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성장의 광기 : 왜 경제가 성장할수록 삶은 피폐해지는가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iegel, Meinhard, 1939- 이미옥, 역
서명 / 저자사항
성장의 광기 : 왜 경제가 성장할수록 삶은 피폐해지는가 / 마인하르트 미겔 지음 ; 이미옥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뜨인돌,   2011  
형태사항
332 p. ; 22 cm
원표제
Exit : Wohlstand ohne Wachstum
ISBN
9788958073307
서지주기
서지적 주: p. 301-332
일반주제명
Economic development -- Social aspects Sustainable development
000 00912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655215
005 20110628151640
007 ta
008 110601s2011 ulk b 000c kor
020 ▼a 9788958073307 ▼g 03330
035 ▼a (KERIS)BIB000012426062
040 ▼a 241050 ▼c 241050 ▼d 224010 ▼d 244002
041 1 ▼a kor ▼h ger
082 0 4 ▼a 338.9001 ▼2 22
085 ▼a 338.9001 ▼2 DDCK
090 ▼a 338.9001 ▼b 2011
100 1 ▼a Miegel, Meinhard, ▼d 1939- ▼0 AUTH(211009)129315
245 1 0 ▼a 성장의 광기 : ▼b 왜 경제가 성장할수록 삶은 피폐해지는가 / ▼d 마인하르트 미겔 지음 ; ▼e 이미옥 옮김
246 1 9 ▼a Exit : ▼b Wohlstand ohne Wachstum
260 ▼a 서울 : ▼b 뜨인돌, ▼c 2011
300 ▼a 332 p. ; ▼c 22 cm
504 ▼a 서지적 주: p. 301-332
650 0 ▼a Economic development ▼x Social aspects
650 0 ▼a Sustainable development
700 1 ▼a 이미옥, ▼e▼0 AUTH(211009)101974
900 1 0 ▼a 미겔, 마인하르트,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001 2011 등록번호 1116327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001 2011 등록번호 1116327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8.9001 2011 등록번호 1513007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001 2011 등록번호 1116327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9001 2011 등록번호 1116327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8.9001 2011 등록번호 1513007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독일의 탁월한 사회학자인 마인하르트 미겔은 선언한다. 이 세기를 관통하는 성장의 광기는 곧 종말을 고할 거라고. 경제가 성장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무엇에 기대 살아가야 할까? 마인하르트 미겔의 대답은 이러하다. 유례없는 경제성장의 시대는 곧 끝난다. 그러나 위기는 기회다. 경제성장은 인간의 행복에 기여하기는커녕 인간성을 잠식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미망에서 벗어나 인간의 가능성과 욕망을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누가 인간의 욕망을 채울 수 없다고 하는가? 욕망은 채울 수도, 과도하게 채울 수도 있다. 인간에게 주어진 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하고 환경과 자연을 존중한다면 말이다.

얼마나 더 가져야 이 폭주를 멈추겠는가
10년 전에 비해 초중고등학생의 자살률은 50퍼센트 증가했다. 주된 자살 이유 중 하나가 성적 비관인데도 한편에서는 초등학교 0교시 수업, 일제고사 등을 실시한다.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은 2만 달러를 넘었지만 고물가와 전셋값 폭등 등으로 서민 체감 경기는 싸늘하다. 성장의 과실은 골고루 나누어지지 않아 양극화는 심해져간다. 2010년 출산율은 1.22명이었다.‘성장, 그 무엇보다 성장!’을 외친 결과가 이것이다. 그런데도 경제성장 아니면 아무것도 소용없다는 우리. 대체 얼마나 더 가져야 멈출 것인가?

“성장 지상주의는‘발암물질’이다.” - 스타벅스 CEO 하워드 슐츠
신자유주의가 이끄는 세상에는 점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스타벅스의 ‘돌아온 CEO 하워드 슐츠는 “성장 지상주의는 발암물질이며, 성장은 전술일 뿐”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제12차 5개년 개발계획에서 정부 관리의 업무 실적을 성장 지상주의로 평가하던 관례에서 벗어나 조화로운 발전을 종합평가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균열을 파고들어 성장의 미망에 상처를 내는 것. 그것이 이 책의 역할이다.
앞의 질문으로 돌아가보자. 경제가 성장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무엇에 기대 살아가야 할까? 마인하르트 미겔의 대답은 이러하다. 유례없는 경제성장의 시대는 곧 끝난다. 그러나 위기는 기회다. 경제성장은 인간의 행복에 기여하기는커녕 인간성을 잠식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미망에서 벗어나 인간의 가능성과 욕망을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누가 인간의 욕망을 채울 수 없다고 하는가? 욕망은 채울 수도, 과도하게 채울 수도 있다. 인간에게 주어진 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하고 환경과 자연을 존중한다면 말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마인하르트 미겔(지은이)

1939년 빈에서 태어났다. 1977년에 <경제사회문제연구소IWG>를 설립하여 2008년까지 소장을 역임했다. 2007년부터 지금까지 <싱크탱크미래문화진흥재단>의 이사를 맡고 있다. 활발한 정치사회 활동을 인정받아 2005년에 테오도르 호이스 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변형된 사회Die deformierte Gesellschaft』『성장의 종말』 등이 있다.

이미옥(옮긴이)

경북대학교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독일 괴팅겐 대학교에서 독문학 석사 학위를, 경북대학교에서 독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문, 경제·경영, 에세이 등 다양한 분야의 출판 기획과 번역 일을 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나무의 긴 숨결》,《여성 선택》,《비밀정보기관의 역사》,《어느 날 갑자기 공황이 찾아왔다》,《겨울잠을 자는 동물의 세계》,《위장환경주의》《과학으로 쓰는 긍정의 미래》,《무엇을 먹고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마음을 흔드는 글쓰기,《잡노마드 사회》,《불안의 사회학》,《망각》,《자본의 승리인가 자본의 위기인가》,《가족의 영광》,《직장생활을 디자인하라》,《일상을 바꾼 발명품의 매혹적인 이야기》,《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 죽는가》,《히든 챔피언》,《공감의 심리학》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프롤로그 : 파티는 끝났다. 이제 술을 깨고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성장, 무슨 일이 있어도 성장 = 11
 어부의 아내 = 14
 도취 상태에서 = 18
 호랑이를 타고 = 23
 게임하는 사람과 거품을 키운 사람 = 26 
1장 성장의 광기 : 더 많이 소유한다고 해서 행복해지지는 않는다. 그래도 더많이 가져야 한다! 
 왜 성장인가? = 33
 물질적 욕구 =  35 
 일자리 = 40
 사회적 안정장치와 예산 = 45
 가난하다는 것의 의미 = 47
 팽창 충동 = 51
 경제의 시간 = 56
 사회적 지위 = 60
 이데올로기서의 성장 = 65
 재앙의 징조 = 69
2장 끝과 시작 : 모든 것이 지속되리라는 순진한 믿음은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 
 숫자놀이 = 75
 유한함 속의 무한함 = 79
 이용에서 소비로 = 83
 혹사당하는 지구 = 86
 훼손되지 않은 세계 = 88
 줄등과 폭발 속 화염 = 92
 저승에서 이승으로 = 97
 낙관과 무분별 = 100
 이성의 힘 = 104
 빈손으로 = 108
3장 결산하기 : 이 사회는 지구와 미래세대에게 진 빚더미 위에 있다 
 생존의 문제 = 115
 공기 = 120
 물 = 125
 육지 = 132
 식량 = 136
 원료 = 142
 에너지 = 147
 인구 = 152
 이주 = 157
 부서지기 쉬운 사회 = 162
 미성숙한 사회 = 170
 흥분제를 먹은 사회 = 173
 의지할 데 없는 사회 = 176
 과부하 사회 = 181
 실패의 결산 = 186
4장 어떻게 하면 우리는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까 : 물질은 앞으로도 우리 삶에서 큰 역할을 하겠지만, 삶의 의미는 그것으로부터 점점 자유로워질 것이다 
 성장과 복지 = 195
 방향 전환 = 200
 개혁 = 204
 진정한 욕구 = 209
 재분배 = 215
 윤리적인 문제 = 220
 노동에 대한 평가절상 = 225 
 빗장 허물기 = 231
 평등의 새로운 형태 = 235
 사회 복지국가의 개조 = 241
 공공 정신의 발전 = 247
 사회의 책임 = 252
 문화의 다양성 = 258
 새로운 나이 제한 = 264
 삶과 일 = 268
 사회적 교육 = 274
 의식의 변화 = 280
 팥죽 한 그릇에 팔다 = 286 
에필로그 = 293
감사의 말 = 299
주(註) = 301

관련분야 신착자료

角川アスキー總合硏究所 (2023)
한국맥도날드 (2023)
SK 네트웍스 (2023)
국립민속박물관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