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장 학습부진의 개념 = 11
1. 학습부진의 개념 = 12
1) 학습부진 개념의 구성 요건 = 12
2) 선행 문헌에 나타난 학습부진 개념 정의 = 14
3)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학습부진 개념 종류 = 17
4) 현행 학습부진 개념 정의의 특징 = 19
2. 학습부진과 학습장애의 구분 = 20
3. 학습부진의 유형 = 22
1) 학습부진 유형 진단 요건 = 22
2) 학습부진 유형 진단 도구 유형 = 24
3) 학습부진 유형 = 27
제2장 학습부진의 원인 및 특성 이해 = 37
1. 학습부진의 원인 = 38
1) 미국의 학업성취 결정요인 개관 연구 = 39
2) 학국교육개발원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 분석 = 42
3) 오성삼과 구병두의 메타분석 = 44
4) 이해명의 학업성취 결정구조 = 46
5) 토착심리학에서의 학업성취 결정구조 제안 = 47
6) 학습부진학생 지도를 위해 고려할 요인 = 49
2. 학습부진 학생들의 특성 = 51
1) 인지적 특성 = 52
2) 정서적 특성 = 58
3) 행동적 특성 = 65
4) 환경적 특성 = 67
제3장 학습부진의 선별, 진단, 판별 = 71
1. 학습부진 평가 유형 = 72
2. 학습부진의 선별 = 74
1) 학습부진 선별 목적 = 74
2) 교과학습 진단 평가 = 75
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 77
4) 상업용 학습부진 선별 검사 = 79
3. 학습부진의 진단 = 88
1) 학습부진의 원인 혹은 유형 진단 = 88
2) 학습부진 영역 규명 = 90
3) 학습부진 정도 규명 = 91
4. 학습부진의 판별 = 92
제4장 학습부진의 평가와 지도 = 97
1. 문제해결식 학습부진 평가모형 = 98
1) 필수 능력 요소 추출 = 99
2) 필수 능력 요소 지표와 기준 결정 = 101
3) 학습부진 영역과 정도 진단 = 101
4) 필수 능력 요소의 향상 혹은 부진과 관련 깊은 변인 확인 = 102
5) 지도 계획 수립 = 103
6) 지도 계획의 충실한 이행 = 103
7) 학습진전도 점검과 피드백 제공 = 104
8) 지도계획의 수정, 보완 = 105
2. 효과적인 학습부진 지도 방법 = 105
1) 효과적인 학습부진 지도 방법을 찾는 방법 = 106
2)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이 학습부진 지도에 주는 시사점 = 109
3) 두뇌기반 학습기법의 시사점 = 110
4) 효과적인 교수법에 관한 선행 연구 이론 = 111
5) 주의산만 방지 및 학습동기 고취 방안 = 112
6) 효과적인 지도법의 실제 적용시 고려점 = 115
제5장 읽기 및 쓰기 학습부진 지도와 평가 = 121
1. 읽기와 쓰기 학습부진 실태 = 122
2. 읽기 학습부진의 특징과 원인 = 122
1) 글자를 못 읽는 경우 = 123
2) 낱말 뜻을 모르는 경우 = 124
3) 독해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 124
3. 읽기 학습부진의 진단과 평가 = 126
4. 연구에서 밝혀진 효과적인 읽기 지도 방법 = 127
1) 음소 인식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 방법 = 127
2) 자모음 가르치기 = 129
3) 낱말 지도 = 130
4) 읽기 유창성 지도 = 131
5) 독해 지도하기 = 132
5. 쓰기 학습부진의 특징과 원인 = 133
1) 글자 쓰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 133
2) 작문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 134
3) 글자쓰기 학습부진의 원인 = 135
6. 쓰기 학습부진의 진단과 평가 = 136
7. 연구에서 밝혀진 효과적인 쓰기 지도 방법 = 137
1) 글자 쓰기 지도 영역 = 137
2) 연구에서 밝혀진 효과적인 쓰기지도 방법 = 139
3) 효과적인 작문 지도 방법 = 140
제6장 수학 학습부진 지도와 평가 = 143
1. 수학 학습부진 현황 = 144
2. 수학교과학습부진의 특징과 양상 = 145
3. 수학학습부진 조기 진단 영역 = 147
4. 수학 학습부진의 평가 = 148
1) 기본 개념 형성 여부 평가 = 148
2) 오류 유형 진단 = 149
3) 적절한 수업 시작 지점을 찾기 위한 평가 = 151
4) 수업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형성평가 = 151
5) 진단을 위한 면담 = 151
6) 상업용 표준화 검사 = 153
5. 효과적인 수학 지도 방법 = 154
1) 선수학습 기술과 지식 확인 = 155
2) 교사의 명시적인 시범 = 156
3) 개별 연습 시간을 충분히 허용 = 157
4) 수준이 비슷한 학생들끼리 소집단을 형성 = 157
5) 적절하게 빠르며 다수의 장면 전환이 있는 수업 = 157
6) 자기 질문법, 생각 크게 말하기 기법 등 활용 = 158
7) 오류 유형을 진단하고 그에 따라 지도 = 158
8) 학습진전도 점검 및 점검결과 활용 = 160
9) 구체물 활용 = 161
10) 연산 유창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 162
11) 응용능력 향상시키는 방법 = 162
12) 문장제 문제 지도 방법 = 163
제7장 학습부진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전략 활용법 = 169
1. 시간관리 = 171
1) 시간관리의 원리 = 172
2) 시간분석 = 173
3) 우선순위 정하기 = 175
4) 시간관리 프로그램 활용하기 = 177
2. 목표설정 = 178
1) 장기목표 = 178
2) 단기목표 = 179
3. 주의집중 = 181
1) 수업시간 집중하기 = 182
2) 혼자 공부할 때 집중하기 = 184
4. 시험전략 = 185
1) 시험공부하기 = 186
2) 시험대비 전략 = 187
3) 문제풀이 전략 = 188
5. 학습전략의 지도과정에서 교사가 유념해야 할 사항 = 190
제8장 학습부진학생의 관리 = 193
1. 학습관리 = 194
1) 목표행동 설정 = 194
2) 관찰과 기록 = 196
3) 강화하기 = 198
2. 부모와의 협력 = 200
1) 가정의 학업환경 파악하기 = 201
2) 부모 만나기 = 202
3) 부모에게 협조구하기 = 204
3. 학급 및 학교 운영 = 205
1) 학급규칙 = 206
2) 경쟁구조 = 207
3) 낙인찌기 = 209
4) 교사의 관심 = 211
5) 지루한 수업 = 213
6) 개별화와 순응 = 214
부록 : 학습부진 지도 성공 사례 = 217
찾아보기 =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