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40namcc2200421 c 4500 | |
001 | 000045655990 | |
005 | 20110705154740 | |
007 | ta | |
008 | 060601s2005 ulka 001c kor | |
020 | ▼a 8957263063 ▼g 93700 : ▼c \8000 | |
035 | ▼a (KERIS)BIB000010277076 | |
040 | ▼a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401/.4 ▼2 22 |
085 | ▼a 401.4 ▼2 DDCK | |
090 | ▼a 401.4 ▼b 2005z2 | |
100 | 1 | ▼a Pavel, Silvia |
245 | 0 0 | ▼a 전문용어학 입문 = ▼x Handbook of terminology / ▼d Silvia Pavel, ▼e Diane Nolet [공]저 ; ▼e 최기선 [외]역 |
246 | 1 9 | ▼a Handbook of terminology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05 | |
300 | ▼a xix, 166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KORTERM시리즈 ; ▼v 11 |
500 | ▼a 색인 수록 | |
500 | ▼a 부록 수록 : 주요 표준화 조직 목록 --언어 사이트 --캐나다 Public Service, 2000의 언어 관리 하부 구조 | |
700 | 1 | ▼a Nolet, Diane |
700 | 1 | ▼a 최기선, ▼e 역 |
700 | 1 | ▼a 황도삼, ▼e 역 |
700 | 1 | ▼a 김덕봉, ▼e 역 |
700 | 1 | ▼a 김연배, ▼e 역 |
700 | 1 | ▼a 김재훈, ▼e 역 |
700 | 1 | ▼a 김태완, ▼e 역 |
700 | 1 | ▼a 박석문, ▼e 역 |
700 | 1 | ▼a 서장국, ▼e 역 |
700 | 1 | ▼a 시정곤, ▼e 역 |
700 | 1 | ▼a 신효식, ▼e 역 |
700 | 1 | ▼a 이재성, ▼e 역 |
700 | 1 | ▼a 이해윤,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401.4 2005z2 | 등록번호 192051817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역사 서문 및 감사의 글 = ⅶ 서문 = ⅹ 머리말 = xi 감사의 글 = xiii 편집자 주 = xiv 도입 = xv 1 전문용어 연구의 원리 = 1 주제 분야 분류 = 1 주제 분야에 대한 최신 지식 = 5 바람직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 대한 지식 = 8 전문용어 데이터 기록에 필요한 규정 지식 = 9 언어학적 지식 = 14 지식의 구조화, 개념에서 용어까지 = 15 전문용어 단위 식별 = 19 단일 개념 원리 = 22 전문화된 개념의 정의와 텍스트 일치 = 24 용어와 용어 관계의 평가 = 28 언어 관리와 전문용어 부합화 = 30 2 전문용어 연구 방법론 = 33 방법론이란 무엇인가? = 33 전문 문서에 대한 인식과 평가 = 34 분류 체계를 이용하여 전문용어 분석을 위한 주제 분야 범위 한정 = 38 정의되어야 할 개념 다이어그램 설정 = 40 원문서를 대상으로 용어 추출을 수행하고 적절한 원문 지원을 표시하기 = 42 개념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단일어 용어 기초 목록 구축 = 46 용어 추출 결과를 단일 개념 용어 사례 파일로 편집하기 = 48 기초 목록 및 관련 원문 지원에서 뽑은 용어를 레코드에 입력하기 = 49 연구 관계, 레코드 완성, 인용, 배포 규칙들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레코드를 수정하기 = 54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로 로딩하고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교정하기 = 57 전문 지식, 언어 용법, 사용자 요구사항들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전문용어 콘텐트를 관리하기 = 58 고객이 요구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기 = 59 3 전문용어 작업 도구 = 63 전문 콘텐트의 전산화 = 63 문서 탐색 도구 = 65 용어 추출 도구 = 71 전문용어 연구 도구 = 76 데이터 기록 도구 = 78 전자출판 도구 = 82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 = 82 전문용어학과 언어 산업 = 86 부록 = 89 찾아보기 = 111 한영 용어집 = 117 영한 용어집 =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