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2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59468 | |
005 | 20110803171526 | |
007 | ta | |
008 | 110803s2011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5110217 ▼g 93330 | |
035 | ▼a (KERIS)BIB000012481300 | |
040 | ▼a 241044 ▼c 241044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659.1 ▼2 22 |
085 | ▼a 659.1 ▼2 DDCK | |
090 | ▼a 659.1 ▼b 2011z4 | |
100 | 1 | ▼a 나상수 |
245 | 1 0 | ▼a 소비자와 패러디광고 / ▼d 나상수 저 |
260 | ▼a 서울 : ▼b 시간의물레, ▼c 2011 | |
300 | ▼a 305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부록: 설문지, Q설문지, 주요 조사결과 | |
504 | ▼a 참고문헌: p. 167-171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 2011z4 | Accession No. 1116360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광고 패러디라는 특수성과 현대 소비 문화적 특수성을 포괄하여 소비자들의 객관적 및 주관적 인식을 발견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의사와의 상관성에 초점을 두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비자들의 생각과 행동은 과거와 달리 다양한 방법과 상황에서의 분석을 통해서 그 관련 영향요인들의 역할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 여러 매스미디어에서 보이는 패러디광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환경적 변화양상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행위를 변화시키고 있다. 무엇보다도, 과거부터 지금까지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제품의 특성에 적합하고 목표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광고를 개발, 제작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광고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의 주된 관심사가 되어왔다. 이 책에서는 광고 패러디라는 특수성과 현대 소비 문화적 특수성을 포괄하여 소비자들의 객관적 및 주관적 인식을 발견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의사와의 상관성에 초점을 두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서론 = 9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9 2. 연구의 필요성 = 12 Ⅱ. 이론적 배경 및 논의 = 15 1. 개념 및 정의 = 15 1) 패러디광고의 특성 = 15 2) 패러디광고의 유형과 기능 = 18 3) 패러디광고의 유형과 기능 = 21 2. 광고와 소비자 구매행동의 상관성 = 24 3. 패러디의 의미 논의 = 27 1) 패러디의 의미와 기능 = 27 2) 매체환경과 패러디 = 31 3) 방송광고 속의 패러디 = 33 4) 선행연구의 검토 = 38 4. 패러디광고와 문화에 관한 논의 = 44 1) 광고를 패러디한 광고 = 48 2) 영화를 패러디한 광고 = 49 3) 명화를 패러디한 광고 = 51 4) 사건과 사람을 패러디한 광고 = 53 5) 문학을 패러디한 광고 = 55 6) 패러디와 오마주, 표절의 차이 = 56 7) 패러디의 대상으로서 광고 = 59 8) 패러디광고의 효과와 비판 = 61 5. Q방법론과 주관성 63 = 62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67 1. 연구문제의 설정 = 67 1) Q방법론에 따른 연구문제 = 67 2) R방법론에 따른 연구문제 = 68 2. 조사설계 및 연구방법 = 71 1) Q조사 및 분석 = 71 2) R실사 및 분석 = 83 Ⅳ. 결론 = 163 참고문헌 = 167 부록 = 172 1. R설문지 = 172 2. Q설문지 = 178 3. 주요 조사결과 =180 1) Q연구관련 주요결과 = 180 2) R연구 : 빈도분석 = 207 3) R연구 : 교차분석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