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금속(金屬)의 결정
1.1 금속(金屬)의 특성
1.2 원소(元素)의 주기율(週期律)
1.3 원자의 구조(構造)
1.4 원자의 결합
1.5 결정의 구조
1.6 순금속의 결정
1.6.1 원자반경(原子半徑)
1.6.2 결정의 transformation
1.7 합금의 결정구조
제2장 격자결함과 규칙격자
2.1 점결함
2.2 선결함(線缺陷)
2.2.1 전위(轉位)
2.2.2 전위의 성질
2.3 면결함(面缺陷)
2.4 규칙격자(規則格子)
2.5 규칙 - 불규칙 변화(Order - Disorder transformation)
제3장 회복 및 재결정
3.1 회복(回復)
3.2 재결정(재결정 : Recrystallization)
3.2.1 결정립성장(Grain growth)
3.2.2 이차재결정(Secondry recrystallization)
3.2.3 어닐링 쌍정(Annealing twin))
3.3 결정립도(結晶粒度)
3.4 집합조직(集合組織)
제4장 금속의 응고와 결정
4.1 금속의 응고
4.1.1 응고
4.1.2 핵(核)의 발생 및 성장
4.1.3 핵발생수(核發生數)와 결정성장속도
4.2 주상정(柱狀晶) 및 단결정(單結晶)
4.2.1 일방향(一方向)응고에 의한 주상정(柱狀晶)의 제조법
4.2.2 응고를 이용한 단결정의 제조법
4.2.3 기체를 이용한 단결정의 제조법
제5장 금속합금의 성질
5.1 기계적 성질
5.1.1 주조합금의 조직과 기계적 성질
5.1.2 단련재의 조직과 성질의 이방성
5.1.3 냉간가공한 조직과 기계의 성질
5.1.4 결정립도 및 강도
5.1.5 고용강화
5.1.6 석출경화(析出硬化)
5.2 화학적 성질
5.2.1 산화(酸化)
5.2.2 부식(腐蝕)
제6장 금속의 상변화
6.1 상변화
6.1.1 동소변태
6.1.2 자기변태
6.2.1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특징
6.2.2 마르텐사이트의 미세조직
6.2.3 퀜칭강의 템퍼링
6.3 시효석출
6.3.1 석출의 형태
6.3.2 석출에 수반하는 성질의 변화
6.4 복원(復元)
제7장 시료제작과 온도측정
7.1 시료의 제작
7.1.1 개요
7.1.2 소재
7.1.3 시료 분석법
7.1.4 용해
7.1.5 주조
7.2 단결정의 제작
7.2.1 제작방법
7.2.2 단결정의 취급법
7.3.1 국제 온도 눈금
7.3.2 열전대
7.3.3 열전대의 종류
제8장 금속신소재의 열분석
8.1 개요
8.2 열분석 장치
제9장 금속조직 분석
9.1 개요
9.2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사용법
9.3 광학현미경에 의한 조직시험
9.3.1 시편의 연마
9.3.2 검경시편의 에칭
제10장 특수광학현미경
10.1 개요
10.2 편광현미경과 그 응용
10.3 암시야와 사조명의 이용
10.4 위상차현미경의 응용
10.5 현미경 간섭계의 이용
10.6 고온 및 저온현미경
10.7 광학현미경 시료의 특수원리
10.7.1 특수한 에칭법
10.7.2 경사 단면법(Taper sectioning)
10.7.3 레프리카의 이용
10.8 색채현미경 사진
제11장 전자현미경에 의한 분석
11.1 개요
11.2 전자현미경의 응용
제12장 특수 경도분석
12.1 개요
12.3 미소 경도
12.4 고온 경도
제13장 금속합금의 가열냉각
13.1 개요
13.4 냉각의 조건
13.5 시효경화
Appendix
References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