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Loan 2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선미, 저 황필규, 저 이민경, 저 이규용, 저 김혜순, 저 이진영, 저 이혜경, 저 임준태, 저 신지원, 저 한태희, 저 정정훈, 저 정기선, 鄭基仙, 1960-, 편
Corporate Author
IOM. 이민정책연구원, 연구기관
Title Statement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 Understanding Korean migration policy / 이선미 외 지음 ; 정기선 엮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백산서당,   2011  
Physical Medium
502 p. : 삽화, 도표 ; 23 cm
Series Statement
이민정책 연구총서 ;1
ISBN
9788973274659
General Note
지은이: 이선미, 황필규, 이민경, 이규용, 김혜순, 이진영, 이혜경, 임준태, 신지원, 한태희, 정정훈  
연구기관: IOM이민정책연구원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53347
005 20221202100422
007 ta
008 110616s2011 ulkad b 001c kor
020 ▼a 9788973274659 ▼g 93340
035 ▼a (KERIS)BIB000012409474
040 ▼a 211062 ▼c 211062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25.519 ▼a 325.2519 ▼2 22
085 ▼a 325.53 ▼2 DDCK
090 ▼a 325.53 ▼b 2011
245 0 0 ▼a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 ▼x Understanding Korean migration policy / ▼d 이선미 외 지음 ; ▼e 정기선 엮음
260 ▼a 서울 : ▼b 백산서당, ▼c 2011
300 ▼a 502 p. : ▼b 삽화, 도표 ; ▼c 23 cm
440 0 0 ▼a 이민정책 연구총서 ; ▼v 1
500 ▼a 지은이: 이선미, 황필규, 이민경, 이규용, 김혜순, 이진영, 이혜경, 임준태, 신지원, 한태희, 정정훈
500 ▼a 연구기관: IOM이민정책연구원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이선미, ▼e▼0 AUTH(211009)119932
700 1 ▼a 황필규, ▼e
700 1 ▼a 이민경, ▼e▼0 AUTH(211009)87805
700 1 ▼a 이규용, ▼e
700 1 ▼a 김혜순, ▼e
700 1 ▼a 이진영, ▼e▼0 AUTH(211009)89676
700 1 ▼a 이혜경, ▼e▼0 AUTH(211009)80409
700 1 ▼a 임준태, ▼e
700 1 ▼a 신지원, ▼e▼0 AUTH(211009)124313
700 1 ▼a 한태희, ▼e▼0 AUTH(211009)137645
700 1 ▼a 정정훈, ▼e
700 1 ▼a 정기선, ▼g 鄭基仙, ▼d 1960-, ▼e▼0 AUTH(211009)20911
710 ▼a IOM. ▼b 이민정책연구원, ▼e 연구기관
910 0 ▼a 국제이주기구. ▼b 이민정책연구원, ▼e 연구기관
910 0 ▼a IOM. ▼b MRTC, ▼e 연구기관
910 0 ▼a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b Migr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re, ▼e 연구기관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5.53 2011 Accession No. 1116307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기선(엮은이)

미국 Maryland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IOM이민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이민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인구변동과 이민, 이민정책, 노동이민, 가족이민, 이민자통합, 국민정체성, 이민통계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이민관련 태도 연구>(2011, 공저), <이주민의 지역사회정책과 사회통합정책 연구>(2012, 공저), <2013년 체류외국인실태조사: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활>(2014, 공저)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발간사 / Charles M. Harns [IOM 정책연구원장]
감사의 글 / 정기선 
편집자의 글 / 정기선 
01 한국 이민정책사 / 이혜경 = 19
 1. 들어가는 글 = 19
 2. 이민 및 이민정책 = 20
  1) 개념: 이민 및 이민정책 = 20
  2) 이민정책의 단계별 유형 = 21
  3) 이민정책 및 사회통합정책의 수렴현상 = 22
 3. 한국 이민의 현황 = 24
  1) 1980년대 말 이전: 내국인의 국외이민 = 24
  2) 1980년대 말 이후: 외국인의 국내이민 = 27
 4. 이민정책의 형성 및 변화 = 31
  1) 유입초기: 1980년대말∼1993년 = 31
  2) 정책변화 모색기: 1994년∼2003년 = 36
  3) 제도변화 및 사회통합정책 모색기: 2004년 이후 = 41
 5. 결 론 = 45
02 이민정책의 이론적 기초 / 이선미 = 51
 1. 연구목적 = 51
 2. 다문화주의 = 55
  1) 서구의 연구경향 = 55
  2) 한국의 연구경향 = 63
 3. 포섭과 사회통합 = 66
  1) 서구의 연구경향 = 66
  2) 한국의 연구경향 = 69
 4. 국민됨-국가 연계의 재협상 Ⅰ: 종족문화공동체의 재적응 = 70 
  1) 서구의 연구경향 = 70
  2) 한국의 연구경향 = 76
 5. 국민됨-국가 연계의 재협상 Ⅱ: 글로벌 시민권의 창출 = 78
  1) 서구의 연구경향 = 78
  2) 한국의 연구경향 = 84 
 6. 요약 및 제언 = 85
03 이민관련법 / 황필규 = 93 
 1. 서 론 = 93
  1) 이민관련법의 의미 = 93
  2) 이민관련법 연구의 전제 및 기초 = 94
  3) 이민관련법 연구의 의의 = 97
 2. 개별 이민관련법의 개요, 이슈, 연구 현황 및 방향 = 99
  1) 이주민의 국적: 『국적법』= 99
  2) 이주민의 헌법상 지위:『헌법』= 100
  3) 이주민의 입국, 체류 및 출국:『출입국관리법』= 103
  4) 한국 체류 중 이주민의 처우:『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104
  5) 이주노동자의 노동권:『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109
  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지위:『다문화가족지원법』= 114
  7) 재외동포의 법적 지위:『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118
  8) 사회보장 관련 법률 = 119
 3. 결 론 = 122
  1) 총체적인 접근의 필요성 = 122
  2) 핵심연구 과제 = 123
04 외국인 인력정책 / 이규용 = 129 
 1. 서 론 = 129
 2. 외국인 인력정책의 개념과 쟁점 = 130
  1) 외국인력의 개념과 범위 = 130 
  2) 외국인 인력정책의 쟁점 = 138
 3. 외국인 인력정책의 역사와 정책현황 = 146
  1) 저숙련 외국인력 정책 전개과정과 고용허가제 = 146
  2) 방문취업제 = 150
  3) 최근의 저숙련 외국인력관련 법개정 = 154
  4) 전문기술 외국인력정책 = 155
 4. 외국인 인력정책의 연구현황과 주요 이슈 = 162
  1) 외국인력 노동시장 구조에 관한 연구 = 162
  2) 외국인력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 167
  3) 외국인력 수요에 관한 연구 = 169
  4) 외국인력 정책의 해외사례 연구 = 171
 5. 향후 연구과제 = 172
05 결혼이민자ㆍ다문화가족 사회통합정책 / 김혜순 = 177 
 1. 서 론 = 177
 2. 결혼이민자ㆍ다문화가족 대상 사회통합정책 현황 = 181
  1) 관련 정부문건에 나타난 정책 = 171
  2) 결혼이민자ㆍ다문화가족 대상 사회통합정책 = 186
 3. 결혼이민자ㆍ다문화가족 대상 사회통합정책의 문제점 = 193
  1) 사회통합정책의 정의문제 = 193
  2) 정책추진체계의 문제 : 상황정의의 정치경제학 = 195
 4. 결혼이민자ㆍ다문화가족 사회통합정책의 연구과제 = 202
  1) 정책대상의 특징 = 203
  2) 사회통합 정책의 목표와 성격규정 = 207
  3) 연구 방법 = 220
  4) 정책추진체계의 문제 = 224
06 이주가정 자녀 사회통합 정책 / 이민경 = 231
 1. 서 론 = 231
 2. 이주가정 자녀 사회통합 정책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 = 236
  1) 서구의 이주민자녀 사회통합 정책 = 236
  2) 한국의 이주민자녀 사회통합정책의 특징과 한계 = 241
  3) 이주민 자녀 사회통합정책을 둘러싼 해외사례연구 현황 = 242
 3. 이주가정 자녀 사회통합정책: 쟁점과 추진체계 = 245
  1) 이주가정자녀들의 사회통합을 위한 쟁점 = 246
  2) 이주가정자녀 사회통합정책 추진체계 = 258
 4. 결 론: 향후 연구과제 = 265
07 재외동포정책 / 이진영 = 277
 1. 들어가는 글 = 277
 2. 재외동포의 현황과 개념 = 278
  1) 재외동포의 현황 = 278
  2) 재외동포의 개념 = 280
 3. 재외동포정책의 역사 = 281
  1) 정책의 기원과 전개 = 282
  2) 문민정부 이후의 전개 = 286
 4. 목표와 법령 그리고 정책 추진체계 = 292
  1) 재외동포 정책 목표와 추진방향 = 292
  2) 재외동포 관련 법령과 제도화 = 298
 5. 재외동포정책의 핵심 이슈와 변화 = 303
  1) 선행연구와 이론적 쟁점 = 303
  2) 최근의 쟁점과 현황 = 314
 6. 결 론 = 317
08 외국인 인권 / 정정훈 = 323
 1. 서 론 = 323
 2. 국제규약상의 이주민 인권 = 324
  1) 유엔 인권기구의 한국 이주민 인권 상황에 대한 권고 = 324
  2) 이주노동자권리협약 = 327
  3) 국제노동기구 협약사의 이주노동자 인권 = 330
 3. 이주노동자 = 331
  1) 고용허가제와 노동인권 = 331
  2) 주거권 = 341
 4. 미등록이주노동자 = 343
  1)「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과 외국인 지원 조례상의 배제 = 343
  2) 신체의 지유 = 345
  3) 통보의무 = 351
 5. 결혼이주여성 = 354
  1) 이신매매적 성격의 결혼중개 문제 = 354
  2) 결혼 이후, 국적 및 체류자격 등의 문제 = 359
 6. 이주아동 = 361
  1) 교육을 받을 권리 = 361
  2) 가족결합권 = 364
  3) 안정적 체류를 통한 전반적 인권의 보장 = 366
 7. 재외동포 = 367
  1) 역사 문제로서의 재외동포 인권 = 367
  2) 법률 적용사의 차별 = 368
 8. 난 민 = 372
  1) 난민 현황 = 372
  2)「출입국관리법」상 난민 관련 규정의 문제점 = 375
  3) 단일 난민법 제정의 필요성 = 377
 9. 결 론 = 383
  1) 정부의 이민정책 기본계획과 인권 = 383
  2) '정의로운 시민권' 개념의 모색으로서의 인권 = 387
09 외국인 범죄 / 임준태 = 393
 1. 문제제기 = 393
 2. 외국인 범죄의 현황 분석 = 395
  1) 외국인의 불법체류 동향 = 392
  2) 외국인 집중거주지 실태 = 398
  3) 외국인 범죄 실태 = 400
  4) 외국 사례 = 407
 3. 외국인 범죄에 대한 선행연구와 평가 = 412
 4. 외국인 범죄에 대한 형사정책적 관점과 법령 = 422 
  1) 외국인 정책에 반영된 형사정책적 과제 = 423
  2) 외국인 범죄에 대한 형사사법기관의 대응 = 425
 5. 결론-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제언 = 429
10 국경관리: 촉진과 통제의 균형 / 신지원ㆍ한태희 = 437
 1. 들어가는 글 = 437
 2. 국경관리의 이해 = 439
  1) 국경/국경관리의 개념 = 439
  2) 국경관리체계의 변화 = 441
 3. 국경관리와 안보: 초국가적 범죄행위 대응ㆍ예방 체계 = 448
  1) 안보를 위한 정보와 통제 수단 = 448
  2) 이주자의 권리와 안보의 균형 = 456
 4. 한국의 국경관리체계 = 459
  1) 국경관리의 범위 = 459
  2) 출입국관리정책 = 461
  3) 한국의 국경보안정책 = 479
 5. 나가는 글 = 483
찾아보기 = 489
집필진 소개 = 49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Ivanovna, Din Yuliya (2022)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