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미생물학 총론
제1장 미생물학의 발달사 = 13
1. 감염질환의 역사 = 13
2. 병원체 연구의 발달과정 = 14
제2장 미생물의 분류 = 19
1. 미생물의 분류와 명명법 = 19
2. 미생물 분류를 위한 동정방법 = 23
제3장 미생물의 영양과 증식 = 25
1. 미생물의 영양 = 25
2. 미생물의 배양 = 37
제4장 미생물의 물질대사 = 43
1. 물질대사의 개요 = 43
2. 에너지 대사 = 45
3. 미생물의 에너지 대사 = 49
4. 생합성 대사 = 51
제5장 멸균과 소독 = 57
1. 개요 = 57
2. 살균작용의 기전 = 60
3. 소독제와 미생물의 상호관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62
4. 소독 = 63
5. 멸균 = 73
제6장 화학요법 = 81
1. 항생제의 정의 = 81
2. 항생제의 선택 = 82
3. 세균에 대한 항생제의 작용기전 = 83
4. 항생제 내성 = 91
5. 항생제의 감수성 검사 = 93
제2편 면역학
제7장 면역반응 = 97
1. 면역계의 특징 = 97
2. 면역계의 구성 = 98
3. 림프계 = 99
4. 면역계의 활성화 = 100
5. 세포성 면역 = 103
6. 체액성 면역 = 107
7. 과민증 = 112
8. 이식면역 = 115
9. 면역결핍 = 116
제3편 병원성 세균
제8장 세균학 총론 = 121
1. 세균의 형태와 분류 = 121
2. 세균 세포의 구조 및 기능 = 123
제9장 세균학 각론 = 137
1. Staphylococcus = 137
2. Streptococccus = 140
3. Neisseria = 146
4. Treponema = 150
5. Enterobacteriaceae = 154
6. Pseudomonas = 160
7. Vibrio = 161
8. Mycobacteriym 164
제4편 병원성 바이러스
제10장 바이러스학 총론 = 169
1. 바이러스의 정의 = 169
2. 바이러스의 형태 = 170
3. 바이러스의 구성성분 = 173
4. 바이러스의 분류 = 175
5. 바이러스의 증식 = 178
제11장 바이러스학 각론 = 181
1. 외피 비보유 DNA 바이러스 = 181
2. 외비 보유 DNA 바이러스 = 183
3. 외피 비보유 RNA 바이러스 = 189
4. 외비 보유 RNA 바이러스 = 193
제5편 병원성 진균
제12장 진균학 총론 = 205
1. 진균의 정의 = 205
2. 진균 세포의 구조 = 205
3. 임상 진균학의 중요성 = 208
제13장 진균학 각론 = 209
1. 발생 부위별 진균증 = 209
2. 항진균 요법 = 218
3. 진단검사법 = 220
제6편 구강 미생물
제14장 구강 미생물 총론 = 225
1. 구상생태계 = 225
2. 치태와 치식 = 227
3. 구강의 미생물 무리 = 229
제15장 구강 미생물 각론 = 235
1. 치아우식관련 미생물 = 235
2. 치주병관련 미생물 = 239
3. 치수염 및 기타 관련질환 = 244
제7편 감염과 감염질환
제16장 감염과 발증 = 249
1. 감염이란 = 249
2. 미생물의 전파경로 = 249
제17장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 257
1. 숙주와 미생물과의 관계 = 257
2. 인체의 정상균 무리 = 258
3. 정상균무리의 위치 = 258
4. 미생물의 전파 = 260
5. 미생물에 의한 병원성과 독성 = 263
제18장 병원감염과 예방 = 267
1. CDC 정의 = 267
2.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균 = 268
3. 병원감염의 종류 = 274
4. 우리나라 병원감염현황 = 276
5. 병원감염의 관리 = 277
6. 병원체의 전파예방 = 278
7. 환경관리 = 283
8. 직원감염관리 = 284
9. 감염관리 규정 = 285
10. 감염병의 분류 = 286
제19장 감염질환의 예방 백신 = 289
1. 면역의 종류 = 289
2. 예방 백신 = 290
3. 백신의 종류 = 291
4. 예방백신의 접종 = 293
5. 예방백신 후 이상반응 = 297
6. 예방백신 접종 시 주의사항 = 297
참고문헌 = 299
찾아보기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