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
제1부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1장 인문학의 '위기'와 문화연구 - 분과학문 사이의 단절을 횡단하는 공존의 학문을 위하여 = 11
1. 문화연구는 왜 필요한가 = 11
2. 인문정신의 '위기'와 비판의식 = 15
3. '문화연구'를 통한 타자와의 공존 = 23
4. 문화연구의 시작은'근대성'과 역사에 대한 성찰로부터 = 31
2장 문화콘텐츠와 인문학은 소통 가능한가? = 33
1. '문화'해석 시 유의할 점 = 33
2. 국가주도의 문화콘텐츠산업과 과학주의적 경향을 넘어서 = 35
3. 문화, 문화원형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대학의 문화콘텐츠연구 = 43
4. 문화연구와 문화콘텐츠의 결합 = 49
3장 인문학의 문화상품화, '위기'를 넘어서 기회로 = 53
1. 인문학의 위기와 딜레마 = 53
2. 자본주의 상품화와'소통'의 인문학 = 58
3.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과 대중문화 = 71
4. 인문학의 상품화, 그 바람직한 방향 = 77
제2부 대중예술과 대중문화
4장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정성 = 83
1. '문화상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 = 83
2. 대중성과 공공성 = 85
3. '정치예술'에서 '예술정치'로, '공공성'에 대한 새로운 정초 = 90
4. 미적 향유의 사회적 공유와 소통으로서의 '상품' = 94
5장 20세기 초에서 한국춤과 주체(몸)의 관계 - 예술과 대중문화의 소통을 위하여 = 100
1. 전통춤에서 '몸'의 위상은 무엇이었는가? = 100
2. 문화와 전통에 대한 해석 : 근대화논리의 역설 = 105
3. 전통춤의 재발견과 신무용의 발전 : 기생의 길인가 아니면 예술가의 길인가 = 111
4. 춤의 윤리적 형식화와 신체에 대한 사회적 규제화로서의'근대성' = 118
5. 현대사회에서 대중문화의 위상과 '대항문화'의 필요성 = 126
제3부 문화기억과 일상문화
6장 문화적 기억과 전통에 관한 역사 성찰 - 문화원형 모색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137
1. 문화원형과 문화에서의 기억 = 137
2. 기억으로서의 역사, 역사로서의 기억 = 142
3. 문화원형과 전통, 문화 = 150
4. 문화본질주의적 기억문화 = 153
5. 문화콘텐츠의 다원성과 공존의 문화 = 157
7장 한국 사회의 문화기억에 대한 철학적 성찰 - 문화기억 이론과 한국 근대의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 161
1. 문화기억과 과거 = 161
2. 중앙청 첨탑 해체의 시. 공간적 문화기억과 정체성 = 163
3. 슬픔과 고통의 공유, 문화기억과 기념비 = 174
4. 문화적 재현과 문화기엉그이 진정한 소통으로서의 문화콘텐츠 = 182
5. 문화기억과 문화콘텐츠의 미래 = 187
[부록] 제화시(題畵詩)와 동양 예술문화의 융합 = 189
원문출처 = 207
주 = 209
참고문헌 = 232
찾아보기 =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