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왜 나쁜 기억은 자꾸 생각나는가 : 뇌가 당신에게 보내는 메시지 (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재현
서명 / 저자사항
왜 나쁜 기억은 자꾸 생각나는가 : 뇌가 당신에게 보내는 메시지 / 김재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지식공간 :   컨텐츠하우스,   2011  
형태사항
277 p. : 삽화, 초상화 ; 22 cm
ISBN
9788997142002
000 00647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661362
005 20110818153933
007 ta
008 110817s2011 ulkac 000c kor
020 ▼a 9788997142002 ▼g 03180
035 ▼a (KERIS)BIB000012487742
040 ▼a 211062 ▼c 211062 ▼d 244002 ▼d 211009
082 0 4 ▼a 612.82 ▼2 22
085 ▼a 612.82 ▼2 DDCK
090 ▼a 612.82 ▼b 2011z7
100 1 ▼a 김재현
245 1 0 ▼a 왜 나쁜 기억은 자꾸 생각나는가 : ▼b 뇌가 당신에게 보내는 메시지 / ▼d 김재현 지음
260 ▼a 서울 : ▼b 지식공간 : ▼b 컨텐츠하우스, ▼c 2011
300 ▼a 277 p. : ▼b 삽화, 초상화 ; ▼c 22 cm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2 2011z7 등록번호 1116381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자꾸 생각나는 ‘나쁜 기억’은 뇌가 당신에게 할 말이 있다는 뜻이다. 당신이 문제를 회피하거나 상처로부터 도망치려고 할 때 뇌는 되풀이해서 나쁜 기억을 떠오르게 한다. 저자는 나쁜 기억으로부터 도망치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고 말한다. 나쁜 기억이 왜 자꾸 찾아오는지 그 이유를 깨닫고, 반갑게 맞이하라는 게 저자의 메시지이다. 그럴 때 비로소 우리 뇌는 자신에게 주어진 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게 된다.

1부에서는 뇌 계발의 핵심은 ‘뇌 해방’임을 설명한다. 물질적 존재인 뇌는 심리적 존재인 ‘나’에 의해 방해를 받으면 ‘나쁜 기억’이라는 신호를 보낸다. ‘나’로부터 ‘뇌’를 자유롭게 풀어주기 위한 방편으로 ‘나’ 비우기를 제시한다. 2부에서는 뇌 계발 방법과 활용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뇌가 지닌 학습 능력을 일깨우기 위해 ‘해마’ 활용법을 알아보고, 뇌를 새로운 지식으로 채우기 위한 방법으로 독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뇌의 신경망을 설명하며 상상력은 뇌의 본능임을 알려주고, 어떻게 해야 상상력을 높일 수 있는지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천하지 않는 뇌는 뇌가 아님을 설명한다.

뇌 과학과 인문학의 접점에서 바라본 ‘뇌’
나쁜 기억은, 당신이 정체되어 있거나 문제를 회피하려고 할 때 뇌가 보내는 신호이다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뇌’가 우리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방식이 있다. 불현듯 떠오르는 나쁜 기억이 그것이다. 물질적 존재인 ‘뇌’는, 뇌 과학자들이 말하듯이 잠시도 쉬지 않고 365일 활동한다. 자면서도 활동하고, 멍하니 있을 때도 활동하고, 나이가 들어도 자신의 기능을 묵묵히 수행한다. 평소에는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 뇌가 ‘나’에게 말을 걸어올 때가 있다. ‘나’가 ‘뇌’를 방해할 때다.
<왜 나쁜 기억은 자꾸 생각나는가>는 물질적 존재인 ‘뇌’가 심리적 존재인 ‘나’의 간섭을 받을 때 나쁜 기억이라는 신호를 보낸다고 설명한다. 달리 말하면, 물질적 존재인 뇌를 다루는 뇌 과학과, 심리적 존재인 ‘나’를 다루는 인문학이 ‘나쁜 기억’을 매개로 만나는 지점에서 이 책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심리적 존재인 ‘나’는 어떻게 물질적 존재인 ‘뇌’를 방해할까?
뇌가 ‘나’에게 나쁜 기억을 생각나게 하는 이유는 ‘나’가 ‘뇌’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뇌는 본래 탁월한 학습 능력을 갖고 태어난다. 데이비드 챔버린 박사는 임상 실험을 통해 태아가 지닌 학습 능력을 증명했으며, EBS 다큐프라임에서는 실험을 통해 갓난아이들이 기초적인 물리 법칙을 선천적으로 알고 태어난다는 내용을 방영했다. 헤엄치는 것이 물고기의 본능이듯이 뇌는 본능적으로 정보를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말이다. 뇌의 능력은 이뿐이 아니다. 뇌졸중으로 뇌 신경세포의 95%를 잃은 사람이 정상인과 똑같이 회복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자의적으로 바이털사인을 조절하는 명상 수련자들의 예도 잘 알려져 있다. 1·4 후퇴 당시 길바닥에 버려진 아이가 영하의 추위에도 죽지 않고 기적적으로 생존했다는 기록도 있다.
뇌 과학자들은 뇌가 지닌 능력에 비춰 보면 이런 일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왜 이런 현상은 보편적으로 발견되지 않고 일부 사람들에 한해서 드러나는 것일까? ‘뇌’가 마음껏 능력을 펼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무엇인가?
앞선 예에 등장하는 사람들에게는 공통적으로 ‘나’가 없다. 엄마 뱃속의 태아나 갓난아이에게는 아직 ‘나’라는 의식이 없고, 명상 수련자들은 수련을 통해 ‘나’를 내려놓는 법을 익힌다. 요컨대 ‘나’라는 심리적 존재가 ‘뇌’라는 물질적 존재를 억누르지 않으면 뇌는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한다.
‘나’가 ‘뇌’를 방해하는 사례는 일상에서 무수히 벌어진다.
2000년 PGA투어에 데뷔한 탱크 최경주는 성적 저조로 퀄리파잉스쿨을 치러야 했다. 퀄리파잉스쿨이란 PGA 진출권이 걸려 있는 대회이다. 일명 ‘지옥의 레이스’라고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그때 신실한 기독교도인 최경주는 자신에게 부족한 것이 실력이 아니라 자꾸만 성적에 집착하는 자기 모습임을 깨닫고 교회에 가서 이렇게 기도했다.
“주여, 제가 타수를 생각하며 치지 않게 하시고, 제 마음을 비우고 치게 해주십시오.”
미국 메이저리그베이스볼에서 뛰고 있는 한국인 타자 추신수도 성적 부진으로 마음고생을 할 때면 ‘마음을 비워야 한다는 사실은 잘 아는데 그게 잘 안 된다.’고 말하곤 한다. ‘나 때문에 팀이 졌다, 나 때문에 아내가 고생한다, 내가 그들을 실망시켰다’ 그런 생각들이 마음을 괴롭히기 시작하면 야구공이 골프공처럼 작게 보인다.
이들만 그런 게 아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나’를 의식하는 순간 위축되고 소심해진다. ‘잘해야 해, 사람들이 보고 있어, 실수하면 어떻게 하지, 두려워, 나는 패배자야, 나는 끝났어, 도망치고 싶어’ 하는 생각이 커지면 뇌는 마치 가느다란 끈에 묶인 코끼리처럼 자기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뇌는 ‘나’에게 ‘나쁜 기억’이라는 신호를 보내온다.
“자꾸 생각나는 ‘나쁜 기억’은 뇌가 당신에게 할 말이 있다는 뜻이다. 당신이 문제를 회피하거나 상처로부터 도망치려고 할 때 뇌는 되풀이해서 나쁜 기억을 떠오르게 한다.”
저자는 나쁜 기억으로부터 도망치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고 말한다. 나쁜 기억이 왜 자꾸 찾아오는지 그 이유를 깨닫고, 반갑게 맞이하라는 게 저자의 메시지이다. 그럴 때 비로소 우리 뇌는 자신에게 주어진 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뇌를 계발하고 싶다면 ‘나’로부터 ‘뇌’를 해방시켜야 한다.

* 이 책은 크게 1부(1~3장)와 2부(4~7장)로 구성되어 있다.

1부 누가 뇌를 가두었는가
뇌 계발의 핵심은 ‘뇌 해방’임을 설명한다. 물질적 존재인 뇌는 심리적 존재인 ‘나’에 의해 방해를 받으면 ‘나쁜 기억’이라는 신호를 보낸다. ‘나’로부터 ‘뇌’를 자유롭게 풀어주기 위한 방편으로 ‘나’ 비우기를 제시한다.

2부 뇌에게 자유를
뇌 계발 방법과 활용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뇌가 지닌 학습 능력을 일깨우기 위해 ‘해마’ 활용법을 알아보고, 뇌를 새로운 지식으로 채우기 위한 방법으로 독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뇌의 신경망을 설명하며 상상력은 뇌의 본능임을 알려주고, 어떻게 해야 상상력을 높일 수 있는지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천하지 않는 뇌는 뇌가 아님을 설명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재현(지은이)

뇌를 공부하는 의사이자 비전을 가르치는 강사이다. 진료를 보기 위해 찾아오는 환자들에게 뇌와 비전에 대한 깊이 있는 철학을 들려주고, 동기 부여를 하는 의사로 유명하다. 비전 달성이라는 실천 문제를 뇌 과학의 차원에서 접근하던 중, 뇌가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크게 간섭받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심리학과 인문학으로 탐구 영역을 넓혔다. 이 책은 뇌 과학과 인문학의 접점에서 이루어진 시도로, 뇌 개발의 핵심은 ‘뇌 해방’임을 역설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프롤로그 : '나'에 의해 억눌린 뇌가 보내는 메시지 = 4 
1부 누가 뇌를 가두었는가 
 1장 해묵은 고정관념, 뇌는 쓸수록 좋아진다? 
  내일 일기를 쓰는 할아버지 = 18
  누워서 죽고 싶지는 않다 = 24
  뇌, 정말 쓸수록 좋아질까 = 31
  뇌를 방해하는 것은 '나’다 = 36
  왜 그들은 '나'에 대해서 말했을까 = 45
 2장 나쁜 기억은 왜 자꾸 생각나는가 
  사람은 사실이 아니라 해석된 사건을 기억한다 = 54
  당신이 기억하는 것은 사물 자체가 아니라 사물의 특징 = 64
  나쁜 기억은 왜 자꾸 생각나는가 = 75
  상처 받은 나로 살아갈 것인가 = 84
  큰 '나'로 자신을 바라보기 = 90
  미래의 시점에서 오늘의 나를 바라보기 = 96
 3장 '나' 비우기 
  비우지 않으면 받아들이지 못한다 = 102
  죽은 지식인이 되지 말자 = 109
  지식을 버리면 감각이 눈을 뜬다 = 116
  작은 지식에 집착하지 말자 = 120
  문자를 버려라 = 128
2부 뇌에게 자유를 
 4장 해마 일깨우기 
  27살의 나이에 죽은 82세 할아버지 = 136
  위기가 해마를 일깨운다 = 145
  낯선 경험이 해마를 일깨운다 = 153
  질문이 해마를 일깨운다 = 159
 5장 책 먹는 뇌 
  책, 세상을 보는 망원경 = 166
  내게 부족한 지식은 무엇인가 = 173
  지식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방법 = 179
  글쓴이가 되어라 = 184
  뇌가 끓을 때까지 가열하라 = 192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 = 197
  책에서 얻은 지식이 절망을 희망으로 바꾼다 = 201
 6장 상상력은 뇌의 본능 
  상상력은 길 찾기 = 208
  고정관념으로부터 사물을 자유롭게 풀어주자 = 218
  '결합'만이 우리에게 주어진 능력이다 = 224
  자극 속에서 살자 = 230
  상상력을 키우는 4가지 힌트 = 238
 7장 뇌가 바뀌는 데 걸리는 시간, 27일 
  생각은 행동으로 옮길 때 의미가 있다 = 250
  행동하지 않는 뇌는 뇌가 아니다 = 255
  뇌가 바뀌는 데 걸리는 시간, 27일 = 259
  반복, '나'를 이기고 '뇌'로 돌아가는 힘 = 263
  작심삼일을 밥 먹듯이 하라 = 267
에필로그 : 지금 이 순간의 선택이 내일의 확장된 나를 만든다 = 27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