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6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60438 | |
005 | 20110810173430 | |
007 | ta | |
008 | 110809s201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4605135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2486561 | |
040 | ▼a 211040 ▼c 211040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52.14 ▼2 22 |
085 | ▼a 352.14 ▼2 DDCK | |
090 | ▼a 352.14 ▼b 2011z2 | |
100 | 1 | ▼a 이청수 |
245 | 1 0 | ▼a 지방의회론 : ▼b 기초 이론에서 실무사례·개선 방향까지 지방의회에 관한 모든 것 / ▼d 이청수 지음 |
260 | ▼a 서울 : ▼b 브렌즈, ▼c 2011 | |
300 | ▼a 567 p.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p. 560-564)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14 2011z2 | 등록번호 1116360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방의회 현장 실무 전문가로서 기초이론에서 사례, 개선방향까지 지방의회에 관한 모든 것을 담은 책. 특히 최근 전개된 일련의 지방의회 쟁점사항과 그 사유 그리고 개선방향 논의까지 심층적 해석을 담고 있다.
지방의회론은 행정학, 특히 지방자치 분야의 주요 학문 영역에 해당한다.
지방자치제도 부활 후 20년이 경과한 현재 지방의회는 많은 변화와 발전을 이루었다. 수많은 사례가 있었으며, 아직도 논란 중이거나 개선해야 할 과제도 산적하다.
지방의회 현장 실무 전문가로서 기초이론에서 사례, 개선방향까지 지방의회에 관한 모든 것을 담은 이 책은 지방의회에 관심 갖는 의원, 의회 직원, 학생과 일반 시민에 이르기까지 꼭 한 번 읽어야 할 필독서이다. 이 책은 특히 최근 전개된 일련의 지방의회 쟁점사항과 그 사유 그리고 개선방향 논의까지 심층적 해석을 담고 있다. 지방의회 발전과 지방자치 정착에 꼭 필요한 책이다.
“지방의회 현장에 참여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의 토론 과정에서 체득한 현장 지식과, 지방의회의 위상 변화와 적극적인 참여 및 역할 강화 방안을 모색한 책이다. 또한 현재 지방의회의 각종 제도와 운영상에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그 개성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함께 논의할 주제를 설정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려고 노력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청수(지은이)
마산고등학교 졸업 육군사관학교 졸업(문학사, 관리전공, 1974) 연세대학교 대학원(행정학 석사, 1982) 연세대학교 대학원(행정학 박사, 1986)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정책기획실, 기획관리 참모부 근무 국방참모대학, 국방정신교육원 근무 서울특별시의회 내무·행정자치·운영·교육문화·환경수자원위원회 전문위원·수석전문위원(1997.8.-2011.6.)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경기대·경민대·상명대 외래강사(2001-2011)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인천광역시인재개발원 강사(1998-2014) 서울시립대학교 겸임교수(2008)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외래강사·겸임교수(2009-2013) 서울신문 독자권익위원(2009.2.-2015.9) 성남시의회 입법고문(2011.3.-2013.2) 서울특별시 의정비심의위원회 위원(2012.11-2013.10) 서울특별시 공익사업선정위원회 위원(2012.10-2014.10) (사단법인)지방자치발전연구원장(2015.8.–현) 서천군의회 입법고문(2021.1–현) [저서 및 논문] 『지방의회론』, 2008, 지오넥스커뮤니케이션 『지방예산론』, 2010, 브렌즈 『지방의회론』, 2011, 브렌즈 『행정학개론』, 2013, 백산출판사 『지방의회론』, 2014, 백산출판사 국회 전자도서관 검색창(http://www.nanet.go.kr/main.do)에 이청수를 입력하면 지방의회, 지방자치 관련 등 저자 이청수의 국회도서관 소장 자료(논문 등)가 144건 이상 검색됨(2022. 10. 24. 현재)

목차
목차 머리말 = 5 일러두기 = 6 지방의회 쟁점 현안 논의 및 개선 방향 = 7 제1장 지방자치와 지방의회 제1절 의회정치와 민주주의 1. 민주정치와 의회존재의 의의 = 21 2. 의회의 기본적 요소 = 22 3. 의회와 의원의 대표성 = 23 제2절 지방자치, 지방분권과 지방의회 1. 지방자치의 개념 = 27 2.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 31 3. 지방분권 추진의 성과와 평가 = 32 4. 지방분권과 지방의회 = 44 5. 지방선거와 지방자치의 정치화 = 46 제3절 우리나라 지방의회의 역사 1. 헌법상 지방자치의 경과 = 49 2. 우리나라 지방의회 구성 연혁 = 50 제4절 국회와 지방의회제도 비교 1. 대의기관으로서 국회와 지방의회 = 53 2. 국회의원과 지방의원의 신분상의 비교 = 54 제2장 지방의회제도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본질과 종류 1. 지방자치단체의 본질 = 57 2.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58 3. 지방자치단체의 법인격 및 관할 = 62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 64 2.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유형 = 65 3.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과 관련된 논의 = 68 제3절 지방의회의 설치 1. 역대 지방의회 설치 변천사 = 70 2. 지방의회의 지위 = 71 3. 지방의회의 권한 = 78 4. 지방의회의 의원의 선거 = 88 5. 지방의회의 의원의 신분 = 94 6. 지방의회의 의원의 정수 = 112 7. 지방의회의 의원의 정당 참여 = 120 제4절 지방의회 의원의 역할과 자질 1. 의의 = 125 2. 지방의원의 역할 = 126 3. 지방의원의 자질 = 127 4. 지방의회의 의무 = 128 제3장 지방의회의 조직 제1절 의장ㆍ부의장 1. 의장ㆍ부의장의 선거와 임기 = 133 2. 의장ㆍ부의장의 불신임 의결 = 136 3. 의장ㆍ부의장의 사임 = 138 4. 의장의 직무 = 139 5. 부의장의 직무 = 151 제2절 위원회 1. 위원회 제도 = 152 2. 위원회의 종류 = 153 3. 위원장 = 161 4. 부위원장(간사) = 164 5. 위원 = 165 6. 소위원회 = 168 제3절 지방의회의 교섭단체 1. 의의 = 170 2. 현 실태 및 논의 = 171 3. 교섭단체 또는 교섭단체 대표의원의 역할 = 171 제4절 의회사무기구 1. 제도와 현 실태 = 174 2. 논의 및 개선방향 = 180 제4장 의회의 운영 제1절 의회운영의 원리 1. 의회제도의 기본원칙 = 191 2. 지방의회의 운영방식 = 193 제2절 회의운영의 원칙 1. 정족수의 원칙 = 195 2. 회의공개의 원칙 = 198 3. 일사부재의 원칙 = 201 제3절 원 구성과 최초 임시회의 1. 원 구성의 의의 = 203 2. 최초 임시회의 = 204 3. 의원의 선서 = 204 제4절 지방의회의 집회 1. 집회ㆍ개회의 의의 = 206 2. 정례회 = 207 3. 임시회 = 208 4. 회기 = 210 제5절 의사일정 1. 의사일정의 의의 = 212 2. 의사일정의 작성과 협의 = 213 3. 의사일정의 배부ㆍ변경ㆍ미료안건 등 = 215 제5장 회의운영 제1절 개회ㆍ개의ㆍ산회ㆍ휴회 1. 개회 = 219 2. 개의 = 220 3. 유회 및 회의중지, 산회 = 221 4. 휴회 = 221 제2절 본회의의 의사 1. 안건심의 절차 = 223 2. 의제의 선포 = 224 3. 심사보고ㆍ취지설명 = 225 4. 질의 = 226 5. 토론 = 228 6. 표결 = 230 7. 표결 결과의 선포 = 240 제3절 대집행부 질문ㆍ답변 1. 집행부 공무원 출석요구 = 241 2. 대집행부 질문 = 243 3. 서면질문 = 244 4. 지방의원의 질의ㆍ질문 준비 및 실시기법 = 244 제4절 위원회의 의사 1. 위원회의 개회 = 250 2. 위원회에서의 동의ㆍ발언 = 251 3. 위원회의 의사ㆍ의결정족수 = 252 4. 위원회의 안건심사 = 253 5. 심사보고서 = 258 6. 위원회에서 폐기된 의안 = 260 7. 위원회의 운영ㆍ의사 등에 관한 회의규칙의 준용 = 260 제6장 의안심사 제1절 의안의 처리 1. 의안의 제출 또는 제안ㆍ발의 = 265 2. 의안의 접수ㆍ보고ㆍ상임위원회 회부 = 266 3. 의안의 철회 = 269 4. 의안의 정리ㆍ이송ㆍ조례 등의 보고 = 270 제2절 동의 1. 동의의 개념 = 272 2. 동의의 종류 = 273 3. 동의의 발의와 처리 = 274 제3절 번안(飜案)ㆍ수정동의(修正動議) 1. 번안 = 277 2. 수정동의 = 278 제7장 조례입법심사 제1절 조례 입법 개관 1. 조례의 제정 및 개폐 = 285 2. 조례의 유형과 규정사항 = 287 3. 조례의 형식적 효력 = 288 제2절 조례의 입법절차 1. 조례의 발의ㆍ제출 = 289 2. 조례안 심의 및 의결 = 292 3. 조례의 공포ㆍ재의 및 대법원 제소 = 296 제3절 조례 제정권의 실태와 개선과제 1. 조례 제정권의 범위 = 301 2. 논의 및 개선방향 = 304 제4절 지방의회 의원에 의한 조례안 발의 기법 1. 의의 = 306 2. 조례안 발의 준비 = 307 3. 조례안 작성 = 308 4. 각계 의견청취 및 문제점 보완 = 318 제8장 예산안 심의ㆍ의결 제1절 지방예산의 의의와 기능 1. 지방예산의 개념 = 321 2. 지방예산의 법원 = 322 3. 지방예산의 특징 = 324 4. 지방예산의 기능 = 325 제2절 지방자치단체 예산제도의 이념과 특징 1. 재정민주주의 = 327 2. 집행부제출 예산제도 = 328 3. 예산의 원칙 = 329 제3절 지방예산의 구조 1. 지방예산의 종류 = 334 2. 지방예산의 내용 = 343 3. 지방자치단체기금 = 364 제4절 지방예산의 심의ㆍ의결 1. 예산결정의 개념과 특징 = 372 2. 지방의회의 예산심의의 기능 = 374 3. 지방자치단체 예산심의의 환경 = 376 4. 지방예산 심의 절차 = 383 5. 지방의회 예산안 심의 착안사항 = 402 6. 예산안의 이송ㆍ고시ㆍ재의 = 418 제9장 결산안 심의 제1절 결산개요 1. 지방자치단체 결산의 의의 = 423 2. 결산의 기능과 성격 = 424 3. 지방의회 결산 승인 = 427 4. 결산의 내용 = 428 5. 기금의 결산 = 429 제2절 결산 검사 1. 의의 및 절차 = 430 2. 논의 및 개선 방향 = 434 제3절 결산 절차 1. 출납정리 기한 = 437 2. 결산서의 작성 및 제출 = 437 3. 결산 관련 의안 제출 = 439 4. 상임위원회 예비심사 = 440 5.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 = 440 6. 본회의 심의 및 집행부 통보 = 442 7. 결산 결과의 공시 = 442 제4절 복식부기 회계제도 도입과 결산 심사 1. 복식부기 회계제도의 의의 = 443 2. 복식부기 회계제도의 기능 = 445 3. 복식부기와 재무회계 결산 = 446 제5절 결산안 심사 착안사항 1. 의의 = 449 2. 결산 심사의 방향 = 449 3. 결산 심사의 중요 검토사항 = 453 제10장 청원ㆍ기타 의안심사 제1절 청원안 심사 1. 청원의 의의 = 461 2. 지방의회 청원의 특징 = 462 3. 청원의 제출과 내용 = 463 4. 청원 심사 절차 = 464 제2절 동의안 1. 동의안의 의의 = 466 2. 동의안의 종류 = 467 3. 동의안의 수정여부에 대한 논의 = 468 제3절 승인안의 심사 1. 승인안의 의의 = 469 2. 승인안의 종류 = 469 3. 현 실태 = 470 제4절 건의안ㆍ결의안 1. 건의안 = 471 2. 결의안 = 472 제5절 의견청취ㆍ의견표명 1. 제도와 현 실태 = 473 2. 논의 및 개선방향 = 474 제11장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 제1절 개요 1.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의 의의 = 477 2.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의 법적 근거 = 478 제2절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의 준비 및 실시 1. 실시기관 = 479 2.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의 대상기관 = 480 3. 행정사무감사ㆍ조사계획서 작성 및 통지 = 482 4. 서류제출ㆍ출석요구 등 = 484 5.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의 실시 = 488 6. 지방의회 의원의 행정사무감사ㆍ조사기법 = 491 제3절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의 한계 1. 권력분립의 한계 = 495 2. 사생활 보호와의 관계 = 496 3. 기본적 인권과의 관계 = 496 제4절 행정사무감사ㆍ조사 결과의 처리 1. 행정사무감사ㆍ조사결과 보고 = 497 2. 시정요구 및 이송, 처리결과 보고 = 498 3. 행정사무감사ㆍ조사의 실효성 확보방안 = 499 제12장 지방의회의 행정통제 제1절 지방의회 행정통제의 의의 1. 행정통제 기능의 정당성 = 505 2. 행정통제의 한계 = 505 제2절 행정통제의 목적과 수단 1. 행정통제의 목적 = 507 2. 행정통제의 수단 = 508 제3절 행정감시ㆍ통제의 방법 1. 민원처리 = 510 2. 행정사무처리 현황의 보고와 질의ㆍ답변 = 511 3. 서류제출요구 = 514 4. 청문회 제도 = 515 제13장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과의 관계 제1절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과의 관계 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형태 = 521 2.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과의 관계 = 523 제2절 지방의회와 교육자치와의 관계 1. 지방교육 자치의 의의 = 524 2. 교육위원회의 구성과 기능 = 525 3. 교육감의 지위와 권한 = 527 4. 교육위원회(시ㆍ도의회)와 교육감과의 관계 = 528 5. 지방교육자치제도 현실과 과제 = 530 제3절 지방자치단체 기관 간의 갈등 1. 제도적 요인 = 533 2. 운영적 요인 = 535 3. 인식ㆍ형태와 관련된 요인 = 538 제4절 재의 및 대법원 제소 1. 재의ㆍ제소제도의 의의 = 540 2. 대법원 제소 사유 = 541 제14장 지방의회협의체 제1절 지방의회협의체 설립 의의 1. 설치근거 = 547 2. 지방의회 의장협의회 설립 연혁 = 548 3. 지방의회 의장협의회 설립 의의 = 549 제2절 일본의 지방의회협의체 1. 도ㆍ도ㆍ부ㆍ현 의회 의장회 = 552 2. 전국 시의회 의장회 = 553 3. 전국 정ㆍ촌의회 의장회 = 554 제3절 지방의회협의체 발전방향 1. 의견 제시에 대한 답변의무 명문화 = 556 2. 사무기구 인력 확충 = 557 3. 4대 협의회의 연합체 구성 = 558 4. 지방의회 의정연수원 설립 = 558 참고문헌 = 560 용어색인 =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