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뇌과학 여행자 : 신경과 의사, 예술의 도시에서 뇌를 보다 (4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종성
서명 / 저자사항
뇌과학 여행자 : 신경과 의사, 예술의 도시에서 뇌를 보다 / 김종성
발행사항
서울 :   사이언스북스,   2011  
형태사항
351 p. : 삽화(주로천연색) ; 22 cm
ISBN
9788983715593
서지주기
참고문헌(p. 342-343)과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
뇌 , 뇌과학 , 뇌질환 ,,
000 00706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61397
005 20110823163923
007 ta
008 110609s2011 ulka b 001c kor
020 ▼a 9788983715593 ▼g 03400
035 ▼a (KERIS)BIB000012440072
040 ▼a 211023 ▼c 211023 ▼d 244002 ▼d 211009
082 0 4 ▼a 612.82 ▼2 22
085 ▼a 612.82 ▼2 DDCK
090 ▼a 612.82 ▼b 2011z6
100 1 ▼a 김종성
245 1 0 ▼a 뇌과학 여행자 : ▼b 신경과 의사, 예술의 도시에서 뇌를 보다 / ▼d 김종성
260 ▼a 서울 : ▼b 사이언스북스, ▼c 2011
300 ▼a 351 p. : ▼b 삽화(주로천연색) ; ▼c 22 cm
504 ▼a 참고문헌(p. 342-343)과 색인수록
653 ▼a▼a 뇌과학 ▼a 뇌질환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116531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212114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212114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410780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410780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513009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116531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212114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212114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410780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410780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2.82 2011z6 등록번호 1513009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알퐁스 도데가 다리를 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이러한 의문을 품고 그 답을 추적하려는 사람은 놀랍게도 신경과 의사인 김종성 교수다. 프로방스 전원에서 도는 풍차를 바라보며, 오래 전 읽은 알퐁스 도데의 단편 소설 '코르네유 영감의 비밀'을 떠올린 그는, 세르반테스와 셰익스피어에서 하이네와 전혜린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독서 편력을 펼쳐 보인다.

국내 최고의 신경과 권위자 김종성 교수는 2002년 대한의사협회에서 발표하는 '노벨의학상에 가장 근접한 한국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함춘의학상, 우수 의과학자상, 분쉬 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뇌과학 여행자>는 뇌과학과 예술 기행의 경계에서 이루어진 독특한 여정을 담은 책으로, 2009년 「헬스조선」에 연재된 칼럼 '신경과학자가 본 문학.예술인'을 한층 발전시킨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뛰어난 신경과 의사로서의 전문적인 설명은 물론이고 그와 연관된 다양한 예술가들의 생애와 작품까지를 조명하는 해박한 지식을 풀어 놓았다. 잦은 출장과 바쁜 일정 속에서도 규칙적인 운동으로 건강을 지키는 부지런한 평소 성격과 더불어 문학과 미술, 음악 등 다방면에 조예가 깊은 저자의 열정이 독자를 새로운 여행길로 인도하고 있다.

새로운 뇌과학 탐험
머릿속 여행 안내서

신경과 의사가 들려주는 예술가의 뇌 이야기


알퐁스 도데가 다리를 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이러한 의문을 품고 그 답을 추적하려는 사람은 놀랍게도 신경과 의사인 김종성 교수다. 프로방스 전원에서 도는 풍차를 바라보며, 오래 전 읽은 알퐁스 도데의 단편 소설 「코르네유 영감의 비밀」을 떠올린 그는, 세르반테스와 셰익스피어에서 하이네와 전혜린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독서 편력을 펼쳐 보인다. 이번에 (주)사이언스북스에서 나온 『뇌과학 여행자: 신경과 의사, 예술의 도시에서 뇌를 보다』는 뇌과학과 예술 기행의 경계에서 이루어진 독특한 여정을 담은 책이다.
국내 최고의 신경과 권위자 김종성 교수는 2002년 대한의사협회에서 발표하는 ‘노벨의학상에 가장 근접한 한국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함춘의학상, 우수 의과학자상, 분쉬 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저자는 서울 아산 병원 뇌졸중 센터 소장을 맡고 있는 임상의면서도 국내에서 가장 많은 의학 논문을 써 왔으며(320여 편) 또한 일반인들을 위해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쳐 왔다. 특히 지난 2005년 (주)사이언스북스에서 펴낸 『춤추는 뇌』에는 저자의 임상 경험과 함께 우리 생활 속 뇌에 관한 이야기가 쉽고 재미있게 담겨 있다.
2009년 《헬스조선》에 연재된 칼럼 「신경과학자가 본 문학·예술인」을 한층 발전시킨 『뇌과학 여행자』에서 저자는 뛰어난 신경과 의사로서의 전문적인 설명은 물론이고 그와 연관된 다양한 예술가들의 생애와 작품까지를 조명하는 해박한 지식을 풀어 놓았다. 잦은 출장과 바쁜 일정 속에서도 규칙적인 운동으로 건강을 지키는 부지런한 평소 성격과 더불어 문학과 미술, 음악 등 다방면에 조예가 깊은 저자의 열정이 독자를 새로운 여행길로 인도하고 있다.

옛 예술가들이 살던 집과 거리를 더듬는 사람이 어디 한둘이겠느냐만, 신경과 의사인 나는 그들의 질병을 함께 곰곰이 생각하며 이런 뇌질환들이 그들의 삶과 예술에 미친 영향에 대해 일반인과는 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예술가들이 뇌질환에 시달린 경우는 생각보다 많다.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간질 같은 질병들은 재클린 뒤 프레나 모리스 라벨의 경우처럼 더 높은 경지의 예술을 추구하려는 예술가의 소망을 야속하게 꺾기도 했다. 반면 베토벤이나 슈만처럼 오히려 이런 질병이 그들로 하여금 작곡에 몰두하도록 한 경우도 있다. 혹은 도스토예프스키처럼 자신의 병을 소설의 소재로 적절히 사용한 예술가도 있다.-저자 서문에서

신경과 의사, 예술가의 뇌를 들여다보다

신경과 의사의 뇌과학 여행은 프랑스에서 시작된다. 학회 참석차 파리에 도착한 신경과 의사가 향하는 곳은 루브르 박물관이다. 그곳에서 「모나리자」 그림 앞에 선 저자는 「미라보 다리」로 유명한 시인 아폴리네르를 떠올린다. 이탈리아 출신이었던 아폴리네르는 1911년 일어난 「모나리자」 도난 사건의 용의자로 몰리기도 했다. 저자가 더욱 관심을 기울이는 부분은 그 이후의 사건이다. 아폴리네르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가 머리에 총을 맞는데 철모 덕에 목숨은 건졌지만 뇌손상 이후 전혀 다른 사람이 되었던 것이다. 그는 예전의 온화한 성품이 사라졌을 뿐더러 애인과도 소원해지고 만다. 그 이유로 감정을 담당하는 변연계가 있는 오른쪽 측두엽 손상설이 유력하다고 알려져 왔는데 저자는 다른 의견을 펼쳐 보인다. 저자가 맡은 뇌졸중 환자들 가운데 오른쪽 측두엽이 손상된 환자들을 보아 왔건만 아폴리네르와 같은 증세는 드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오히려 보다 고차원적인 ‘사회적 사랑’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손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김종성 교수의 진료실에 찾아오는 외래 환자들 중 가장 많이 발견되는 병은 무엇일까? 바로 편두통이다. 편두통은 수 시간에서 수 일간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머리의 통증으로 남성(3퍼센트)보다 여성(10퍼센트)에게서 월등히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편두통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월경과 스트레스가 있으며 그밖에 적포도주와 초콜릿, 튀김 등이 있다. 역시 루브르 박물관에서 저자의 눈길을 잡아 끈 초상화의 주인공 퐁파두르 부인 역시 월경성 편두통을 앓았을 것이다.
또한 30~50대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병으로 메니에르병이 있다. 19세기의 프랑스 의사 프로스페르 메니에르의 이름을 딴 이 속귀 질환은 어지럼증과 이명 등 증세를 보이며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화가 고야 역시 메니에르병을 앓았으리라는 추측이 있다. 에스파냐의 프라도 미술관에 걸린 고야의 그림들을 바라보는 김종성 교수는 그 어둡고 비극적인 분위기의 원인을 청력과 시력을 잃어가던 고야의 상태에서 찾고자 한다. 비록 200년 전의 환자에 대해 섣불리 진단을 내릴 수는 없지만 메니에르병과 유사한 바이러스 질환 외에도 납 중독이나 말라리아 등 다양한 원인을 고려하고 있다. 청력을 잃어가면서 자신만의 세계에 파고든 또 다른 예술가 베토벤 역시 포도주 과음으로 인한 납 중독 또는 간 질환이 의심되고 있다.

뇌 속에 숨겨진 비밀들

이렇듯 눈앞에 앉은 환자를 진찰하는 것과는 달리 편지나 주변 기록에 진단을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과거 인물의 병명을 추적하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게다가 정신 질환의 기준이 세워지기 전이기 때문에 대뇌 매독이라든지 뇌졸중, 뇌종양 등 각종 뇌질환이 정신 질환으로 오인 받고는 했다. 적절한 진단법이나 치료법이 도입된 것도 한참 뒤의 일이었기에 저자는 여러 차례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영국 음악계를 흥분시켰던 첼로 신동 재클린 뒤 프레는 다발성 경화증 때문에 더 이상 연주를 할 수 없었다. 아시아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신경과의 대표적 자가 면역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은 시력 장애, 언어 장애, 운동 장애 등의 증상이 반복되는 질병이다. 만일 이런 증상이 반복되기 전에 진단할 수 있는 MRI가 있었더라면 재클린 뒤 프레는 더 오래 무대에 설 수 있었을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가 앓았으리라 여겨지는 측두엽 간질 역시 MRI가 개발되면서 부검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 원인을 짚어낼 수 있게 되었다. 작품 속에서 간질 발작과 환희 상태에 대한 자세한 묘사가 두드러지는 도스토예프스키는 실제로 간질 발작과 우울증이 있었다. 또한 끊임없이 글을 쓰는 하이퍼그라피아 증세라는 의견도 있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거리에서 김종성 교수는 이에 그치지 않고 도스토예프스키가 쉴 새 없이 글을 쓰지 않으면 안 되었던 상황(도박빚)까지를 떠올리며 그의 발자취를 더듬으며 더 큰 감동을 나눈다.
“내 마음속은 지금 시상으로 가득하네. 하지만 그것을 악보에 옮기려면 다 사라져 버리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 「볼레로」를 작곡한 모리스 라벨이 말년에 토로했다. 라벨은 운동 기능과 감각 기능은 정상이었지만 평소 하던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실행증 때문에 악보를 적지 못하고 더 이상 작곡을 할 수 없었다. 그 원인으로 경막하 출혈이나 뇌손상 후 증후군 등이 거론되었지만 저자는 알츠하이머병 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오늘날에는 치매의 주요 원인으로 알츠하이머병과 뇌졸중이 지목되지만 이 책에서 여행을 떠나는 시절에는 페니실린이 발견되기 전으로서 매독균이 더 흔했다. 모파상과 니체는 대뇌 매독, 알퐁스 도데는 척수 매독으로 인해 사망했다. 대뇌를 손상되고 진행성 마비가 일어나는 대뇌 매독 환자는 치매가 심해지기 전에는 의외로 조울증과 함께 놀라운 창조성을 보이기도 한다. 한편 등뼈의 신경 다발이 손상된 척수 매독 환자는 팔다리에 심한 통증과 함께 보행 장애 등을 겪게 된다. 알퐁스 도데가 다리를 절었던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지적 모험을 떠나기 위한 흥미진진하고 놀라운 지도이자 안내서이다. 저자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이 여행에서 독자들은 세계 곳곳의 거리거리마다 숨어 있는 위대한 예술가들의 사연을 생생하게 느끼는 한편 그들이 남긴 예술 작품들의 원동력이 된 인간 두뇌의 비밀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종성(지은이)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간의 행동을 뇌의 현상으로 풀어보는 데 관심이 생겨 신경과를 택했으며 주 전공은 뇌졸중 분야이다. 대한신경과학회장, 대한뇌졸중학회장을 역임했다. 30권의 저서와 580편의 학술논문을 저술한 신경학의 권위자로 ‘함춘의학상’, ‘분쉬의학상’, ‘아산의학상‘ 등 주요 의학상을 수상하였다. 논문을 쓰면서 본인이 지나치게 논리적인 사람으로 변해가는 것 같아 의학 연구 도중 틈틈이 『뇌에 관해 풀리지 않는 의문들』, 『신경과 의사 김종성 영화를 보다』, 『뇌과학 여행자』 같은 뇌 관련 대중서를 집필했으며, 2005년 『춤추는 뇌』로 제2회 의사문학상(수필부문)을 수상하였다. 이 책에서 영화, 소설, 오페라 등 여러 예술 속에 숨어 있는 뇌과학을 찾아 소개하며, 뇌과학과 진화론을 접목하여 자신과 주변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자는 흥미진진한 주장을 펼치고자 했다.

경연미(그림)

영국 킹스턴대학교, 미국 스쿨오브비주얼아트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전공했습니다. 뉴욕타임스, LA타임스를 비롯 미국과 영국, 호주의 간행물에 일러스트레이션을 그렸고, 2006년 &lt;Silly Chicken&gt;으로 에즈라잭키츠상을 받았습니다. www.yunmeekyong.com www.yunmee.com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5
아폴리네르와 미라보 다리를 걷다 : 편두통과 뇌의 구조 = 11
풍차에 돌진하는 돈키호테 : 수면 장애, 루이소체 치매, 메니에르병
도스토예프스키, 끝없는 이야기 : 측두엽 간질과 하이퍼그라피아 = 111
헨델의 메시아 : 다발성 경화증, 뇌졸중과 백내장 = 131
히틀러가 뮌헨에 남긴 것 : 파킨슨병, 간성 혼수, 근육 긴장 이상 = 175
아프리카 대륙에서 : 식사 장애와 중금속 중독, 또는 매독 = 216
마오쩌둥의 그림자 : 루게릭병과 치매 = 247
프로방스 산책 : 실행증과 알츠하이머병, 투렛병 = 269
참고 문헌 = 342
찾아보기 = 34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