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100camcc2200349 c 4500 | |
001 | 000045653534 | |
005 | 20110620093000 | |
007 | ta | |
008 | 110617s2010 ulkd b 000c kor | |
020 | ▼a 9788981914899 ▼g 93320 | |
035 | ▼a (KERIS)REQ000019358399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36.26 ▼2 22 |
085 | ▼a 336.26 ▼2 DDCK | |
090 | ▼a 336.26 ▼b 2010 | |
100 | 1 | ▼a 정재호 |
245 | 1 0 | ▼a FTA 확대에 대응한 관세율체계 변화 연구 / ▼d 정재호 , ▼e 이홍식 |
246 | 1 1 | ▼a Changes in Korean tariff structure under the new Free Trade Agreements |
246 | 3 | ▼a 에프티에이 확대에 대응한 관세율체계 변화 연구 |
260 | ▼a 서울 : ▼b 한국조세연구원, ▼c 2010 | |
300 | ▼a 135 p. : ▼b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硏究報告書 ; ▼v 10-03 |
504 | ▼a 참고문헌(p. [123]-127)과 부록수록 | |
700 | 1 | ▼a 이홍식, ▼e 저 |
830 | 0 | ▼a 硏究報告書 (한국조세연구원) ; ▼v 10-03 |
900 | 1 0 | ▼a Cheung, Jaeho, ▼e 저 |
900 | 1 0 | ▼a Lee, Hongshik, ▼e 저 |
945 | ▼a KLPA | |
949 | ▼a 硏報 ; ▼v 10-03 | |
949 | ▼a 한국조세연구원 硏報 ; ▼v 10-03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6.26 2010 | 등록번호 1116316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Ⅰ. 서론 = 21 Ⅱ. 기본관세율 구조에 대한 논의 = 25 1. 현행 기본관세율 구조 특징 = 25 가. 기본관세율 구조 = 25 나. 기본관세율 구성 = 29 2. FTA 기존 관세율 구조와의 관계 = 31 가. 우리나라 FTA 추진현황 = 31 나. 이론적 논의 = 33 다. 주요국의 FTA 이후 관세율 변화 = 35 3. 차등관세율과 균등관세율 구조 비교 = 38 가. 제약조건과 분석 시나리오 = 38 나. 분석 결과 = 42 Ⅲ. 주요 국가별 품목별 교역 분석 = 51 1. 국가별 교역구조 변화 추이 비교 = 51 가. 미국과의 교역구조 = 52 나. EU와의 교역구조 = 54 다. 일본과의 교역구조 = 56 라. 중국과의 교역구조 = 58 마. 시사점 = 60 2. 산업별 수출입 변화 추이 비교 = 62 가. 미국과의 산업별 수출입 = 62 나. EU와의 산업별 수출입 = 64 다. 일본과의 산업별 수출입 = 67 라. 중국과의 산업별 수출입 = 70 마. 시사점 = 73 3. 주요 품목별 교역구조 변화 = 74 가. 산업분류별 수입비중 변화 = 74 나. 기계류 수입비중 변화 = 77 다. 전기전자제품 수입비중 변화 = 81 라. 화학공업제품과 철강금속제품 수입비중 변화 = 84 마. 시사점 = 88 Ⅳ. FTA로 인한 관세구조 변화의 경제적 효과 분석 = 91 1. 기본모형 = 91 2. 분석자료 = 94 가. 데이터 = 94 나. 국가 분류 = 94 다. 산업 분류 = 95 3. 시나리오의 설정 = 96 4. 추정 결과 = 98 가. 한미 FTA 및 한EU FTA의 경제적 효과 = 98 나. 무역전환효과 = 100 다. 시나리오별 파급효과 = 102 라. 산업 생산의 변화 = 113 5. 결과 해석시 유의점 = 115 Ⅴ. 결론 = 116 참고문헌 = 123 부록 1. 시나리오별 후생변화 요인 분석 = 128 부록 2. FTA 체결 없이 관세율만을 인하한 경우 =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