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12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653601 | |
005 | 20121102185940 | |
007 | ta | |
008 | 110620s2011 ggk 000c kor | |
020 | ▼a 9788930085342 ▼g 94190 | |
020 | 1 | ▼a 9788930080019 (세트) |
035 | ▼a (KERIS)REQ000019356292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40/.112 ▼2 23 |
085 | ▼a 340.112 ▼2 DDCK | |
090 | ▼a 340.112 ▼b 2011z3 | |
100 | 1 | ▼a Bentham, Jeremy, ▼d 1748-1832 ▼0 AUTH(211009)113860 |
245 | 1 0 | ▼a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 ▼d 제러미 벤담 지음 ; ▼e 고정식 옮김 |
246 | 1 9 | ▼a (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
260 | ▼a 파주 : ▼b 나남, ▼c 2011 ▼g (2012) | |
300 | ▼a 519 p. ; ▼c 24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1534 |
650 | 0 | ▼a Ethics |
650 | 0 | ▼a Civil law |
650 | 0 | ▼a Criminal law |
650 | 0 | ▼a Utilitarianism |
700 | 1 | ▼a 고정식 ▼g 高正湜, ▼d 1953-, ▼e 역 ▼0 AUTH(211009)107504 |
900 | 1 0 | ▼a 벤담, 제러미,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0.112 2011z3 | Accession No. 1116319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0.112 2011z3 | Accession No. 1116319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0.112 2011z3 | Accession No. 111677097 | Availability Mi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12 2011z3 | Accession No. 1513114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0.112 2011z3 | Accession No. 1116319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0.112 2011z3 | Accession No. 1116319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0.112 2011z3 | Accession No. 111677097 | Availability Mi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12 2011z3 | Accession No. 1513114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영국의 철학자이자 법학자인 제러미 벤담의 주저를 완역한 것이다. 벤담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간결명료한 구호로써 공리주의 사상을 처음 주장하고 체계화하였다. 그는 인간의 삶의 궁극적 목적은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더욱 큰 행복을 안겨주는 데 있다고 보았다.
이 책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법학자인 제러미 벤담의 주저를 완역한 것이다. 벤담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간결명료한 구호로써 공리주의 사상을 처음 주장하고 체계화하였다. 그는 인간의 삶의 궁극적 목적은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더욱 큰 행복을 안겨주는 데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이런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도덕과 입법의 근본 원리는 사회 구성원들의 쾌락을 증진하고 고통을 축소·예방하는 일이 될 수밖에 없다고 파악하였다. 벤담은 이 책에서 다양한 구체적 사례를 통하여, 그리고 그와 다른 여러 사상들의 논거를 검토·비판함으로써 공리주의의 기본 개념과 합당성을 적극 제시하고 있다.
벤담의 이 책을 통해 인류의 철학사와 사상사 속에 공리주의라는 독창적 사상은 그 기본 개념에서 실천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자리매김한다. 말하자면 이 책은 공리주의에 관한 한, 일종의 경전과 다름없는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제러미 벤담(지은이)
영국의 공리주의 철학자이다.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했다. 15세에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21세에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지만, 변호사는 무의미하고 돈이 많이 드는 소송만 부추기는 사람으로 평가했다. 법률과 정치제도 개혁에 대한 연구와 정책에 반영하는 실천을 자신의 업으로 삼고 추진했다. 존 스튜어트 밀의 아버지 제임스 밀과는 공리주의 사상과 사회개혁에 힘을 합친 사상적 동지 관계로 특별한 사제의 인연이 있다.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 저서로 『도덕과 입법의 원칙 서론』, 『법률론 일반』, 『사법과 도덕의 원리에 대한 서설』, 『의회 개혁론』, 『판례의 합리적 근거』, 『파놉티콘』 등이 있다.
고정식(옮긴이)
1953년 제주도 한림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학부와 대학원에서 서양 철학을 전공하여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 <인류에게 내일은 있는가>, <대중성을 띠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글들>, <사실과 허구의 교차로>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 머리말 = 5 머리말 = 9 제1장 공리성의 원리에 대하여 = 27 제2장 공리성의 원리와 반대되는 원리에 대하여 = 37 제3장 고통과 쾌락의 네 가지 제재 또는 근원에 대하여 = 61 제4장 고통과 쾌락의 가치 및 측정 방법 = 67 제5장 쾌락과 고통의 종류 = 73 제6장 감성에 영향을 끼치는 여건에 대하여 = 85 제7장 일반적 인간 행위에 대하여 = 119 제8장 의도성에 대하여 = 135 제9장 의식에 대하여 = 145 제10장 동기에 대하여 = 155 1. 동기라는 말에 대한 다른 의미 = 155 2. 항상 좋거나 항상 나쁜 동기란 없다 = 161 3. 쾌락과 고통의 목록에 해당하는 동기의 목록 = 166 4. 동기 중 현저함의 순위 = 188 5. 동기들 간의 갈등 = 196 제11장 일반적인 인간 기질에 대하여 = 201 제12장 해로운 행위의 결과에 대하여 = 229 1. 행위의 폐해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모습 = 229 2. 어떻게 의도성 등이 행위의 폐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 = 244 제13장 처벌에 부적합한 사례들 = 251 1. 처벌에 부적합한 사례에 대한 일반론 = 251 2. 처벌이 근거가 없는 사례들 = 253 3. 처벌이 분명히 비효과적인 사례들 = 254 4. 처벌이 유익하지 않은 사례들 = 258 5. 처벌이 불필요한 사례들 = 260 제14장 처벌과 위법행위의 균형에 관하여 = 263 제15장 처벌의 역할에 부여해야 할 특성에 관하여 = 279 제16장 위법행위의 분류 = 299 1. 위법행위의 종류 = 299 2. 분류와 소분류 = 305 3. 종류 1의 세분 = 351 4. 현재의 방법의 강점 = 423 5. 다섯째 부류의 특징 = 430 제17장 법학의 형사적 부문의 경계에 대하여 = 441 1. 사적 윤리와 입법 기술 간의 경계 = 441 2. 법학 및 그 분야 = 460 결론적 보론 = 469 옮긴이 해제 = 485 상세 목차 = 501 약력 =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