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64camcc2200373 c 4500 | |
001 | 000045648788 | |
005 | 20110524164605 | |
007 | ta | |
008 | 110518s201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9541 ▼g 93180 | |
035 | ▼a (KERIS)REQ000018909556 | |
040 | ▼a 247009 ▼c 247009 ▼d 244002 ▼d 211009 | |
041 | 0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656 ▼2 22 |
085 | ▼a 616.891656 ▼2 DDCK | |
090 | ▼a 616.891656 ▼b 2011 | |
100 | 1 | ▼a Knill, Paolo J. ▼0 AUTH(211009)10407 |
245 | 1 0 | ▼a 치료미학 : ▼b 표현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d Paolo J. Knill, ▼e Ellen G. Levine, ▼e Stephen K. Levine 지음 ; ▼e 이모영, ▼e 문소연 옮김 |
246 | 1 9 | ▼a Principles and practice of expressive arts therapy : ▼b toward a therapeutic aesthetics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1 | |
300 | ▼a 282 p. : ▼b 삽화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rts ▼x Therapeutic use |
650 | 0 | ▼a Creation (Literary, artistic, etc.) ▼x Therapeutic use |
650 | 0 | ▼a Art therapy ▼x Philosophy |
700 | 1 | ▼a Levine, Ellen G., ▼e 저 ▼0 AUTH(211009)137651 |
700 | 1 | ▼a Levine, Stephen K., ▼e 저 ▼0 AUTH(211009)88408 |
700 | 1 | ▼a 이모영, ▼e 역 ▼0 AUTH(211009)119221 |
700 | 1 | ▼a 문소연, ▼e 역 |
900 | 1 0 | ▼a 닐, 파울로, ▼e 저 |
900 | 1 0 | ▼a 레빈, 엘렌, ▼e 저 |
900 | 1 0 | ▼a 레빈, 스티븐,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656 2011 | 등록번호 1116259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656 2011 | 등록번호 1116259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심리학적 이론에 기초한 전통적인 예술치료접근에 도전하면서, 예술창조 과정과 예술작품 자체가 갖는 고유한 치료적 힘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표현예술치료 실천을 위한 탄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그리고 예술창조와 치료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돕기 위해 포이에시스(poiesis) 개념을 재해석하여 치료미학 이론을 제시한다.
Principles and Practice of Expressive Arts Therapy : Toward a Therapeutic Aesthetics
이 책은 심리학적 이론에 기초한 전통적인 예술치료접근에 도전하면서, 예술창조 과정과 예술작품 자체가 갖는 고유한 치료적 힘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표현예술치료 실천을 위한 탄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그리고 예술창조와 치료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돕기 위해 포이에시스(poiesis) 개념을 재해석하여 치료미학 이론을 제시한다. 저자들은 통합치료, 결정화이론, 통합예술에 중점을 두고 방법론과 실천론을 명확히 하면서, 실제 치료기법을 습득하는 방법 등의 유익한 정보도 알려 준다. 표현예술치료에서의 사례연구, 그리고 슈퍼비전과 임상에 대한 지도는 이론적 부분을 보완해 준다.
철학과 이론, 실천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이 책은 표현예술치료를 공부하는 학생,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 그리고 예술치료 현장에서 일하는 전문 예술치료사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스티븐 레빈(지은이)
표현예술치료 교육 프로그램인 ISIS-Canada의 공동 설립자이며, 지금은 EGS 표현예술치료 박사과정 학과장을 맡고 있다.
엘렌 레빈(지은이)
표현예술치료 교육 프로그램인 ISIS-Canada의 공동 설립자이며, 지금은 EGS 표현예술치료 독립 연구과정의 학과장을 맡고 있다.
파울로 닐(지은이)
미국 레슬리대학교 대학원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설립자 중 한 명이며, 지금은 표현예술치료, 교육 및 컨설팅 분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수여하는 스위스 European Graduate School(EGS)의 학장이다.
이모영(옮긴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Katholische Univ. Eichstaett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선문대학교 상담산업심리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각심리학, 예술심리학, 시각적 사고, 문화인지, 미술치료, 예술치료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예술심리학』 『예술가가 되려면』 『치료미학』과 「예술심리학-비판적 고찰과 전망」 「미술의 치료적 기능에 대한 탐색적 고찰」 「문화인지로서의 시각적 사고: 시각적 사고의 본질, 역할 및 주요 특징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문소연(옮긴이)
경기대학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미국 캐피탈대학교 미술치료학과를 나와 롱아일랜드대학교에서 임상미술치료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현재 서울도림초등학교 미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다.

목차
목차 01 표현예술치료의 철학 : 세계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포이에시스 / 스티븐 레빈(Stephen K. Levine) = 1 서론 = 1 치료적 실천과 모더니즘 비판 = 3 모더니즘 그리고 마음과 신체의 분리 = 5 현상학과 데카르트 이원론의 극복 = 8 현상학과 실존 : 세계내존재(being-in-the-world) = 10 세계와 지구 : 진실을 드러내는 것으로서의 예술 = 15 포이에시스 : 표현예술치료의 인간관을 위한 기초 = 21 포이에시스, 카오스 그리고 경계적 경험 = 31 치료 과정에서 경계성 = 38 경계성과 과도기적 경험 = 42 원형심리학과 상상력 = 46 포스트모더니즘과 상상력에 대한 해체의 심리학 = 53 트라우마와 예술작품 = 60 아우슈비츠 이후의 미학 = 68 결론 = 71 참고문헌 = 74 02 실천 이론의 기초 / 파울로 닐(Paolo J. Knill) = 79 Ⅰ. 탈중심화와 대안적 세계 경험 : 변화촉진자의 실행 연속성 = 81 회복 의식 : 구축, 역할, 그리고 상황 = 81 대안적 세상 경험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상태, 탈중심화 = 89 Ⅱ. 예술과 놀이 참여는 차이를 만든다 = 91 탈중심화에서 예술 또는 놀이를 '수행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리고 다른 탈중심적 방법들과 어떻게 다른가? = 91 놀이 영역 제공 : 대안적 세계 경험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서의 놀이 공간 = 94 어떻게 예술은 훈련된 놀이 영역을 제공하는가? = 97 Ⅲ. 실천 이론 = 100 회기의 핵심, 예술 = 101 학제 간 고려사항 = 127 중재 = 142 해석과 반영 = 160 구축적인 고려 = 173 예술적인 과정을 관리하기 = 179 참고문헌 = 185 03 표현예술치료의 실제 : 교육 훈련, 치료 그리고 슈퍼비전 / 엘린 레빈(Ellen G. Levine) = 189 Ⅰ. 미학치료의 실천 교육 = 189 훈련 과정에서 집단 페인팅 : 예술을 통한 구조화와 구조의 해체화 = 194 육감적인 점토 : 분해와 재구성 = 198 광대학으로서의 협동 예술 : 광대를 통한 치료사들의 훈련 = 210 훈련 집단의 갈등 안에서 작업해 가는 방법으로서의 음악 = 218 Ⅱ. 예술치료의 실제 = 222 파라 : 자유로운 파괴와 분리 = 223 로버트 : 힘과의 놀이 = 233 잭 : 구하기 위해 = 238 수와 샘 : 교착 상태와 다툼 = 241 질서와 혼란에 대한 놀이 : 어린이들의 놀이 및 예술치료 집단 = 249 혼돈에서 질서의 도구로서 음악 = 258 Ⅲ. 미학적 치료의 실제에 관한 슈퍼비전 = 259 예술을 통한 학습 : 표현예술치료 훈련자의 집단 슈퍼비전 = 264 함께 보고 놀기 : 다학제 간 훈련 집단에 대한 집단 슈퍼비전 = 272 결론 = 274 참고문헌 = 277 찾아보기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