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1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51859 | |
005 | 20110607205733 | |
007 | ta | |
008 | 110607s2011 ulk 000c kor | |
020 | ▼a 9788991082861 ▼g 93360 | |
035 | ▼a (KERIS)BIB000012418575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46.519052 ▼2 22 |
085 | ▼a 346.53052 ▼2 DDCK | |
090 | ▼a 346.53052 ▼b 2011 | |
100 | 1 | ▼a 박광오 ▼0 AUTH(211009)74624 |
245 | 2 0 | ▼a (알기쉬운) 상속법 / ▼d 박광오 저 |
250 | ▼a 제2판 | |
260 | ▼a 서울 : ▼b 法律書院, ▼c 2011 | |
300 | ▼a 6, 237 p. ; ▼c 25 cm | |
500 | ▼a 부록: 재산상속제도의 변천, 상속지분의 변천, 참고판결문 등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6.53052 2011 | 등록번호 1116286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6.53052 2011 | 등록번호 1116286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상속재산분할에 있어서 채권자취소권을 인정하면서도 유류분반환청구권을 채권자가 대위행사할 수 없다는 판결은 통설과는 다른 입장이어서 다소 의외였다. 이와 같은 새로운 판결들을 게재함은 물론 아울러 실무자 입장에서 다수의 상속재산중 일부에 대하여 상속등기를 한 후, 상속재산분할심판을 제기하였을 경우 기존 상속등기의 처리,기여분의 결정 및 그 기여분을 기여자의 상속분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에 관한 예시도 기재했다.
부끄럽게 초판을 내놓은 이후 상속사건에 관한 몇 개의 대법원판결과 하급심판결들을 반영할 필요성이 늘 머릿속을 떠나지 않고 있었다.
특히 상속재산분할에 있어서 채권자취소권을 인정하면서도 유류분반환청구권을 채권자가 대위행사할 수 없다는 판결은 통설과는 다른 입장이어서 다소 의외였다.
이와 같은 새로운 판결들을 게재함은 물론 아울러 실무자 입장에서 다수의 상속재산중 일부에 대하여 상속등기를 한 후, 상속재산분할심판을 제기하였을 경우 기존 상속등기의 처리,기여분의 결정 및 그 기여분을 기여자의 상속분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에 관한 예시도 기재할 필요성이 있었다. 다만, 개정판에서도 초판에서 애초 의도했던 알기 쉽게 쓰기로 한 부분을 유지하려고 노력을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속에 관련된 일을 하시는 분들이 바쁜 와중에 쉽게 이해하여 업무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 어느날 갑자기 상속문제가 생겨 급히 알아보아할 필요성을 느낀 분들이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승모 법률서원 사장님과 관계자분들에 감사를 드린다.
2011. 4. 5.
서초동 사무실에서
변호사 박 광 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Ⅰ. 상속인 및 상속인의 순위 1. 사례(형제상속) = 1 2. 상속인 및 상속순위 = 2 가. 현행민법상 상속인 및 상속순위 = 2 나. 상속인에 대한 상세설명 = 5 3. 상속제도의 변천 Ⅱ. 대습상속(代襲相續)이란? 1. 사례 1(동시사망과 대습상속) = 17 2. 이해의 편의 = 19 3. 사례 2(양자의 사망과 대습상속) = 20 4. 상속포기와 대습상속인정여부 = 21 5.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유족급여와 대습상속 = 21 Ⅲ. 상속인 결격(相續人缺格) 1. 사례 및 설명(낙태와 상속인 결격) = 23 2. 보충설명 = 24 Ⅳ. 상속개시와 상속인들의 소유관계 1. 사례(공동상속과 일부상속인의 독점적 점유) = 25 2. 상속과 등기 = 28 가. 상속인 일부가 자신지분만의 상속등기를 할 수 있는지 여부 = 28 나. 상속등기대위신청 = 29 다. 피상속인 등기명의 상태에서 처분금지가처분등기 = 30 라. 상속등기를 거침이 없이 가처분등기를 할 수 있는 경우 = 30 마. 판결과 주소증명서면 = 31 바. 대위에 의한 상속등기시 행방불명인 외국인 등의 주소증명서면 및 부동산등기용등록번호 = 31 사. 지분말소판결에 의하여 단독명의를 공유명의로 하는 경정등기 = 32 아. 행방불명과 주소증명서면 = 33 자. 상속인 일부만을 상대로 하여 피상속인의 지분 전부에 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명하는 확정판결을 받은 경우 그 등기절차 = 34 차. 상속인이 등기권리자로서 소유권이전등기의 승소판결을 받은 경우 위 판결에 의한 등기신청시 상속을 증명하는 서면을 첨부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선례변경) = 34 카. 상속을 받지 않는 자의 주소증명서면이 필요한가 = 35 타. 재외국민의 주소증명서면 = 35 Ⅴ. 상속채권ㆍ상속채무와 공동상속의 문제 1. 사례 1(상속채권과 공동상속의 문제) = 37 2. 사례 2(상속채무와 공동상속의 문제) = 41 3. 기타 판례소개 = 43 Ⅵ. 상속분(相續分) 1. 현행 상속분의 개괄적 내용(과거 상속분의 변천내용은 별첨1 참조) = 44 2. 상속분계산을 위한 구체적 사례 = 45 가. 사례 1(상속분을 초과하지 않은 특별수익자가 있는 경우) = 45 나. 사례 2(상속분을 초과한 특별수익자 및 초과하지 않은 특별수익자가 함께 있는 경우) = 48 다. 사례 3(기여분이 인정되는 경우) = 52 라. 기여분제도에 대한 보충설명 = 53 마. 사례 4(특별수익자와 기여자가 함께 있는 경우) = 57 Ⅶ. 상속재산의 범위 1. 사례 1(생명보험금청구와 상속재산) = 59 2. 사례 2(단체협약상 위로금청구와 상속재산) = 61 3. 사례 3(이혼시 위자료 및 재산분할청구와 상속재산) = 63 4. 참고 - 제사용 재산 = 66 가. 제사용재산의 귀속 = 66 나. 금양임야와 묘토(제사용 재산)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 = 67 5. 상속재산분할심판과정에서 상속재산인지 여부에 관하여 다툼이 있는 경우의 처리 = 69 6. 피상속인이 증여를 하였으나 아직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못한 상태에서 사망한 경우 상속재산 해당여부 = 70 Ⅷ. 상속재산분할 1. 사례 1(상속재산분할협의) = 71 2. 사례 2(피인지자 등장 - 피인지자가 다른 상속인들과 공동상속인인 경우) = 77 3. 사례 3(피인지자 등장 - 피인지자가 선순위상속인인 경우) = 80 4. 사례 4(특별대리인 선임없이 한 상속재산분할협의) = 82 5. 사례 5(상속재산분할협의가 안 되는 경우) = 84 6. 사례 6(상속재산분할협의와 사해행위취소) = 87 7. 상속재산분할과 가액평가 = 90 8. 상속재산분할사건의 조정과 등기 = 92 Ⅸ. 단순승인, 상속포기 및 한정승인 1. 사례 1(상속재산분할후 상속채무 발견) = 93 2. 사례 2(사전상속포기문제) = 103 3. 사례 3(상속포기와 단순승인간주) = 103 4. 사례 4(상속포기신고와 상속재산분할) = 107 5. 상속포기의 취소 = 108 Ⅹ. 상속인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1. 사례 1(상속인 부존재와 상속채권자 조치) = 110 2. 사례 2(상속재산분여청구) = 111 XI. 상속회복청구 1. 개괄적 설명 = 113 가. 상속회복청구의 의의 = 113 나. 상속회복청구의 또 다른 면 = 113 2.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 = 114 3. 사례 1(제3자가 서류 위조하여 상속인으로 가장하여 상속받은 경우) = 116 4. 사례 2(일부공동상속인의 상속권침해) = 118 5. 사례 3(참칭상속인의 처분) = 119 6. 사례 4(상속재산분할과 인지) = 121 7. 사례 5(상속을 원인으로 하지 않은 경우) = 122 8. 기타 상속회복청구권에 관한 판례들 = 123 XII. 유언 1. 사례 1(유언방식) = 125 2. 사례 2(유증의 침해) = 134 3. 특정유증과 포괄유증 = 136 4. 유언집행자 = 137 5. 사례 3(유언의 철회) = 141 XIII. 유류분반환청구 1. 사례 1(유류분침해) = 143 2. 유류분포기약정의 효력 = 144 3. 보충설명 = 145 4. 사례 2(상속인 아닌 제3자에게 증여) = 145 5. 사례 3(기간도과의 문제) = 147 6. 사례 4(유류분산정) = 149 7. 사례 5(유류분반환청구권의 대위행사) = 153 8. 유류분에 관한 보충설명 = 155 별첨 1 재산상속제도의 변천 = 161 별첨 2 [도표] 상속지분의 변천 = 165 별첨 3 참고판결문 = 168 별첨 4 참고판결문 = 185 별첨 5 참고판결문 = 190 별첨 6 참고판결문 = 194 별첨 7 민법 : 제5편 상속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