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이상국가론 : 동양과 서양

이상국가론 : 동양과 서양 (Loan 3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장동진, 저 박의경, 저 서영조, 저 배병삼, 저 이동수, 저 박동천, 저 양승태, 저 장현근, 저 오상무, 저 이화용, 저 박홍규, 저 박주원, 저 김주성, 저 조광수, 저
Corporate Author
한국정치사상학회, 편
Title Statement
이상국가론 : 동양과 서양 / 장동진 [외] 저 ; 한국정치사상학회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Physical Medium
x, 433 p. ; 23 cm
ISBN
8971416513
General Note
저자: 장동진, 박의경, 서영조, 배병삼, 이동수, 박동천, 양승태, 장현근, 오상무, 이화용, 박홍규, 박주원, 김주성, 조광수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51420
005 20221128152038
007 ta
008 110602s2004 ulk b AQ 001c kor
020 ▼a 8971416513 ▼g 03340
035 ▼a (KERIS)BIB000009390598
040 ▼a 245008 ▼d 244002 ▼d 211009 ▼c 211009
082 0 4 ▼a 321.07 ▼2 22
085 ▼a 321.07 ▼2 DDCK
090 ▼a 321.07 ▼b 2004a
245 0 0 ▼a 이상국가론 : ▼b 동양과 서양 / ▼d 장동진 [외] 저 ; ▼e 한국정치사상학회 [편]
246 1 1 ▼a On Utopia : ▼b east and west
260 ▼a 서울 : ▼b 연세대학교 출판부, ▼c 2004
300 ▼a x, 433 p. ; ▼c 23 cm
500 ▼a 저자: 장동진, 박의경, 서영조, 배병삼, 이동수, 박동천, 양승태, 장현근, 오상무, 이화용, 박홍규, 박주원, 김주성, 조광수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2002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700 1 ▼a 장동진, ▼e▼0 AUTH(211009)58659
700 1 ▼a 박의경, ▼e
700 1 ▼a 서영조, ▼e
700 1 ▼a 배병삼, ▼e
700 1 ▼a 이동수, ▼e
700 1 ▼a 박동천, ▼e
700 1 ▼a 양승태, ▼e
700 1 ▼a 장현근, ▼e
700 1 ▼a 오상무, ▼e
700 1 ▼a 이화용, ▼e
700 1 ▼a 박홍규, ▼e
700 1 ▼a 박주원, ▼e
700 1 ▼a 김주성, ▼e
700 1 ▼a 조광수, ▼e
710 ▼a 한국정치사상학회, ▼e▼0 AUTH(211009)147932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07 2004a Accession No. 1116294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07 2004a Accession No. 1116294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장동진(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정치학과(Department of Government)에서 정치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한국정치사상학회장,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장, 그리고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과 행정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정의론과 현대자유주의 정치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현대자유주의 정치철학의 이해』, 『심의민주주의: 공적 이성과 공동선』 외 다수의 공저가 있다. 옮긴 책으로는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적 자유주의』와 『만민법』(공역)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고대의 정치이상
 《제1장》플라톤의 이상국가 / 박동천[전북대학교] = 3
  1. 緖說 = 3
  2. 철인정치론의 정체 = 5
  3. 소크라테스식 탐구의 특별한 성격 = 13
  4. 선의 이데아, 그 형식성과 실존성 = 18
  5. 영혼이 충만한 정치 - 결론에 대신하여 = 22
 《제2장》'미개적 大同', '문명적 大同', '小康', 그리고 정치적 이상의 역사적 진화론 : 『禮記』『禮運』편에 대한 하나의 비판적 해석 / 양승태[이화여자대학교] = 29
 《제3장》고대 유가의 성왕론 : 정치권력과 도덕권력의 통합 / 장현근[용인대학교] = 47
  Ⅰ. 머리말 : 시대의 요구 = 47
  Ⅱ. 先王의 道 : 현실권력에 대한 도덕우위론 = 51
  Ⅲ. 聖人 : 도덕(학문)권력의 소유자 = 56
  Ⅳ. 內聖外王 : 정치권력과 도덕권력의 통합 = 62
  Ⅴ. 맺음말 : 정치와 윤리의 합일 = 68
 《제4장》『노자』의 이상사회 재고 : '小國寡民論'을 중심으로 / 오상무[고려대학교] = 73
  Ⅰ. 서론 = 73
  Ⅱ. 제자백가들의 소국관과 '소국과민' = 75
  Ⅲ. 초기『노자』주의 '소국과민'에 대한 해석 = 85
  Ⅳ.『노자』의 국가·정치사상과 '소국과민' = 90
  Ⅴ. '소국과민'에 대한 새로운 이해 = 93
  Ⅵ. 결론 및 의의 = 98
제2부 종교적 이상국가와 문학적 유토피아
 《제5장》토마스 모어(Thomas More)의 이상국가론 / 이화용[서강대학교] = 105
  Ⅰ. 서론 -『유토피아』(1516)와 이상국가 = 105
  Ⅱ. 『유토피아』와 인문주의 = 108
  Ⅲ. 『유토피아』와 그리스도교 = 116
  Ⅳ. 맺음말 = 121
 《제6장》칼빈의 이상국가론 : 그리스도정치(Christocracy)와 기독교 국가 / 박의경[감리교신학대학교] = 125
  Ⅰ. 서론 : 교회와 국가 = 125
  Ⅱ. 칼빈 이전의 교회와 국가 = 128
  Ⅲ. 칼빈의 국가 개념 = 133
  Ⅳ. 칼빈이 제시한 기독교적 이상국가 = 140
  Ⅴ. 결론 : 기독교와 이상국가 = 147
 《제7장》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齊)의 이념신국론(理念神國論) / 박홍규[고려대학교] = 155
  Ⅰ. 머리말 = 155
  Ⅱ. 본론 = 155
  Ⅲ. 맺음말 = 170
 《제8장》박지원의 유토피아 : 「허생전」의 정치학적 독해 / 배병삼[영산대학교] = 173
  1. 서론 : 전통사회의 유토피아 = 173
  2.「허생전」의 구성과 텍스트론 = 177
  3.「허생전」의 내용과 분석 = 179
  4. 결론 = 200
제3부 사회주의 이상사회와 아나키즘
 《제9장》푸리에의 '팔랑쥬', 즐거운 노동사회의 유토피아 / 박주원[이화여자대학교] = 209
  1. 서론 : 사회주의와 유토피아 = 209
  2. 푸리에 사상에 대한 기존의 평가들 = 214
  3. 인간 본성과 노동의 관계 : 정념 인력(Attraction passionelle)의 법칙 = 220
  4. 정념에 따른 노동사회의 구성 : 팔랑쥬(phalange) = 225
  5. 즐거운 노동사회론의 가능성과 한계 - 푸리에에서 맑스로? 맑스에서 푸리에로 = 231
 《제10장》맑스와 유토피아 / 서영조[동의대학교] = 243
  Ⅰ. 머리말 = 243
  Ⅱ. 맑스 사상에 있어서 반유토피아적 요소 = 245
  Ⅲ. 맑스 사상에 있어서 유토피아적 요소 = 255
  Ⅳ. 맑스의 이상사회론에 대한 평가 = 259
  Ⅴ. 맺음말 = 263
 《제11장》아나키즘과 절대공동체 : 비일상성(非日常性)의 정치미학 / 김주성[한국교원대학교] = 267
  Ⅰ. 좌절한 실존의 추억 만들기 = 267
  Ⅱ. 아나키즘과 구사회운동 = 272
  Ⅲ. 아나키즘과 신사회운동 = 280
  Ⅳ. 직접민주정치와 절대공동체 = 287
 《제12장》중국 근대 한 아나키스트의 이상과 좌절 : 劉師培의 경우 / 조광수[영산대학교] = 299
  Ⅰ. 전통 유학자가 아나키스트가 된 이유 = 299
  Ⅱ. 사유재산과 군대를 없애자 = 304
  Ⅲ. 누구나 똑같은 일을 하자 = 308
  Ⅳ. 섣부른 혁명은 차라리 복고보다 못하다 = 312
제4부 대안사회와 이상적 세계질서
《제13장》탈현대사회 대안공동체 / 이동수[경희대학교] = 319
  Ⅰ. 서론 = 319
  Ⅱ. 근대 아나키즘의 전개 = 322
  Ⅲ. 국가의 반격 : 생활세계의 훈육과 식민화 = 328
  Ⅳ. 대안공동체의 실험 = 334
  Ⅴ. 결론 = 340
 《제14장》이상적 세계질서 : 동양과 서양 / 장동진[연세대학교] = 347
  Ⅰ. 서언 = 347
  Ⅱ. 서양의 세계질서와 국제사회정의 : 칸트와 롤즈 = 349
  Ⅲ. 동양의 세계질서관과 세계시민주의 = 381
  Ⅳ. 결어 = 411
《찾아보기》 = 41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