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의 글 = 3
저자 서문 = 4
CHAPTER 1 간호의 기초적인 앎의 패턴 = 9
1. 실무 분야를 위한 지식 = 9
2. 앎과 지식 = 11
3. 간호의 앎의 패턴에 대한 개괄 = 12
4. 간호지식 개발 과정 = 20
5. 제멋대로의 패턴들 = 32
6. 왜 간호에서 앎의 패턴을 개발해야 하는가? = 35
7. 반영과 논의 = 38
CHAPTER 2 간호지식 발달의 역사 = 41
1. 고대에서 나이팅게일까지 = 43
2. 나이팅게일의 유산 = 44
3. 나이팅게일에서 과학으로 = 46
4. 초기 문헌에서 앎의 패턴들 = 52
5. 과학으로서의 간호의 등장 = 63
6. 초기 간호과학 발달의 경향 = 65
7. 간호의 개념적 틀인 메타 언어 = 72
8. 중범위 실무 연계 이론 개발 = 78
9. 지식 개발의 경향 = 79
10. 지식 개발의 맥락 = 85
11. 반영과 논의 = 90
CHAPTER 3 해방적 지식 개발 = 91
1. 해방적 앎의 개념 = 93
2. 해방적 간호유산 = 97
3. 해방적 창조적 개발 과정: 비평과 상상 = 105
4. 해방적 지식의 공식적 표현 = 115
5. 증명의 실천과 과정 = 118
6. 반영과 논의 = 119
CHAPTER 4 윤리적 지식 개발 = 123
1. 윤리, 도덕성, 그리고 간호 = 125
2. 윤리적 관점의 개요 = 131
3. 윤리와 도덕에 대한 간호의 초점 = 135
4. 윤리적 지식 개발 과정 = 138
5. 윤리적 지식 형태 = 146
6. 대화와 정당화 = 147
7. 반영과 논의 = 151
CHAPTER 5 개인적 지식 개발 = 153
1. 간호에서 개인적 삶 = 154
2. 개인적 앎의 개념적 의미 = 156
3. 개인적 지식 개발 과정: 개방화와 집중화 = 160
4. 일지 쓰기와 명상 = 163
5. 확시한 개인적 앎의 과정: 반응과 설찰 = 167
6. 개인적 앎을 표현하는 형태 = 168
7. 반영과 논의 = 171
CHAPTER 6 미적 지식 개발 = 173
1. 예술과 미학 = 175
2. 간호 예술의 개념적 정의 = 178
3. 미적 지식 개발 과정: 전망과 시연 = 183
4. 미적 지식 형태: 비판주의와 예술작품 = 200
5. 미적 지식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 감상과 영감 = 202
6. 반영과 논의 = 203
CHAPTER 7 경험적 지식 개발: 개념화와 구조화 = 205
1. 경험적 이론이 무엇인가? = 206
2. 경험적 이론과 방법론 = 211
3. 개념적 의미 만들기 = 213
4. 반영과 논의 = 249
CHAPTER 8 경험적 이론에 대한 설명과 비판적 반영 = 251
1. 이론이란 무엇인가? 이론의 서술 = 252
2. 어떻게 작업하는가? 이론에 대한 비판적 반영 = 271
3. 반영과 논의 = 286
CHAPTER 9 연구를 통한 경험적 지식의 확인과 타당화 = 287
1. 이론 연계 연구와 분리 연구 = 289
2. 개념과 이론적 관계 정제하기 = 293
3. 이론적으로 타당한 경험적 연구 설계하기 = 298
4. 완전한 이론적 연구 개발 = 302
5. 반영과 논의 = 311
CHAPTER 10 실무에서 경험적 지식의 활용과 타당화 = 313
1. 개념적 의미 정제하기 = 314
2. 실무에서 이론적 관계와 성과 검증하기 = 318
3. 관계와 성과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접근 = 325
4. 이론적 추론에서 나오는 기대되는 성과 = 325
5. 공식적 연구 방법 수행 = 327
6. 이론과 근거기반 실무 = 328
7. 반영과 논의 = 332
용어 = 335
찾아보기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