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51cac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650615 | |
005 | 20110609135527 | |
007 | ta | |
008 | 100812s2010 ggka 001c kor | |
020 | ▼a 9788918511290 (set) ▼g 13910 | |
035 | ▼a (KERIS)BIB000012142506 | |
040 | ▼a 244006 ▼c 244006 ▼d 244006 ▼d 244002 | |
082 | 0 4 | ▼a 951.9/0076 ▼2 22 |
085 | ▼a 953/.0076 ▼2 DDCK | |
090 | ▼a 953.0076 ▼b 2010 | |
100 | 1 | ▼a 신영식 |
245 | 1 0 | ▼a 海東韓國史 / ▼d 신영식, ▼e 정민규 공편저 |
246 | 1 8 | ▼a (2011 9級) 海東韓國史 |
250 | ▼a 2011년판 | |
260 | ▼a 파주 : ▼b 法文社, ▼c 2010 | |
300 | ▼a 3책 : ▼b 삽화 ; ▼c 26 cm | |
500 | ▼a 2011 9급 국가직, 지방직, 공무원 시험 완벽대비 | |
500 | ▼a 부록: 역대 왕조 계보 | |
505 | ▼n 1. ▼t 政治史 -- ▼n 2. ▼t 經濟ㆍ社會ㆍ文化史 -- ▼n 3. ▼t 近現代史 | |
700 | 1 | ▼a 정민규,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076 2010 1 | 등록번호 1512896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076 2010 2 | 등록번호 1512896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076 2010 3 | 등록번호 1512896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공무원 시험대비 해동한국사 2011년판.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기본적인 개념부터, 교과서 외의 자료로서 출제되었거나 출제 가능성이 높은 내용들이 실려 있다. 본문의 내용 중 어려운 개념이나 용어를 정리하였고, 교과서 외적인 내용이지만 주로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과 최근의 연구성과를 반영, 수험상 필요한 부분도 정리해두었다.
1. ‘역사학습의 목적’ 부분에서는 기존 교과서 수준의 서술에서 개설서 수준으로 내용을 확장하였다.
2. ‘선사시대’ 부분에서는 ‘동이족’의 개념 문제와 구석기 시대 유적과 특히 인류 화석 부분을 명확하게 정리하였고, 중석기 시대의 개념과 신석기 시대 토기 및 예술품 관련 부분을 보완하였다.
3. ‘고조선’ 부분에서는 최근 한국사능력시험 등에서 많이 출제되고 있는 전기 고조선과 후기 고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의 개념과, 부왕과 준왕 시기 연나라와의 관계 및 관직 정비 관련 내용을 자세히 보완하였다.
4. 1권 정치사 부분은 세부 사료와 최근의 유력한 학설을 중심으로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 특히 광개토왕비문에 등장하는 신라에 침공한 왜구를 격퇴한 사건을 배경으로 한 가야사의 변화 부분이 최근들어 많이 출제되고 있어, 이에 대한 부분을 확실히 정리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창녕비와 대가야의 관계 문제를 비롯하여, 최근 다양하게 출제되고 있는 주요 비문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정리를 하였다. 발해의 수도 변천과 관련된 부분도 최근의 출제 경향에 따라 정리?보완하였다. ‘통치 조직’ 부분도 관제 부분을 약간 수정하였고, 신라의 주?군?촌과 지방 장관직에 대한 개념을 보완하였다.
5. 2권 경제사 부분에서는 관념적인 왕토 사상과 토지의 사적 소유에 대한 개념을 실제 사료를 통해 보완하였고, 애매하게 서술되었던 수취 체계 부분을 사료와 최근 연구 성과에 따라 좀 더 확실하게 보완하였다. 우경(牛耕) 부분을 신라 지증왕 때의 기사의 이해를 중심으로 보완하였고, 신라 민정문서(촌락문서) 부분도 사료 검토와 연구 성과를 반영하였다. 무역품 부분도 실제 사료와의 면밀한 대조를 통해 보완하였다.
6. 2권 사회사 부분에서는 호민, 민, 하호에 대한 개념을 수정?정리하였고, 사료 내용을 대폭 보완하였으며, 표 부분을 약간 수정하였다.
7. 2권 문화사 부분 역시 실제 사료와의 면밀한 대조를 통해 대폭 개정이 이루어졌다. 특히 원효의 사상, 유식 불교 및 최치원의 4산 비명 부분은 대폭 보완하였다. 고분, 탑, 탑비, 불상, 범종 부분도 세부적인 수정과 개념 정리를 대폭 보완하였다.
8. 3권 근현대사는 날짜 부분을 중심으로 개정이 이루어졌다. 조선왕조실록과 한?일 근현대사연표를 기준으로 날짜를 통일성있게 개정하였다. 또한 음력뿐만이 아닌 해당 시기의 양력날짜도 조사하여 추가시켰다.
9. 문제편은 2010년 공무원시험 출제문제들을 해당 편제별로 자세한 해설과 함께 추가시켰다. 또한 기존의 기본문제와 심화문제에서 해설이 빈약한 부분을 대대적으로 보강하였으며, 최근 시험 출제 경향에 따라 문제편에도 많은 문제들을 자세한 설명과 함께 추가시켰다.
10. 색인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기존의 사료색인을 없애고, 수험생들의 편의를 위해 해동한국사에 실린 내용 전체를 찾기 쉽도록 자세하게 색인을 만들었다.
- 2011 해동한국사 활용법 -
교과서 다잡기는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기존 내용들로서 기본적인 개념이다. 이 내용들은 반드시 숙지하기를 바란다. 사료익히기는 교과서 외의 자료로서 출제되었거나 출제 가능성이 높은 내용들을 실어 놓은 것이다. 실력다지기는 본문의 내용 중 어려운 개념이나 용어를 정리한 것이다. 알아두기는 교과서 외적인 내용이지만 수험상 필요한 부분을 정리한 것으로 주로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과 최근의 연구성과를 반영한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신영식(지은이)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졸업 同 대학원 석사 과정(조선 후기사 전공) 서울시 해외문화재찾기 시민위원회 위원 現 커넥츠 공단기 한국사 대표강사(실강생 1위, 유료 실강 기준) 前 부산대, 경북대, 충북대 등 출강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방송 한국사·근현대사 대표 강사 이그잼 고시학원·윌비스 고시학원 대표 강사 주요 저서 신영식 한국사 기본서 신영식 한국사 기출총정리 신영식 날씬 한국사 신영식 간편 한국사 신영식 한국사 천기누설 신영식 한국사 X파일 신영식 한국사 마지막 스퍼트 최종 실전 모의고사 신영식 한국사 합격 마무리

목차
1권
한국사의 바른 이해Ⅰ
제1장역사학습의 목적
제2장한국사와 세계사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Ⅱ
제1장선사 시대의 전개
제2장국가의 형성
통치 구조와 정치 활동Ⅲ
제1장고대의 정치
제2장중세의 정치
제3장근세의 정치
제4장근대 태동기의 정치
2권
경제 구조와 경제 생활Ⅳ
제1장고대의 경제
제2장중세의 경제
제3장근세의 경제
제4장근대 태동기의 경제
사회 구조와 사회 생활Ⅴ
제1장고대의 사회
제2장중세의 사회
제3장근세의 사회
제4장근대 태동기의 사회
민족 문화의 발달Ⅵ
제1장고대의 문화
제2장중세의 문화
제3장근세의 문화
제4장근대 태동기의 문화
3권
근대 사회의 전개Ⅶ
제1장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제2장개화 운동과 근대적 개혁요구
제3장개항 이후 경제와 사회
제4장근대 문물의 수용과 근대 문화의 형성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독립 운동Ⅷ
제1장일제의 국권 피탈과 식민 지배
제2장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3장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과 무장 독립 전쟁
제4장사회·경제적 민족운동
제5장민족 문화 수호 운동
현대 사회의 발전Ⅸ
제1장대한민국의 수립
제2장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제3장북한 정권의 성립
제4장현대의 경제 발전
제5장통일을 위한 노력
제6장현대 사회의 전개
제7장현대 문화의 동향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