
  4) 기억 T세포 = 186
 12.2. 체액성 면역 = 187
  1) 체액성 면역의 개요 = 187
  2) 미생물 및 미생물 독소의 중화 = 188
  3) 항체 의존성 미생물의 탐식작용 및 세포독성 = 188
13장 미생물에 대한 면역 = 192
 13.1.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 192 
  1) 비특이적 면역 = 192
  2) 특이적 면역 = 193
  3) 외독소를 생성하는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 193
  4) 전신감염에 대한 면역 = 193
  5) 면역반응으로부터의 도피기전 = 194
 13.2.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 195
  1) 비특이적 면역 = 195
  2) 특이적 면역 = 196
  3) 면역반응에 의한 바이러스 질환의 변형 = 197
  4) 바이러스의 면역반응 도피기전 = 197
 13.3. 진균류에 대한 면역 = 197
 13.4. 원충 및 연충에 대한 면역 = 198
  1) 비특이적 면역반응 = 199
  2) 특이적 면역반응 = 199
  3) 면역반응으로부터의 도피기전 = 199
14장 백신 = 201
 14.1. 수동면역과 능동면역 = 202
  1) 수도면역 = 203
  2) 능동면역 = 203
 14.2. 능동면역용 백신고안 = 205
  1) 백신개발 시 필수조건 = 205
  2) 면역기억력의 중요성 = 205
  3) 능동면역용 백신의 장ㆍ단점 = 205
 14.3. 약독화 생(균)백신 = 205
  1) 약독화백신의 종류 = 205
  2) 약독화백신의 장ㆍ단점 = 206
 14.4. 불활성화 백신 또는 사백신 = 207
  1) 불활성화 백신(사백신)의 제조 = 207
  2) 사백신의 장ㆍ단점 = 207
 14.5. 서브유닛 백신 = 207
  1) 독소를 사용하는 백신 = 207
  2) 다당류 협막을 사용한 백신 = 208
  3) 재조합 기법에 의한 병원균의 단백질 생산 = 208
  4) 합성펩티드(synthetic peptide)를 이용한 백신 개발 = 208
 14.6. 접합백신 = 208
  1) 항탄수화물 항체의 효과 = 208
  2) 다가서브유닛 백신 = 209
 14.7. 재조합벡터 백신 = 209
  1) 벡터의 종류 = 210
 14.8. DNA 백신 = 210
  1) DNA 백신의 장점 = 210
  2) DNA 백신의 효능 = 210
  3) DNA 백신에 대한 사회적 반론 = 211
15장 과민반응 = 213
 15.1. IgE-매개성(제1형)과민증 = 214
  1) 제1형 과민반응의 참여성분 = 214
  2) IgE 교차결합에 의한 탈과립화 = 216 
  3) 제1형 과민반응의 종류 = 219
  4) 과민반응 임상검사법 = 220
  5) 제1형 과민증의 치료(의약학적 제어) = 221
 15.2. 항체-매개 세포독성(제2형) 과민증 = 223
  1) 수혈반응 = 223
  2) 신생아 용혈병 = 224
  3) 약물 유도 용혈병 빈혈 = 225
 15.3. 면역복합체-매개(제3형)과민증 = 226
  1) 국소성 제3형 과민반응 = 226
  2) 전신성 제3형 과민반응 = 226
 15.4. 지연형(제4형)과민증 = 227
  1) 단계별DTH반응 = 227
  2) DTH반응에서의 싸이토카인의 역할 = 229
  3) DTH반응의 피부 검사 = 229
  4) 접촉성 피부염 = 229 
16장 면역관용 = 231
 16.1. 면역관용의 일반적인 형태와 기전 = 232
  1) 면역관용의 형성과 유지 = 232
  2) 자기반응 T 및 B세포의 발달을 억제하는 중추관용 = 234
  3) 순환하는 자기반응 세포들에 대한 말초관용의 조절  = 236
  4) 말초관용의 한 구성요소인 조절 T세포 = 237
 16.2. T세포 관용 = 238
  1) T세포의 중추관용 = 238
  2) T세포의 말초관용 = 239
 16.3. B세포 관용 = 245
  1) B세포의 말초관용 = 246
 16.4. 외래 단백질 항원에 의한 면역관용 유도 = 247
 16.5. 면역계의 항상성: 면역반응의 종결 = 248
 16.6. 자가항원을 보호하는 수단: 항원 격리 = 249
 16.7. 면역관용 실패로 인한 자가면역 = 249
17장 자가면역 = 250
 17.1. 장기 특이적 자가면역질환 = 250
  1) 직접적인 손상에 의한 자가면역질환 = 250
  2) 자가항체의 자극이나 방해에 의한 자가면역질환 = 251
 17.2. 전신성 자가면역질환 = 252
  1) 전신홍반루푸스 = 252
  2) 류마티스성 관절염 = 252
  3) 다발성 경화증 = 252
 17.3. 가능한 자가면역 유도기전 = 253
  1) 특정 조직에 격리되어 있던 항원의 방출 = 253
  2) 분자수순의 유사성 = 254
  3) 부적절한 MHC class Ⅱ분자의 발현 = 254
  4) 다클론 B세포 활성화 = 255
 17.4. 자가면역질환의 치료 = 255
  1) 염증반응의 제어 = 255
  2) 활성화된 T세포의 제어 = 256
  3) 면역관용의 유도 = 256 
18장 이식면역 = 257 
 18.1. 동종이식에 대한 면역반응 = 258 
  1) 동종항원의 인식 = 258
  2) 동종반응성 임파구의 활성화와 동종이식편 거부 = 260
 18.2. 동종이식편 거부 기전 = 262
  1) 초급성 거부 = 262
  2) 급성 거부 = 263
  3) 만성 거부 = 264
 18.3. 동종이식편 거부반응의 예방과 치료 = 264
  1) 동종이식편 거부 면역반응 억제 = 264
  2) 동종이식편의 면역원성 억제 = 266
  3) 면역관용 유도 = 266
 18.4. 이종이식 = 268
 18.5. 수혈 = 268
 18.6. 골수이식 = 269
  1) 이식편대 숙주질환 = 269
  2) 골수이식후 면역결핍 현상 =270
19장 종양면역 = 271
 19.1. 암의 기원과 용어 = 271
 19.2. 악성 세포로의 형질전환 = 272
 19.3.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의 증거 = 272
 19.4. 종양면역의 일반적 특성 = 272
 19.5. 종양관련항원 = 272
 19.6. 종양항원의 특성 = 273
 19.7. 종양태야성항원 = 273
  1) 알파페토프로테인 = 273
  2) 암배아성향원 = 273
 19.8. 바이러스성 종양세어의 종양관련 이식항원 = 273
 19.9. 화학물질에 의해 유도된 종양관련 이식항원 = 274
 19.10. 면역감시로부터의 회피 = 274
 19.11. 종양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서 종양 신생항원의  이용 = 274
  1) 면역진단 = 274
  2) 면역치료법 = 274
 19.12 암백신 = 276
20장 면역결핍 = 279
 20.1. 1차 면역결핍 = 279
  1) B 및 T세포와 관련된 림프계 면역결핍 = 280
  2) 골수계면역결핍 = 283
  3) 보체계의 결함 = 284
  4) 결함요소의 대체에 의한 면역결핍의 치료 = 285
 20.2. AIDS와 그 ㅚ 2차 면역결핍 = 285
  1) HIV/AIDS의 심각성 = 285
  2) 성접속, 감염된 혈액 또는 수직감염으로 전파되는 HIV-1 = 286
  3) AIDS의 원인인 역전사바이러스 HIV-1 = 286
  4) HIV-1의 복제주기 = 287
  5) HIV-1 감염과 기회감염 = 288
  6) 역전사바이러스의 복제 저해제 = 289  
  7) 백신개발을 통한 AIDS의 예방 및 치료 = 291
21장 면역 치료제 = 293
 21.1. 치료용 단클론항체 = 293
  1) 치료용 단클론항체의 특징 = 293
  2) 치료용 단클론항체 제작 = 294
  3) 치료용 단클론항체의 종류 및 작용기작 = 295
 21.2. 치료용 백신 = 296
  1) 백신의 원리와 치료용 백신의 등장 = 296
  2) 치료용 백신의 종류와 향후 발전 가능성 = 299
 21.3. 치료용 싸이토카인 = 299
  1) 치료용 싸이토카인 = 299
  2) 싸이토카인의 개발방향과 발전가능성 = 300
 21.4. 면역 유전자 및 세포 치료제 = 301
  1) 유전자 치료제의 원리와 작용기작 = 301
  2) 세포 치료제의 개발과 작용기작 = 302 
  3) 유전자 및 세포 치료제의 임상적 응용 = 303
 21.5. 기타 면역 치료제들 = 303
  1)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면역 치료제들 = 303
  2) 면역 치료제의 향후 과제 및 기대효과 = 305
찾아보기 = 306

관련분야 신착자료

대한우울조울병학회 (2023)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임상뇌파정도관리위원회 (2023)
세브란스병원. 치매센터 (2023)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23)
Marks, Tracey I (2023)
이정화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