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시민참여론

시민참여론 (Loan 3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승종 李勝鐘 김혜정 金惠貞, 저
Title Statement
시민참여론 / 이승종, 김혜정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사,   2011  
Physical Medium
xvii, 591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8896454137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49-582)과 색인수록
000 00701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51071
005 20110604135750
007 ta
008 110601s2011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4541371 ▼g 93350
035 ▼a (KERIS)BIB000012358056
040 ▼a 222003 ▼c 222003 ▼d 222003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23.042 ▼2 22
085 ▼a 323.042 ▼2 DDCK
090 ▼a 323.042 ▼b 2011
100 1 ▼a 이승종 ▼g 李勝鐘 ▼0 AUTH(211009)57902
245 1 0 ▼a 시민참여론 / ▼d 이승종, ▼e 김혜정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11
300 ▼a xvii, 591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549-582)과 색인수록
700 1 ▼a 김혜정 ▼g 金惠貞, ▼e▼0 AUTH(211009)78289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3.042 2011 Accession No. 1116282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3.042 2011 Accession No. 1513001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3.042 2011 Accession No. 1116282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3.042 2011 Accession No. 1513001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승종(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문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Northwestern University 정치학 박사 제22회 행정고시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원장 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 영남대학교 석좌교수 새마을세계화재단 대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Wellbeing, Co-Editor [저서] 지방자치론: 정치와 정책, 2003. 시민참여론, 공저, 2011. 지방행정체제개편론, 공저. 2009. 국민행복과 정부3.0, 공저. 2013. Government and Participation in Japanese and Korean Civil Society, 2010 (co-edited) Community Well-being and Community Development(co- edited), 2010. Public Happiness. Springer, 2021.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01 민주정치와 시민참여(CITIZEN PARTICIPATION) 
 Ⅰ. 민주정치의 가치요소 = 2
 Ⅱ. 시민에 의한 정치: 직업민주제와 대의민주제 = 7
 Ⅲ. 대의민주제의 위기와 시민참여 = 11
 Ⅳ. 대의민주제의 보완과 시민참여 = 15
  1. 세 가지 처방 = 15
  2. 시민참여의 필요성 = 17
02 민주정치의 시원과 확장(CITIZEN PARTICIPATION)
 Ⅰ. 그리스 아테네 민주정치 = 22
  1. 아테네 민주정치의 진화 = 22
  2. 아테네 민주정치 체제 = 26
  3. 아테네 민주정치에 대한 평가 = 29
 Ⅱ. 한국 민주정치의 뿌리: 조선조 향약 = 31
  1. 향약의 등장 배경 = 32
  2. 향약의 구성과 운영 = 33
  3. 향청 = 35
  4. 향약에 대한 평가 = 38
 Ⅲ. 토의민주제 = 39
  1. 토의민주주의의 의의 = 39
  2. 토의민주주의 제도 = 43
  3. 토의민주제의 운영 사례 = 45
  4. 토의민주주의의 평가 = 48
  5. 토의민주주의를 넘어서서: 협력민주주의의 지향 = 48
03 시민참여의 개념(CITIZEN PARTICIPATION) 
 Ⅰ. 참여의 개념 = 52
  1. 최협의 = 53
  2. 협의 = 54
  3. 광의 = 54
  4. 최광의 = 56
  5. 참여 개념의 종합 = 57
 Ⅱ. 시민과 시민성 및 시민참여 = 60
  1. 시민과 시민성의 개념 = 60
  2. 시민참여의 유사개념 = 64
04 시민참여의 관점과 성격(CITIZEN PARTICIPATION) 
 Ⅰ. 시민참여에 대한 관점 = 68
  1. 긍정론: 고전적 민주이론 = 68
  2. 회의론: 수정적 민주이론 = 74
  3. 평가 = 80
 Ⅱ. 시민참여의 성격 = 84
  1. 고전적 민주론자의 관점 = 84
  2. 수정론자의 관점 = 85
  3. 평가 = 86
05 시민참여활동과 참여자(CITIZEN PARTICIPATION)
 Ⅰ. 참여의 활동 유형 = 94
  1, 정부의 수권양태에 의한 분류 = 95
  2. 시민의 활동양태에 의한 분류 = 104
 Ⅱ. 참여자 유형 = 116
  1. 참여분야에 따른 참여자 유형 = 117
  2. 참여정도에 따른 참여자 유형 = 122
 Ⅲ. 참여자 관점과 유형 = 123
  1. 기본관점 = 123
06 참여 실태와 전개(CITIZEN PARTICIPATION) 
 Ⅰ. 참여 실태 =130
  1. 한국의 참여 실태 = 130
  2. 외국의 참여 실태 = 140
  3. 국제 비교 = 146
 Ⅱ. 참여의 전개 = 156
  1. 신사회운동 = 156
  2. 도시사회운동 = 160
07 참여모형: 참여요인과 효과(CITIZEN PARTICIPATION) 
 Ⅰ. 참여의 요인에 관한 기존연구 = 164
 Ⅱ. 참여모형: 참여의 결정 및 효과 = 167
  1. 개인적 심리 요인 = 167
  2. 사회적 맥락 = 169
  3. 정부의 태도 = 170
  4. 제도요인 = 170
  5. 매개집단 = 171
  6. 권력구조 = 171
08 참여자(CITIZEN PARTICIPATION) 
 Ⅰ. 참여자 동기 = 174
  1. 참여자 동기의 의의 = 174
  2. 참여자의 동기 유형 = 175
 Ⅱ. 시민성 = 180
  1. 시민권 = 181
  2. 시민역량 = 183
  3. 시민의식 = 185
  4. 참여자 시민교육 = 196
 Ⅲ. 시민의식 관련개념 = 206
  1. 신뢰와 정부신뢰 = 206
  2. 사회자본 = 217
  3. 정치효능감 = 225
 Ⅳ. 사회경제적 지위 = 230
  1. 사회경제적 지위와 참여 = 230
  2. 사회경제적 지위의 요소 = 232
  3. 사회경제적 지위와 참여양태의 관계 = 235
09 정책결정자(CITIZEN PARTICIPATION) 
 Ⅰ. 참여에 대한 공직자의 태도 = 242
 Ⅱ. 여론수렴 = 245
  1. 여론수렴의 필요성 = 245
  2. 의원의 여론수렴 = 247
  3. 행정관료의 여론수렴 = 249
  4. 기본적 접근방향 = 252
  5. 여론수렴 방법의 상대적 중요성 = 253
  6. 여론수렴과 홍보와의 연계 = 255
 Ⅲ. 참여대응전략 = 256
  1. 행정 대응전략 = 257
  2. NIMBY애 대한 대응전략 = 269
10 참여요인: 매개집단(CITIZEN PARTICIPATION) 
 Ⅰ. 매개집안의 개념과 기능 = 276
  1. 매개집단의 개념 = 276
  2. 이익집단의 매개기능 = 277
 Ⅱ. 시민사회와 시민운동단체 = 282
  1. 시민사회와 시민운동단체의 발달 = 282
  2. 시민운동단체 = 285
  3. 시민운동단체의 기능 및 활성화 = 293
  4. 시민운동단체의 한계 및 발전과제 = 300
 Ⅲ. 근린집단 = 305
  1. 근린집단 = 305
  2. 한국의 근린조직 = 308
  3. 외국의 근린조직 = 313
  4. 주민운동 = 321
  5. 주민운동 및 근린집단의 향후 전망 = 323
 Ⅳ. 정당과 대중매체 = 325
  1. 정당 = 325
  2. 대중매체 = 330
11 참여제도(CITIZEN PARTICIPATION) 
 Ⅰ. 참여제도화의 의의와 방향 = 336
  1. 참여제도화의 의의 = 336
  2. 참여제도화의 기본방향 = 339
 Ⅱ. 참여제도의 유형과 현황 = 340
  1. 수동적 참여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342
  2. 교호적 참여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346
  3. 적극적 참여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352
 Ⅲ. 효과적인 회의방식의 적용 = 372
  1. 토의민주제의 회의방식 = 372
  2. 기타 회의방식 = 376
 Ⅳ. 참여제도의 운영방향 = 379
12 전자민주주의(CITIZEN PARTICIPATION) 
 Ⅰ. 전자민주주의의 의의 = 384
  1. 전자민주주의의 개념 = 384
  2. 전자민주주의의 등장배경 = 388
  3. 전자민주주의의 유형 = 389
 Ⅱ. 전자민주주의의 효과 = 391
  1. 정보사회와 대의민주제의 변화 = 391
  2. 전자민주주의의 정치참여 효과 = 393
 Ⅲ. 전자민주주의의 한계와 개선방안 = 396
  1. 전자민주주의의 한계 = 396
  2. 전자민주주의의 개선방향 = 404
13 참여환경(CITIZEN PARTICIPATION) 
 Ⅰ. 정보공개 = 410
  1. 정보공개의 개념과 필요성 = 411
  2. 정보공개의 제도화 실태 = 414
  3. 정보공개제도의 현황 = 417
 Ⅱ. 지방자치의 발전 = 427
  1. 지방자치와 시민참여 = 427
  2. 지방자치란 무엇인가 = 430
  3. 지방자치와 참여의 상호관계 = 432
  4. 지방자치에서 참여의 중요성 = 433
  5. 지방자치에서 참여의 성격 = 435
  6. 지방자치에 대한 주민참여의 효과 = 438
  7. 참여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의 발전방향 = 441
 Ⅲ. 경제발전: 경제정의의 실현 = 447
  1. 참여에 관한 모형 = 447
  2. 경제사회의 발전방향 = 449
14 권력구조, 거버넌스(CITIZEN PARTICIPATION) 
 Ⅰ. 권력구조와 시민참여 = 454
  1. 시민참여와 권력구조의 의의 = 454
  2. 권력구조에 대한 관점 = 456
  3. 권력구조와 참여의 과제 = 467
 Ⅱ. 거버넌스와 시민참여 = 474
  1. 거버넌스의 개념 = 474
  2. 거버넌스와 시민참여의 관계 = 478
  3. 거버넌스에서의 시민참여 = 480
  4. 거버넌스 유형과 시민참여 = 484
  5. 참여형 거버넌스의 형성을 위한 정책과제 = 486
  6. 결론 = 492
15 참여의 효과와 과제(CITIZEN PARTICIPATION) 
 Ⅰ. 참여의 효과 = 497
  1. 참여의 기능 및 장점 = 497
  2. 참여의 효과 = 502
 Ⅱ. 참여에 대한 비판 = 505
  1. 참여의 곤란성에 대한 비판 = 505
  2. 참여 자체의 부작용 = 508
 Ⅲ. 참여와 평등의 딜레마 = 513
  1. 참여와 평등 = 513
  2. 시민의 참여자원과 배분 = 515
 Ⅳ. 참여의 과제 = 519
  1. 참여의 적정수준 = 519
  2. 참여수준의 확대: 대표성, 형평성 = 520
  3. 참여내용의 건전화: 공익과의 관련 = 529
  4. 참여 확대와 공익성 추구의 상대적 중요성 = 531
16 결론: 협력민주주의의 지향(CITIZEN PARTICIPATION) 
 1. 협력민주주의의 의의 = 536
 2. 협력민주주의 사회의 특징 = 538
참고문헌 = 549
사항색인 = 58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