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94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661345 | |
005 | 20110817171858 | |
007 | ta | |
008 | 110817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4347011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046538 | |
040 | ▼a 211023 ▼c 211023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6 ▼2 22 |
085 | ▼a 616.86 ▼2 DDCK | |
090 | ▼a 616.86 ▼b 2010 | |
100 | 1 | ▼a Flores, Philip J. |
245 | 2 0 | ▼a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 ▼d 필립 플로레스 지음 ; ▼e 김갑중, ▼e 박춘삼 옮김 |
246 | 1 9 | ▼a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
260 | ▼a 서울 : ▼b 눈, ▼c 2010 | |
300 | ▼a 389 p. : ▼b 삽화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378-38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lcoholism ▼x Treatment |
650 | 0 | ▼a Substance abuse |
650 | 0 | ▼a Attachment behavior |
650 | 0 | ▼a Psychotherapy |
700 | 1 | ▼a 김갑중, ▼e 역 |
700 | 1 | ▼a 박춘삼, ▼e 역 |
900 | 1 0 | ▼a 플로레스, 필립,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6.86 2010 | Accession No. 1212122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필립 플로레스(지은이)
지난 20년간 중독 장애와 집단치료 부문에서 폭넓게 작업해온 임상심리학자이다. 그는 미국집단치료협회 정회원이며 미국심리학협회에서 발행하는 알코올 및 기타 향정신성 물질사용 장애 치료 전문가 자격증(CPTAOPSUD)을 소지하고 있다. 플로레스 박사는 조지아 주립 대학과 아고시 대학 객원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에모리 대학 집단 심리치료 수퍼바이저로 일하고 있다. 수많은 현지 및 전국적 워크숍을 인도해왔고 부인인 Lisa Mahon 박사와 개인 클리닉에서 외래 집단 심리치료를 매주 수차례 진행하고 있다.
김갑중(옮긴이)
동료들과 HAIS(Hanil Alcohol Insight Scale)를 1998년 처음으로 계발하여 주위의 관심을 끌었음. 또한 치료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고심하던 중, 우리 전통유학에서의 수양법이 자기 조절력을 높이고 환자들에게 쉽게 이해되고 저항없이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눈치 채고, '덕행 인지적 접근법'이라고 이름 붙여놓고 고집스럽게 시행하고 있음. 한국 중독정신의학회 회장(2006-2007)도 맡게 되었음. 현재 한마음정신병원장으로 약 40여명의 알코올 중독 입원환자를 보고 있으며, 10년째 회복자 집단치료를 계속하고 이곳저곳 불려 다니며 중독 관련 강의도 하고 있음
박춘삼(옮긴이)
목원대학교 신학과 졸업, 국립사회복지연수원 졸업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이화여대 알코올.약물남용상담 전문교육과정 수료 중독전문가 2급, 요가명상 트레이너 현재 공주시 소재의 법무부 치료감호소(국립법무병원) 약물중독재활센터에서 알코올.약물 중독자를 위한 재발예방프로그램 및 요가명상 지도

Table of Contents
목차 추천사 = 11 01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 17 애착이론과 자기심리학 = 20 교차 중독 = 21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 24 복합 중독의 역학 = 25 02 손상된 애착 관계로 인한 물질 남용 = 29 중독은 정신질환이 타는 마차인가? = 31 단약은 필요한가? = 33 척도에 대한 의문 = 34 중독자인가 물질 남용자인가: 감별 진단 = 38 공존병리 장애 = 40 협력 치료 = 42 인격장애와 중독 = 46 I축 장애 = 48 외상과 중독 = 48 관계 모델들: 통합 = 49 AA 프로그램의 12단계 = 51 03 애착이론: 치료를 위한 함의들 = 53 애착과 생물학: 역사적 영향 = 57 치료를 위한 함의들 = 59 애착: 사랑에 대한 일반 이론 = 79 충동적인 돌봄 = 81 04 중독: 실패할 운명인 자가복구의 시도 = 91 자기심리학 = 92 공감 = 95 나르시시즘 = 96 자기대상(selfobject) = 97 자기대상관계와 전이 = 98 AA와 자기대상 기능 = 100 회복을 위한 접근 = 101 건강한 자존감의 회복 = 103 건강한 나르시시즘과 불건강한 나르시시즘 = 104 중독의 새로운 정의 = 107 결함 이론으로서의 자기심리학 = 109 자가처방 가설과 정동조절 = 111 정동조절 이론 = 112 의존과 병리 = 113 자기대상 전이: 치료에 대한 함의 = 118 정신 구조와 내적작동모델의 유사성 = 121 자기대상과 정서 조절에 대한 욕구는 일평생 지속된다 = 122 AA와 나르시시즘 = 123 05 신경생리학과 애착 = 127 애착과 상실 = 128 애착은 뇌가 기대하는 경험이다 = 130 애착과 정서의 생물학적인 이해 = 131 애착의 해부학적 차원 = 135 고차원적 뇌 기능의 신화 = 135 발달하는 뇌 = 136 애착과 발달 = 140 보상 결핍 증후군 = 141 안전 애착은 신경 생리에 항상성을 가져오는가? = 143 암묵적 기억 vs 명시적 기억 = 145 설명할 수 없는 지식 = 146 애착과 동물 연구 = 148 동료 원숭이 = 149 양육 대 천성 = 150 애착과 진정 수용체(opiate receptors) = 151 06 회피적인 사회: 손상된 애착의 문화적 근원 = 153 안전 애착 = 160 애착, 상실, 그리고 감정 = 161 애인즈워스와 낯선 상황 = 164 애착 유형 = 165 애착과 자기 = 168 안전 애착, 놀이, 자기 인식 = 169 애착에 대한 종단 연구들 = 171 성인 관계에 나타난 애착 유형들 = 174 중독 치료에 대한 함의 = 176 중독과 치료 = 177 07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알아야 할 룰: 애착이론 관점 = 179 왜, 어떻게 치료되는가? = 183 암묵 기억 = 187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알아야 할 룰: 캔들이 말하는 정신 치료의 원칙들 = 190 중독 치료와 애착 = 195 08 치료 초기: 새로운 애착대상 만들기 = 199 초기 치료 전략 = 201 진행 과정에 따른 중독 치료 전략 = 202 치료 초기에 일어나는 문제들 = 204 만족감 대 좌절감 = 210 치료사의 정서적 가용성 = 212 애착 능력 만들기 = 213 감정 표현 불능증 = 214 외상적 유대 = 218 신경심리학적 손상 = 222 동기와 변화의 시기 = 223 재발 예방 = 226 삶의 역사: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구술과 AA = 228 성격적인 결함들 = 235 병력 구술과 인생 스토리 = 237 병력 구술과 애착 = 238 중독 원인을 자신 안에서 찾기 = 240 09 치료 후반기에 생기는 문제들 = 243 감정: 스스로 발견하고 스스로 돌보기 = 244 후반기에 일어나는 재발 = 248 쾌감 상실증과 중독 = 250 치료 후반기의 걱정거리들 = 251 치료 동맹의 중요성 = 252 상호 관계와 의존 = 257 요약: 애착장애, 중독 치료 = 261 10 애착과 집단 치료 = 265 중독자에 대한 집단 치료 = 266 AA와 집단 치료 = 266 개인 치료 대 집단 치료 = 267 집단 리더의 역할 = 271 집단 응집력 = 273 정서적 분위기 형성과 유지 = 277 집단, 전이, 수치심, 대상 갈망 = 279 치료 후반기의 집단 치료 = 286 11 애착과 치료 동맹 = 287 애착 지향의 치료 원칙 = 288 중독과 작업 동맹 = 292 연구와 치료 동맹 = 297 동맹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 300 애착 유형과 치료 동맹 = 302 치료사의 기여도 = 304 실증 연구들 = 307 공감 = 307 공감: 관계가 만들어지는 조건 = 308 공감: 교정적인 정서 체험 = 308 공감: 더 좋은 대상관계를 위한 통로 = 313 공감: 감정을 담아주는 그릇 = 315 유연성 = 316 경험, 훈련, 재능 = 321 부정적 치료 과정의 관리 = 328 단절된 치료 동맹의 회복 = 329 환자의 기여 = 336 치료의 초기 단계 = 337 시험적 가설 = 339 치료 동맹과 중독: 특수한 고찰들 = 348 위기는 환자의 애착 체계를 드러낸다 = 349 12 애착과 애착이론 지향의 치료법: 장기적 함의들 = 359 이론적 불확실성 = 362 결론 = 371 역자 후기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