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86n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51559 | |
005 | 20110610100111 | |
007 | ta | |
008 | 110602s2011 ulkd b 000c kor | |
020 | ▼a 9788963380797 ▼g 93320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331.2524 ▼2 22 |
085 | ▼a 331.2524 ▼2 DDCK | |
090 | ▼a 331.2524 ▼b 2006 ▼c 2010-4 | |
100 | 1 | ▼a 박무환 ▼0 AUTH(211009)19567 |
245 | 1 0 | ▼a 동태적 예측모형. ▼n 2, ▼p 2국가 모형 / ▼d 박무환 |
260 | ▼a 서울 : ▼b 국민연금연구원, ▼c 2011 | |
300 | ▼a 144 p. : ▼b 도표 ; ▼c 24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서 ; ▼v 2010-04 |
504 | ▼a 참고문헌(p. [105]-106)과 부록수록 | |
830 | 0 | ▼a 연구보고서 (국민연금연구원) ; ▼v 2010-04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2524 2006 2010-4 | Accession No. 11162907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요약 = 11 Ⅰ. 서론 = 48 Ⅱ. 기존문헌 검토 = 51 1. 연구개관 = 51 2. 국내외 경제전망용 DSGE 모형 개발 사례 = 56 Ⅲ. 동태적 예측모형(DPM) = 59 1. 모형의 구조 = 59 가. GDP 블록 = 61 나. 물가ㆍ임금 블록 = 64 다. 고용 블록 = 66 라. 금리 블록 = 67 마. 대외 블록 = 69 바. 미국경제 블록 = 71 2. 모형의 균형 = 73 3. 관측변수, 모수 추정방법 및 추정결과 = 74 가. 관측변수 및 자료 정의 = 74 나. 모수 추정방법 = 76 다. 추정결과 = 78 4. 모형의 충격반응 = 85 Ⅳ. 모형의 예측력 = 88 1. 모형의 단ㆍ중기 예측력 = 88 2. 전망 시계별 예측력 = 92 3. 베이지언 추정에 의한 예측 = 97 Ⅴ. 요약 및 관련 시사점 = 102 참고문헌 = 105 부록 =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