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한국의 식생활 문화
하나, 한국의 풍토 = 2
1. 우리나라의 지형 = 2
2. 우리나라의 기후 = 4
둘, 한국 식생활의 역사 = 5
1. 원시시대의 식생활 = 5
2. 상고시대의 식생활 = 6
3.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식생활 = 7
4. 고려시대의 식생활 = 8
5. 조선시대의 식생활 = 9
6. 1900년대의 식생활 = 12
셋, 한국음식의 특징과 분류 = 14
1. 한국음식의 특징 = 14
2. 한국음식의 우수성 = 16
3. 한국음식의 분류 = 19
넷, 한국음식의 상차림 = 22
1. 반상 = 22
2. 죽상 = 26
3. 장국상 = 27
4. 주안상 = 28
5. 교자상 = 28
6. 다과상 = 29
다섯, 명절음식과 시식 = 31
1. 정월 = 32
2. 이월 = 33
3. 삼월 = 34
4. 사월 = 35
5. 오월 = 35
6. 유월 = 36
7. 칠월 = 37
8. 팔월 = 37
9. 구월 = 38
10. 시월 = 38
11. 동짓달 = 39
12. 섣달 = 39
여섯, 통과의례와 음식 = 41
1. 출생 = 41
2. 삼칠일과 백일 = 42
3. 첫돌 = 42
4. 생일 = 43
5. 관례 = 43
6. 혼례 = 43
7. 회갑례 = 47
8. 회혼례 = 47
9. 상례 = 48
10. 제례 = 48
일곱, 향토음식 = 51
1. 서울음식 = 52
2. 경기도음식 = 52
3. 충청도음식 = 53
4. 강원도음식 = 54
5. 전라도음식 = 55
6. 경상도음식 = 55
7. 제주도음식 = 56
8. 황해도음식 = 57
9. 평안도음식 = 57
10. 함경도음식 = 58
여덟, 궁중음식 = 60
1. 조선시대 궁중음식의 배경 = 60
2. 조선시대 궁중의 일상식 = 61
3. 조선시대 궁중의 연회식 = 64
4.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 70
2부 한국음식의 재료와 조리법
하나, 한국음식의 재료 = 74
1. 곡류 = 74
2. 채소류 = 75
3. 축산물 = 78
4. 수산물 = 83
5. 해조류 = 87
6. 과실류 = 88
둘, 한국음식의 조리법 = 90
1. 주식류 = 90
2. 찬품류 = 94
3. 후식류 = 103
셋, 한국음식의 양념과 고명 = 107
1. 양념 = 107
2. 고명 = 111
넷, 장류와 저장식품의 가공 = 114
1. 장류 = 114
2. 김치 = 116
3. 젓갈 = 118
4. 건조식품 = 119
5. 과실의 저장 = 121
다섯, 조리의 기본 = 123
1. 식품의 계량 = 123
2. 기본 조리기구 = 126
3. 조리작업의 분류 = 129
4. 칼의 사용법과 손질 = 130
5. 썰기 = 132
3부 한국음식 조리의 실제
하나, 주식의 조리 = 138
밥
흰밥 = 140
보리밥 = 140
밤밥 = 141
콩밥 = 141
팥밥 = 142
팥찰밥 = 142
현미밥 = 143
오곡밥 = 144
김치밥 = 145
콩나물밥 = 146
장국밥 = 147
비빔밥 = 148
죽ㆍ미음ㆍ응이
죽
흰죽 = 150
녹두죽 = 150
팥죽 = 151
타락죽 = 152
잣죽 = 152
흑임자죽 = 154
호박죽 = 155
호박범벅 = 155
전복죽 = 156
장국죽 = 157
아욱죽 = 157
미음
쌀미음 = 158
조미음 = 158
속미음 = 159
삼합미음 = 159
응이
율무응이 = 160
오미자응이 = 160
면ㆍ만두ㆍ떡국ㆍ수제비
면
온면 = 161
면신선로 = 162
제물칼국수 = 164
냉면 = 165
회냉면 = 166
냉콩국수 = 167
비빔면 = 168
만두
석류탕 = 169
만둣국 = 170
규아상 = 172
편수 = 173
준치만두 = 174
메밀만두 = 174
떡국
떡국 = 175
조랭이떡국 = 176
수제비
수제비 = 177
둘, 찬품의 조리 = 178
국ㆍ탕
맑은국
미역국 = 180
뭇국 = 180
콩나물국 = 180
대합탕 = 183
조기맑은국 = 183
북어탕 = 184
완자탕 = 185
어알탕 = 186
애탕 = 187
토장국
시금치국 = 188
배추속대국 = 188
아욱국 = 188
냉잇국 = 191
냉국
미역냉국 = 192
오이냉국 = 192
임자수탕 = 193
곰국
곰탕 = 194
설렁탕 = 194
갈비탕 = 194
토란국 = 197
육개장 = 198
삼계탕 = 199
찌개ㆍ감정ㆍ조치
토장찌개
민어찌개 = 200
두부된장찌개 = 201
청국장찌개 = 201
조기고추장찌개 = 202
꽃게찌개 = 202
게감정 = 203
오이감정 = 203
맑은찌개
애호박젓국찌개 = 204
명란젓찌개 = 205
굴두부조치 = 205
기타
순두부찌개 = 206
콩비지찌개 = 206
전골
쇠고기버섯전골 = 207
낙지전골 = 208
송이전골 = 209
두부전골 = 210
곱창전골 = 211
도미면 = 212
신선로 = 214
찜ㆍ선
찜
사태찜 = 216
갈비찜 = 217
돼지갈비 = 218
떡찜 = 218
궁중닭찜 = 220
닭북어찜 = 220
도미찜 = 221
대하찜 = 222
대하잣집무침 = 223
북어찜 = 223
선
호박선 = 224
가지선 = 224
배추선 = 225
오이선 = 225
어선 = 226
어만두 = 227
두부선 = 228
생채ㆍ숙채
생채
더덕생채 = 229
무생채 = 229
오이생채 = 230
도라지생채 = 230
배추겉절이 = 231
상추생채 = 231
숙채
냉이나물 = 232
취나물 = 232
무나물 = 233
콩나물 = 233
숙주나물 = 234
애호박나물 = 234
도라지나물 = 235
시금치나물 = 235
기타
구절판 = 236
잡채 = 238
죽순채 = 238
겨자채 = 239
탕평채 = 239
도토리묵무침 = 240
메밀묵무침 = 240
전유어ㆍ지짐
육류
처녑전 = 241
간전 = 241
부아전 = 241
양동구리 = 243
완자전 = 243
어패류
민어전 = 244
새우전 = 244
패주전 = 245
굴전 = 245
해삼전 = 246
채소류
풋고추전 = 246
애호박전 = 247
표고버섯전 = 247
연근전 = 248
깻잎전 = 248
기타
녹두빈대떡 = 249
파전 = 249
구이
육류
너비아니 = 250
쇠갈비구이 = 251
제육구이 = 251
어패류
고등어구이 = 252
병어고추장구이 = 252
조기양념장구이 = 253
대합구이 = 253
오징어구이 = 254
북어구이 = 255
뱅어포구이 = 255
기타
김구이 = 256
더덕구이 = 256
적
파산적 = 257
송이산적 = 258
떡산적 = 258
두릅적 = 259
사슬적 = 259
누름적 = 260
화양적 = 261
김치적 = 262
섭산적 = 263
회
생회
갑회 = 264
육회 = 265
생선회 = 266
해삼ㆍ멍게ㆍ전복회 = 266
굴회 = 266
숙회
두릅회 = 268
미나리강회 = 268
해물숙회 = 269
어채 = 269
조림ㆍ조리개ㆍ초
고등어시래기조림 = 270
갈치무조림 = 271
두부조림 = 271
풋고추조림 = 272
감자조림 = 272
쇠고기장조림 = 273
전복초 = 274
홍합초 = 274
삼합장과 = 275
편육ㆍ족편ㆍ순대
편육
양지머리편육 = 276
제육편육 = 277
사태편육 = 278
우설편육 = 278
족편
족편 = 279
전약 = 280
순대
돼지순대 = 281
쌈
상추쌈 = 282
절미된장조치 = 282
병어감정 = 282
약고추장 = 282
장똑똑이 = 282
계지차 = 282
마른새우볶음 = 282
생미역쌈 = 286
부각ㆍ튀각ㆍ자반
부각
깻잎부각 = 287
다시마부각 = 288
김부각 = 288
참죽부각 = 289
자반
미역자반 = 290
김자반 = 290
매듭자반 = 290
고추부각 = 291
마른찬
오징어채볶음 = 292
잔멸치볶음 = 292
북어포무침 = 292
북어보푸라기 = 293
호두튀김 = 294
은행볶음 = 294
잣솔 = 294
생률 = 294
암치포무침 = 296
김무침 = 296
장아찌
오이통장과 = 297
오이갑장과 = 298
무갑장과 = 298
미나리장과 = 299
배추속대장과 = 299
통마늘장아찌 = 300
무말랭이장아찌 = 301
오이간장장아찌 = 302
풋고추장아찌 = 303
깻잎장아찌 = 303
무된장장아찌 = 304
콩잎장아찌 = 304
마늘종장아찌 = 305
매실장아찌 = 305
더덕장아찌 = 306
감장아찌 = 306
포
칠보ㆍ대추편포 = 307
육포 = 308
김치
배추통김치 = 310
보김치 = 312
백김치 = 314
총각김치 = 316
깍두기 = 317
섞박지 = 318
비늘김치 = 319
석류김치 = 320
열무김치 = 321
동치미 = 322
나박김치 = 323
장김치 = 324
오이지 = 325
오이소박이 = 326
호박지 = 327
갓김치 = 328
부추김치 = 329
파김치 = 329
고들빼기김치 = 330
젓갈
가자미식해 = 331
조개젓 = 332
새우젓 = 332
조기젓 = 332
멸치젓 = 334
명란젓 = 335
오징어젓 = 335
어리굴젓 = 336
꼴뚜기젓 = 336
대구모젓 = 337
꽃게장 = 337
셋, 병과류와 음료 = 338
떡
찌는 떡
각색편 = 340
팥시루떡 = 342
녹두편 = 343
백설기 = 343
호박떡 = 344
상추시루떡 = 345
쑥설기 = 346
잡과병 = 347
두텁떡 = 348
색편 = 350
쇠머리떡 = 350
치는 떡
인절미 = 351
절편 = 352
개피떡 = 353
빚는 떡
찹쌀경단 = 354
수수경단 = 355
석이단자 = 356
대추단자 = 356
쑥구리단자 = 357
송편 = 358
지지는 떡
주악 = 359
화전 = 360
수수부꾸미 = 360
찹쌀부꾸미 = 361
기타
약밥 = 362
증편 = 363
한과
유밀과
약과 = 364
만두과 = 366
매작과 = 366
유과류
산자 = 367
강정 = 368
빙사과 = 371
정과
연근정과 = 372
도라지정과 = 372
유자정과 = 373
생강정과 = 373
인삼정과 = 374
다식
송화다식 = 375
녹말다식 = 375
진말다식 = 375
깨다식 = 375
콩다식 = 375
숙실과
밤초 = 377
대추초 = 377
율란 = 378
조란 = 378
생강란 = 378
과편
오미자편 = 379
앵두편 = 380
살구편 = 380
엿강정
백자편 = 381
깨엿강정 = 381
쌀강정 = 382
음료
식혜 = 383
수정과 = 384
배숙 = 384
유자화채 = 386
오미자화채 = 387
떡수단 = 387
원소병 = 388
제호탕 = 389
모과차 = 390
유자차 = 390
대추생강차 = 390
참고문헌 = 392
찾아보기 =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