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10
서문 = 20
제1부 발트해에서 한국의 미래교육을 보다
1. 발트해에서 꿈을 꾸다 / 안민석 = 26
발트해에서 큰 꿈을 꾸다 = 26
교육혁신을 위한 순례를 시작하다 = 29
① 스톡홀름 '퓨투룸' 학교
② 스톡홀름 '로스' 학교
③ 헬싱키 '라또까르타노' 학교
④ 헬싱키 '야르벤따 고등학교'
⑤ 핀란드 교육개혁 선구자 '에르끼 아호'
2. 여행, 동행 그리고 열아홉의 꿈 / 최인혜 = 41
헬싱키로 = 41
헬싱키 공항에서 Silja Line을 타러 항구로 = 43
Silja Line 선상에서 = 47
스톡홀름에 도착하다 = 50
스웨덴 Futrum 학교에서 = 56
Ross Tensta Gymnasium 다문화 고등학교 = 60
스웨덴 지방자치연합회에서 = 64
다시 핀란드로 = 65
핀란드의 라또까르따노 종합학교에서 = 66
핀란드 야르빤빠 고등학교에서 = 71
Espo 시의회에서 = 76
Omnia 직업학교에서 = 79
핀란드 사우나에서 = 81
에스토니아로 = 82
시벨리우스 광장과 벼룩시장 = 87
3. 혁신교육으로 오산을 바꾸다 / 신선교 = 97
한국 공교육의 현실과 교육개혁 실패 = 98
복지국가 스웨덴과 핀란드 = 99
핀란드 학교탐방 = 101
핀란드의 교육 성공요인 분석 = 104
핀란드 前 국가교육청장 '에르끼 아호' = 107
연수 참가자의 선상 세미나 = 110
이젠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111
마무리하면서 = 112
4. 우리와 닮은 핀란드, 우리와 다른 핀란드 / 이광희 = 114
우리와 닮은 핀란드의 지정학적 위치와 외환의 역사 = 114
스웨덴의 오랜 식민 지배와 러시아의 점령 = 115
민족적 자각과 독립운동 = 116
독립과 내전의 희생과 고통 = 118
소련ㆍ독일과의 전쟁, 경제적 고난과 교훈 = 119
전후 부흥과 비동맹 중립의 길 = 121
연립의 전통, 노사정 합의와 연대의 정신 = 122
우리와 닮았지만 다른 핀란드에서 무엇을 얻을까? = 123
제2부 아이들이 행복하고 즐거운 학교를 만들자
1. 우리교육에 적용하기ㆍ희망찾기 / 고일석 = 128
그들의 교육, 장편 명작 드라마 = 128
우리의 교육,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 131
① 교육 중심의 새로운 학교문화 조성 실현
② 교무 업무 전단팀 조직 운영
③ 우리 사랑 동아리 조직 운영
④ 사랑과 배움 중심의 학년ㆍ학급 문화 조성 실현
⑤ 학습과정으로서의 평가 운영과 교육상담의 정례화 실현
⑥ 학생 중심 방과 후 학교 지속적 확대 노력
⑦ 자연과 미래를 담아내는 학교 공간 조성 실현
⑧ 학교와 사회기업간 업무협약(MOU) 체결에 의한 교육투자의 활성화 실현
⑨ 학교 중심 지속가능한 교육 리더십 기반 창출 실현
우리의 교육, 희망의 등대를 그리며 = 147
2. 핀란드 초등학교(기초학교)의 교육정책 / 임동석 = 149
복지제도와 교육 = 149
교육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 교육개혁 = 151
기초학교 교육의 기본정책 = 154
① 교육 이념
② 학제
③ 학교 교원의 역할과 학교 환경
④ 수업 방법
3.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방과후 학교 / 박성순 = 161
핀란드와 스웨덴의 교육의 모습 = 161
① 교육과정 운영
② 교수-학습 운영 사례
③ 방과후 활동(교과외 활동)
4. 핀란드 초등학교 평가제도 / 위성정 = 173
기초학교의 평가제도 = 174
학교 및 교원 평가제도 = 179
① 학교평가
② 교원평가
제3부 북유럽에서 한국교육의 지표를 보다
1. 선진 교육복지를 향해 희망을 쏘다 / 이은숙 = 186
2. 중학교 교육, 핀란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임헌영 = 197
자연환경적인 측면에서 본 핀란드 교육 = 197
이질그룹으로 운영되는 9학년제인 종합학교 = 198
다양성과 인성과 감성을 키우는 교수ㆍ학습 자료실 = 200
손기술과 도구를 사용한 실용 직업교육 = 201
체육 활동시설이 중요하다 = 202
학교 급식의 맛은 정성과 좋은 식자재이다 = 203
자기주도적 컴퓨터 활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 204
시사점과 우리가 나아갈 길 = 205
3. 마음의 창에 그린 고등학교 교육 / 이건 = 207
제4부 혁신교육, 이렇게 하면 성공할 수 있다
1. 한국교육, 이게 최선입니까? / 안민석 = 220
당신은 진정 행복합니까? = 220
핀란드 교육개혁의 사회적 배경 = 221
교육개혁의 정치ㆍ사회적 합의와 실행 - 1960년대 = 222
교육개혁의 지속적인 추진, 1970년대 이후 = 224
핀란드 교육개혁의 내용 = 225
핀란드 교육을 우리교육에 적용할 수는 없을까? = 226
2. 교실 안의 피그말리온은 교사다 / 조능식 = 230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 230
우리교육의 단상 및 과제 = 232
참여ㆍ소통ㆍ나눔을 통한 생각 키우는 교육 = 234
우리교육을 생각하면서 = 240
3. 혁신교육, 어디로 가야 하는가? / 조기봉 = 242
왜 교육 혁신인가? = 242
지금 교육 혁신을 해야 하는가? = 244
무엇을 혁신할 것인가? = 246
① 인적자원의 혁신
② 교육과정의 혁신
③ 상생의 길을 모색하는 거점학교(Pilot School) 운영
④ 청소년 의회(Youth Council) 운영
⑤ 작은 학교 만들기(Small school in the big school)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 266
누가 혁신할 것인가? = 267
후기 =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