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
제1편 MICE와 회의산업
제1장 MICE 산업
제1절 MICE 개념 = 17
제2절 MICE산업 = 19
제3절 MICE 업종 = 21
제4절 MICE의 효과 = 24
1. 경제적 효과 = 24
2. 사회문화적 효과 = 25
제5절 MICE산업 관련 기구 = 27
제6절 MICE인력 양성 = 32
1. 교육기관 현황 = 32
2. 인턴 프로그램 운영현황 = 40
토론문제 = 42
제2장 회의산업
제1절 회의 = 45
1. 회의의 정의 = 45
2. 회의의 역사 = 46
3. 회의의 기원과 발달 = 46
4. 회의산업의 중요성 = 51
5. 회의의 종류 = 53
6. 회의 진행방식에 의한 분류 = 59
7. 회의의 유사 용어 = 60
제2절 국제회의 = 64
1. 국제회의의 정의와 기준 = 64
2. 국제회의의 중요성 = 68
3. 국제회의 개최 현황 = 68
제3절 회의산업의 이해관계자 = 73
제4절 녹색회의(Green Meeting) = 77
토론문제 = 84
제2편 인센티브 여행
제3장 인센티브 여행
제1절 인센티브 여행 개요 = 89
1. 인센티브의 정의 = 89
2. 인센티브 여행의 발달 = 91
3. 인센티브 여행의 종류 = 93
제2절 인센티브 여행 시장 = 96
1. 인센티브 여행 사용 기업 = 96
2. 인센티브 여행 사용 이유 = 96
3. 인센티브 여행 상품의 특성 = 98
4. 인센티브 여행 목적지 마케팅 = 99
5. 성공적 인센티브 여행 판매 조건 = 99
6. 인센티브 여행 시장 전망 = 101
제3절 인센티브 여행 진흥기구 = 102
1. 인센티브 하우스 = 102
2. 인센티브여행경영자협회(Society of Incentive Travel Executives: SITE) = 103
3. 국제회의전문가협회(Meeting Planners International: MPI) = 104
토론문제 = 105
제4장 인센티브 여행 운영과 유치
제1절 인센티브 프로그램 운영 = 109
1. 인센티브 여행의 기획 = 109
2. 인센티브 여행 목적지 선정 시 고려사항 = 112
3. 인센티브 여행 현장답사 준비사항 = 115
4. 인센티브 여행 운영 = 115
5. 인센티브 여행 운영상의 문제점 = 117
제2절 한국의 인센티브 여행 유치 = 118
1. 인센티브 여행 유치의 필요성 = 118
2. 인센티브 여행 유치 방안 = 119
3. 인센티브 여행 목적지로서의 한국 평가 = 120
제3절 인센티브 여행 프로그램 사례 = 124
1. 크루즈와 인센티브 여행 = 124
2. 테마 파티의 활용 = 125
3. 인센티브 여행 프로그램 운영 사례 = 129
토론문제 = 140
제3편 컨벤션 유치ㆍ기획ㆍ운영
제5장 컨벤션 유치와 운영
제1절 컨벤션 유치 과정과 절차 = 145
1. 컨벤션 유치 목적 = 145
2. 제안서 신청 기준(Bid Criteria) = 146
3. 컨벤션 유치 제안과정 = 149
4. 현장 확인 답사(Site Inspection) = 152
제2절 컨벤션의 준비 = 178
1. 기획 단계 = 178
2. 컨벤션 형태 및 내용 = 180
3. 좋은 연사 및 좌장 선정 = 180
4. 실현 가능한 의제선택 = 181
5. 청중석을 매일 새롭게 = 181
6. 컨벤션 평가 = 181
7. 컨벤션 기획 시간 계획 = 182
제3절 컨벤션 협상과 계약 = 185
1. 협상과 계약의 정의 = 185
2. 협상의 기준 수칙 = 186
3. 컨벤션 관련 계약서 작성 시 검토 사항 = 188
4. 계약서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세부 조항 = 189
제4절 컨벤션 기획과 운영 = 194
1. 컨벤션의 기획 = 194
2. 컨벤션 개최지 선정 = 198
3. 부대 행사 운영 = 204
토론문제 = 206
제6장 이벤트 기획
제1절 이벤트의 개념 = 209
1. 이벤트의 정의 = 209
제2절 이벤트의 효과 = 211
1. 이벤트의 본원적 효과 = 211
2. 이벤트의 경제적 효과 = 213
3. 이벤트의 사회문화적 효과 = 214
4. 이벤트의 관광적 효과 = 216
제3절 이벤트 기획 219
1. 이벤트 기획 과정 = 219
2. 이벤트의 연출 = 222
토론문제 = 224
제7장 컨벤션 서비스
제1절 컨벤션 시설 = 227
1. 컨벤션 시설의 종류 = 227
2. 녹색 컨벤션 시설 = 233
제2절 컨벤션기획과 운영 주체 = 235
1. 컨벤션기획자의 자질과 역할 = 235
2. 컨벤션기획자의 종류 = 238
3. 컨벤션기획사의 전문성 인증 = 240
제3절 컨벤션 의전 = 243
1. 의전의 개념 = 243
2. 의전의 의미 = 243
3. 의전의 기본 = 243
4. 서열 = 244
5. 대통령의 외국 방문 및 외빈의 영접 = 245
제4절 컨벤션 사교의례 = 246
1. 소개ㆍ악수ㆍ명함 = 246
2. 연회와 식탁 예절 = 248
3. 주류 = 253
4. 포도주 = 254
5. 여성 예우 = 255
6. 기타 에티켓 = 256
토론문제 = 258
제8장 컨벤션뷰로
제1절 컨벤션뷰로 = 261
1. 컨벤션뷰로의 개념 = 261
2. 컨벤션뷰로의 역할 = 263
3. 컨벤션뷰로의 조직 = 266
4. 컨벤션뷰로의 형태 = 266
제2절 컨벤션뷰로의 운영 = 268
1. 컨벤션뷰로의 재원 = 268
2. 외국의 컨벤션뷰로 운영 사례 = 268
3. 한국의 컨벤션뷰로 = 274
4. 컨벤션뷰로 업무수행 평가 = 277
토론문제 = 279
제4편 전시회
제9장 전시회의 이해
제1절 전시회의 개념 및 정의 = 285
제2절 전시회의 분류 = 286
제3절 전시회의 기능 = 288
제4절 전시회의 특성 = 291
제5절 전시회의 효과성 = 293
제6절 전시회의 현대적 기능 = 295
제7절 전시회의 주요 구성요소 = 296
1. 구매자 - 참가자 = 296
2. 판매자 - 참가업체 = 297
3. 주최자 = 298
토론문제 = 299
제10장 전시산업
제1절 전시산업의 의의 = 303
제2절 전시산업 트렌드 = 304
1. 전시회 참가활동의 성과측정 및 평가의 중요성 증대 = 304
2. 기업 전시회 수요 증가 = 305
3. 핵심고객 대상 전시회 개최 전 이벤트 개최 확대 = 305
4. CEIR의 전시산업 성장전망이 긍정적인 이유 = 305
5. 기업 마케팅 담당자 시각에서의 전시산업 트렌드 = 306
제3절 전시회 인증과 UFI = 307
1. 국제전시산업협회(UFI) = 307
제4절 독일의 전시산업 = 310
1. 전시산업 동향 = 312
2. 전시산업 규모 = 312
3. 독일의 주요 전시회의 특징 = 312
4. 전시 관련 주요 단체 = 314
토론문제 = 315
제11장 전시회 마케팅
제1절 전시회 마케팅의 이해 = 319
1. 전시회 참가 활동이 실패하는 7가지 이유 = 319
2. 전시회 참가 활동이 성공하기 위한 10가지 핵심원칙 = 322
제2절 전시회 전략 기획 = 325
1. 전시회 전략 기획의 중요성 = 325
2. 전시회 전략 기획의 이해 = 326
3. 전시회 전략 기획 수립절차 = 328
4. 기업 목표의 전시회 목표로의 전환 = 328
제3절 전시회 참가 목표 설정 = 330
1. 전시회 참가 목표 설정의 중요성 = 330
2. 전시회 참가 목표의 유형 및 선택 = 332
3. 참가 목표를 측정 가능한 형태로 계량화하는 방법 = 336
제4절 부스 운영 및 인력 관리 = 338
1. 부스 운영과 성과 관리 = 338
2. 부스의 배치 유형 및 장단점 분석 = 339
3. 좋은 부스 위치와 관련된 논쟁 = 344
4. 최적의 부스 규모를 산출하는 방법 = 345
5. 부스 직원 선발 기준 및 방법 = 349
6. 부스 직원의 교육 및 스케줄링 = 350
7. 부스맨십(Boothmanship) = 353
제5절 전시회 프로모션 = 355
1. 전시회 프로모션의 중요성 = 355
2. 전시회 프로모션의 유형 = 356
3. 프로모션의 유형별 장단점 및 효과성 분석 = 358
4. 최적의 프로모션 수단을 선택하는 방법 = 360
5. 사전 프로모션 전략 및 방안 = 362
6. 현장 프로모션 전략 및 방안 = 366
7. 사후 프로모션 = 367
8. 부스 참가 이외의 사후 프로모션 전략 및 방안 = 368
제6절 사후관리 및 성과측정 = 369
1. 세일즈 리드(sales lead)의 창출 및 관리 = 369
2. 참가 목표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 = 372
3. 설문 조사에 의한 전시회 참가성과 측정방법 = 373
4. 내부 직원의 평가에 의한 참가성과 측정방법 = 376
토론문제 = 379
제12장 전시회 경영의 이슈들
제1절 전시회 경영의 미래 환경과 대응 과제 = 383
제2절 불황기를 극복하는 전시회 경영 전략 = 387
제3절 고객관계관리(CRM)를 통한 전시회 가치 경영 = 391
1. CRM을 통한 전시회 운영성과 개선 가능성 확인 = 393
2. 고객 특성 반영 = 393
3. 충성도 증진 프로그램(loyalty-building program) 도입 = 394
4. 적절한 성과지표의 선정 = 394
제4절 전시회 브랜드 경영 = 396
1. 전시회 브랜드 구축의 중요성 = 397
2. 전시회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의 구축 = 398
3. 포지셔닝 선언문 작성 = 399
4. 신뢰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시행 = 400
5. 전시 주최자(CEO)의 인식 강화가 필수 = 401
제5절 전시회 공동개최(Co-Location)의 효과와 조건 = 402
1. 전시회 공동개최(co-location)의 유형 = 402
2. 전시회 공동개최의 기대효과 = 403
3. 전시회 공동개최의 성공조건 = 405
4. 성장전략으로서의 전시회 공동개최 = 408
제6절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시회 경영전략 = 408
1. 단기적 성공 vs. 장기적 성장 = 409
2. 전환점(Turnaround)의 도래 = 410
3. 전시회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트렌드 및 대처 방안 = 412
4.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도전 = 414
토론문제 = 416
제13장 전시산업 현황
제1절 전시장 현황 = 421
1. 국내 전시장 운영현황 = 421
2. 국내 전시장 확장계획 = 423
3. 국내 전시장 공급전망 = 423
4. 세계 주요국의 전시장 확장동향 및 전망 = 425
제2절 전시회 개최현황 분석 = 428
1. 국내 전시회 개최현황 = 428
2. 전시회 성장현황 분석(2000∼2008년) = 431
3. 국내전시회 국제화수준 분석 = 432
제3절 국내 전시회 지원사업 현황 = 433
1. 지원사업 개요 = 433
2. 지원사업 현황 및 성과 = 434
제4절 전시사업체 현황 = 435
1. 전시시설사업자 현황 = 436
2. 전시주최사업자 현황 = 437
3. 전시장치사업자 현황 = 438
4. 전시용역사업자 현황 = 439
토론문제 = 441
제14장 박람회
제1절 박람회 = 445
1. 박람회의 정의 = 445
2. 박람회의 이념 = 445
3. 박람회의 역사 = 446
4. 박람회의 성격 = 448
5. 박람회의 종류 = 450
6. 박람회국제사무국(BIE) = 452
제2절 세계박람회 = 454
1. 세계박람회의 개념 = 454
2. 근대 세계박람회 역사 = 457
3. 세계박람회 사후 관리 = 458
4. 세계박람회의 효과 = 458
5. 우리나라의 세계박람회 참가 역사 = 459
6. '93 대전 엑스포 = 461
7. 여수엑스포 = 461
토론문제 = 466
제15장 전시회 기획과 운영
제1절 전시회 기획 = 469
제2절 전시회 운영 = 499
토론문제 = 502
참고문헌 = 503
국문색인 = 510
영문색인 =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