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43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661090 | |
005 | 20140324152858 | |
007 | ta | |
008 | 110812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2921052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2025570 | |
040 | ▼a 211057 ▼d 211057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15 ▼2 23 |
085 | ▼a 415 ▼2 DDCK | |
090 | ▼a 415 ▼b 2010z5 | |
100 | 1 | ▼a Cruse, D. A. ▼0 AUTH(211009)51221 |
245 | 1 0 | ▼a 인지언어학 / ▼d 알란 크루즈, ▼e 윌리엄 크로프트 지음 ; ▼e 김두식, ▼e 나익주 옮김 |
246 | 1 9 | ▼a Cognitive linguistics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10 | |
300 | ▼a 586 p. : ▼b 삽화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535-558)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ognitive grammar |
700 | 1 | ▼a Croft, William, ▼e 저 ▼0 AUTH(211009)6592 |
700 | 1 | ▼a 김두식, ▼e 역 ▼0 AUTH(211009)142280 |
700 | 1 | ▼a 나익주, ▼e 역 ▼0 AUTH(211009)64086 |
900 | 1 0 | ▼a 크루즈, 알란, ▼e 저 |
900 | 1 0 | ▼a 크로프트, 윌리엄,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5 2010z5 | 등록번호 1116377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5 2010z5 | 등록번호 1116377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5 2010z5 | 등록번호 1117149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학 3·4학년 학생과 대학원 학생을 위한 인지언어학 강좌의 교재 또는 언어학자와 인접 학문의 연구자에게 언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을 소개하기 위한 교재로 사용할 수 있다.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와 제2부는 인지언어학 문헌에서 나오는 사례 연구가 뒷받침하는 인지의미론 강좌를 위한 텍스트로 사용될 수 있다. 제3부에서는 먼저 구문문법 강좌를 위한 개론적인 읽을거리를 제시한 뒤, 특정한 구문문법 이론의 세부사항과 특정한 구문의 분석을 깊숙이 파고드는 문헌의 자료들을 보충한다.
이 책은 인지언어학의 기본 원리와 체계, 특히 의미론과 통사론의 쟁점에 적용되는 기본 원리와 체계를 개괄한다. 이 책은 크게 두 가지 의도를 가지고 씌어졌다. 즉, 이 책은 대학 3·4학년 학생과 대학원 학생을 위한 인지언어학 강좌의 교재나, 언어학자와 인접 학문의 연구자에게 언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을 소개하기 위한 교재로 사용할 수 있다. 제1부와 제2부는 인지언어학 문헌에서 나오는 사례 연구가 뒷받침하는 인지의미론 강좌를 위한 텍스트로 사용될 수 있다. 제3부에서는 먼저 구문문법 강좌를 위한 개론적인 읽을거리를 제시한 뒤, 특정한 구문문법 이론의 세부사항과 특정한 구문의 분석을 깊숙이 파고드는 문헌의 자료들을 보충한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옮긴이의 말 = 7 1. 서론: 인지언어학이란? = 19 제Ⅰ부 언어 분석에 대한 개념적 접근 2. 틀, 영역, 공간: 개념구조의 조직 = 27 2.1. 틀 의미론을 위한 논증 = 27 2.2. 개념: 윤곽-틀 조직 = 39 2.3. 윤곽-틀/영역 구분의 몇 가지 귀결 = 43 2.4. 기본적인 윤곽-틀/영역 구별의 확장 = 51 2.5. 영역과 이상적 인지 모형 = 60 2.6. 정신공간 = 68 3. 개념화와 해석 연산 = 81 3.1. 머리말 = 81 3.2. 주의/현저성 = 90 3.3. 판단/비교 = 103 3.4. 원근법/위치성 = 110 3.5. 구성/게슈탈트 = 118 3.6. 결론 = 128 4. 범주와 개념, 의미 = 135 4.1. 머리말 = 135 4.2. 범주구조에 대한 고전적 모형 = 138 4.3. 범주구조에 대한 원형모형 = 140 4.4. 개념범주에 대한 역동적 해석 접근 = 164 4.5. 의미의 역동적 해석 = 172 4.6. 의미의 구조적 양상과 논리적 양상 = 183 4.7. 제1부를 마치면서 = 185 제Ⅱ부 어휘의미론에 대한 인지적 접근 5. 다의성: 의의경계에 대한 해석 = 189 5.1. 머리말 = 189 5.2. 완전 의의경계 = 192 5.3. 준(準) 의의 속성을 지닌 하위 의의 단위 = 200 5.4. 자립성: 요약 = 242 6. 의의 관계에 대한 역동적 해석 접근: 하의성과 분의성 Ⅰ = 243 6.1. 하의성 = 244 6.2. 부분-전체 관계의 어휘적 양상 = 258 7. 의의 관계에 대한 역동적 해석 접근: 하의성과 상보성 Ⅱ = 281 7.1. 대립성 = 281 7.2. 상보성 = 285 7.3. 반의성 = 289 7.4. 반의어와 상보어의 가변적 해석 = 317 7.5. 결론 = 328 8. 은유 = 329 8.1. 비유적 언어 = 329 8.2. 개념적 은유이론 = 330 8.3. 신선한 은유 = 346 8.4. 은유와 직유 = 357 8.5. 은유와 환유 = 367 8.6. 결론 = 375 제Ⅲ부 문법 형태에 대한 인지적 접근 9. 관용어에서 구문문법으로 = 379 9.1. 머리말 = 379 9.2. 관용어의 문제 = 385 9.3. 구문으로서의 관용어 = 396 9.4. 구문에서 구문문법으로 = 415 10. 구문문법의 개요 = 429 10.1. 구문문법 이론의 본질적 요소 = 429 10.2. 현재 통용되는 몇 가지 구문문법 이론 = 440 10.3. 맺음말 = 475 11. 사용기반 모형 = 477 11.1. 문법적 표상과 과정 = 477 11.2. 형태론의 사용기반 모형 = 479 11.3. 통사론의 사용기반 모형 = 502 11.4. 결론 = 528 12. 맺음말: 인지언어학과 이를 넘어서 = 531 참고문헌 = 535 내용 색인 =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