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 내용 = 3
제2장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 5
제1절 평생교육의 개념 = 5
1. 평생교육의 개념 = 5
2. 평생교육 형태 = 7
제2절 평생직업교육훈련 관련 정책과 현황 = 8
1. 평생교육훈련정책 = 8
2. 소외계층 평생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원사업 현황 = 14
3. 평생교육훈련기관 현황 = 17
제3절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적 배경 = 21
1. 사회적 배제·통합의 개념과 등장배경 = 21
2. 사회통합의 정의 = 24
3. 사회통합의 영역과 차원에 관한 논의 = 28
제4절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 38
제3장 선진국의 취약계층 평생직업교육훈련 = 43
제1절 영국의 취약계층 평생직업교육훈련 = 43
1.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 실태 = 44
2. 취약계층 사회통합정책의 현황 = 50
3. 취약계층의 사회통합을 위한 평생직업교육훈련의 내용 및 평가 = 55
제2절 독일의 취약계층 평생직업교육훈련 = 66
1. 독일 취약계층의 노동시장 통합실태 = 67
2. 취약계층을 위한 전반적인 노동시장 통합 정책의 현황 - '고용근접상태' 지원사업 = 71
3. 취약계층 노동시장통합을 위한 연방고용청의 '고용근접상태' 지원사업 내용 및 평가 = 75
제3절 스웨덴의 취약계층 평생직업교육훈련 = 81
1. 취약계층의 사회통합(사회적 배제) 실태 = 81
2. 취약계층을 위한 전반적인 사회통합정책의 현황 = 83
3. 취약계층의 사회통합을 위한 평생직업교육훈련의 내용 및 평가 = 86
4. 스웨덴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율 국제비교 = 95
제4절 미국의 취약계층 평생직업교육훈련 = 97
1. 미국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변천사 = 97
2. WIA의 주요원칙과 특징 = 101
3. WIA의 문제점 = 106
4. 최근의 새로운 시도들 = 109
5. 직업교육훈련의 개선방향 = 113
제5절 선진국 취약계층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시사점 = 113
제4장 연구방법 = 117
제1절 연구대상 = 117
제2절 연구방법 = 119
1. 문헌분석 = 119
2. 기초통계 분석 = 119
3. 사회통합에 대한 주관적 인식조사 = 120
4.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 120
제3절 표본추출 방법 = 121
1. 결혼이주민 = 121
2. 북한이탈주민 = 122
3. 근로빈곤층 = 122
4. 장애인 = 123
5. 일반인 = 124
제4절 사회통합 측정지표 = 125
1. 사회통합의 정의 = 125
2.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간의 관계 = 125
3. 사회통합의 차원과 지표 구성 = 127
4. 사회통합지표의 취약계층별 적절성 = 128
5. 사회통합지표 측정을 위한 설문지 문항 구성 = 129
6. 분석모형 = 130
제5장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 133
제1절 결혼이주민의 규모와 특성 = 134
1. 결혼이주민의 규모 = 134
2. 결혼이주민의 특성 = 138
제2절 결혼이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현황 = 144
1. 정부부처의 결혼이주민 관련사업 = 145
2. 지방자치단체(광역)의 결혼이주민 관련사업 = 154
제3절 결혼이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와 사회통합효과 = 163
1. 결혼이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실태 = 164
2.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적 자본 효과 = 180
3.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의 교육 효과 = 195
4.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의 비경제적 효과 = 208
5.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 223
제4절 소결 = 228
제6장 북한이탈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 231
제1절 서론 = 231
제2절 북한이탈주민의 현황과 특성 = 235
1.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입국 특성 = 235
제3절 북한이탈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현황 = 239
1. 지원체계 개요 = 239
2. 직업교육훈련 체계 = 240
3. 북한이탈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 실태 = 248
4. 북한이탈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접근성과 참여 장애요인 = 255
제4절 북한이탈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 259
1.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특성 = 259
2. 성과 = 261
3. 북한이탈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사회통합=효과에 미치는 영향 = 269
4. 북한이탈주민과 일반인의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비교 = 277
제5절 소결 = 290
제7장 근로빈곤층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 293
제1절 근로빈곤층의 현황 = 293
1. 근로빈곤의 정의 = 293
2. 근로빈곤층의 현황 및 특성 = 296
제2절 근로빈곤층의 평생직업교육훈련 현황 = 299
1. 근로빈곤층을 위한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주요 내용 = 299
2. 근로빈곤층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실태 = 303
3. 근로빈곤층의 평생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접근성과 참여 장애요인 = 311
제3절 근로빈곤층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분석 = 315
1. 근로빈곤층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사회통합 = 315
2. 근로빈곤층의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사회적 = 자본과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 321
3. 근로빈곤층 평생직업교육 훈련의 효과성: 일반인과의 비교 = 328
제4절 소결 = 336
제8장 장애인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 339
제1절 장애인과 사회적 배제 = 339
1. 장애의 개념 = 339
2. 장애인과 사회적 배제 = 341
제2절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과 경제활동 = 342
1.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 342
2. 장애인의 경제활동 = 343
제3절 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훈련 현황 = 345
1. 소외계층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 = 345
2.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사업 = 348
3. 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실태 = 349
4.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접근성과 참여 장애요인 = 356
제4절 장애인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분석 = 360
1.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적 자본 수준의 차이 = 361
2. 장애인의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 367
3. 장애인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비장애인과의 비교 = 375
제5절 소결 = 386
제9장 취약계층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 389
제1절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적 자본 = 389
1. 신뢰 = 390
2. 네트워크 = 394
3. 참여 = 397
제2절 평생직업교육훈련과 경제적 및 비경제적 성과 = 401
1. 경제적 성과 = 401
2. 비경제적 성과 = 410
제3절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 414
제4절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간의 기본구조모형 = 418
제5절 소결 = 424
제10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427
제1절 연구 개요 = 427
1. 연구의 목적 및 대상 = 427
2. 사회통합의 측정지표 = 428
제2절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사회통합효과 = 429
1. 결혼이주민 = 429
2. 북한이탈주민 = 430
3. 근로빈곤층 = 430
4. 장애인 = 431
5. 취약계층 = 433
제3절 정책방향 = 433
1. 결혼이주민 = 434
2. 북한이탈주민 = 437
3. 근로빈곤층 = 441
4. 장애인 = 444
5. 취약계층 = 447
제4절 결론 및 정책 제언 = 449
SUMMARY = 455
〈부록〉
〈부록 1〉일반인 및 근로빈곤층 설문지 = 469
〈부록 2〉결혼이주민 설문지(베트남 어) = 491
〈부록 3〉결혼이주민 설문지(중국어) = 518
〈부록 4〉결혼이주민 설문지(타갈로그 어) = 539
〈부록 5〉결혼이주민 설문지(한국어) = 561
〈부록 6〉북한이탈주민 설문지 = 584
〈부록 7〉장애인 설문지 = 606
참고문헌 = 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