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76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647580 | |
005 | 20110513175707 | |
007 | ta | |
008 | 110513s2011 ulka 000c kor | |
020 | ▼a 9788901121383 ▼g 03300 | |
035 | ▼a (KERIS)REQ000018789285 | |
040 | ▼a 225001 ▼c 225001 ▼d 211009 | |
082 | 0 4 | ▼a 331.09519 ▼2 22 |
085 | ▼a 331.0953 ▼2 DDCK | |
090 | ▼a 331.0953 ▼b 2011 | |
100 | 1 | ▼a 한윤형 ▼0 AUTH(211009)55251 |
245 | 1 0 | ▼a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 ▼b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새로운 명령 / ▼d 한윤형, ▼e 최태섭, ▼e 김정근 지음 |
260 | ▼a 서울 : ▼b 웅진지식하우스 : ▼b 웅진씽크빅, ▼c 2011 | |
300 | ▼a 263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한국의 열정 노동자 현황 | |
653 | ▼a 열정 ▼a 노동 | |
700 | 1 | ▼a 최태섭, ▼e 저 ▼0 AUTH(211009)3243 |
700 | 1 | ▼a 김정근,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0953 2011 | 등록번호 1116261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0953 2011 | 등록번호 1116261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0953 2011 | 등록번호 1310403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1.0953 2011 | 등록번호 1512999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0953 2011 | 등록번호 1116261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0953 2011 | 등록번호 1116261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0953 2011 | 등록번호 1310403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1.0953 2011 | 등록번호 1512999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젠가부터 ‘열정’이라는 말이 곳곳에서 들려오기 시작했다. 대기업 입사 면접부터 경쟁적으로 편성되고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까지… 드링크제 광고의 “꼭 가고 싶습니다!”라는 외침부터 유명 인사의 ‘젊어서 하는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까지… 이 모든 것을 관통하는 것은 바로 ‘열정적으로 부딪히면 무엇이든 이길 수 있다’는 하나의 논리이다.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는 사회 평론가 한윤형과 칼럼니스트 최태섭, e스포츠 전문 기자 김정근이 쓴 책으로, ‘열정 노동’이라는 새로운 명령이 21세기 한국 사회를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지 분석한 책이다.
저자들은 프로 게이머, 영화감독, 언론사 입사 지망생, 파티시에, 네일 아티스트, 청년 사업가 등 스무 명의 젊은이를 인터뷰해, 한국의 자본주의가 청춘을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면밀하게 탐구하였다. 이 책은 ‘너희가 원하는 일을 하니까 참아’라는 ‘열정 노동’의 논리가 우리 사회 곳곳에 얼마나 깊숙이 파고들었는지, 이 논리를 만든 한국사의 특수성과 세계 자본주의의 보편성은 무엇인지 드러내는 귀한 보고서이다.
대기업 면접부터 오디션 프로그램까지…
청춘에게 내려진 최종 명령, ‘열정 노동’
당신의 꿈과 열정에 값을 매깁니다
언젠가부터 우리는 ‘열정’이라는 말에 익숙해졌다. 면접관은 구직자에게, 광고는 소비자에게 ‘과연 당신은 열정적으로 살고 있는지’ 물으며 나태함을 이기고 스스로를 채찍질할 것을 끊임없이 요구한다.
사람들은 어느새 ‘열정’의 논리를 내면화했다. <슈퍼스타 K> 등의 각종 오디션 프로그램을 보며 ‘열정을 갖고 부딪치면’ 모든 난관을 이길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 면접을 보는 구직자들은 어느새 경영자보다 더 ‘경영자처럼’ 말하고 생각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 모든 것은 정말 자연스러운 일일까? 혹시 누군가에 의해 강요되고 있는 논리는 아닐까?
왜 우리는 오디션 프로그램에 열광하는가
힘든 연습생 시절을 견디는 연예인 지망생부터 병원의 응급실에서 교육받는 보험 회사 세일즈맨까지, 신분 상승의 지름길이 된 ‘고등 고시’부터 자부심 하나로 버텨야 하는 NGO 활동까지, 이 책의 저자인 사회 비평가 한윤형, 칼럼니스트 최태섭, e스포츠 전문 기자 김정근의 눈길이 닿지 않는 곳은 없다.
이들은 사회 곳곳에서 일하고 있는 스무 명의 젊은이를 인터뷰하고 그들의 육성을 토대로 ‘열정 노동’이라는 현대 자본주의의 새로운 전략을 밝혀낸다. 그들은 ‘너희가 원하는 일을 하니 참아!’라는 명령과 ‘너희 말고도 그 일을 할 사람은 많아’라는 협박이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서 젊은이들을 착취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는 (IMF 사태와 ‘신지식인’ 담론으로 대표되는) 한국 역사의 특수성과 (난데없이‘보보스’라는 정체불명의 말을 유행시킨) 세계 자본주의의 보편적인 흐름이 함께 만들어 낸 합작품임을 밝힌다.
한국의 자본주의가 청춘을 이용하는 법
시나리오 작가 故 최고은 씨와 인디 음악가 ‘달빛 요정 역전 만루 홈런’의 죽음 등은 한국 사회가 ‘가진 것 하나 없이’ 사회에 뛰어든 청년들의 열정을 어떻게 착취하고 있는지 보여 주는 적나라한 예다.
아프게 때로는 섬뜩하게 다가오는 세 저자들의 작업은, 세대론에 감추어져 있던 한국 사회의 모순을 투명하게 보여 준다. 발로 뛰며 접한 스무 젊은이의 생생한 목소리와 한국 사회에 대한 저자들의 치밀한 분석은 우리에게 또 다른 커다란 화두를 던질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한윤형(지은이)
저술가. 《추월의 시대》 공저자. 1983년생. 한국 사회의 청년세대 문제, 미디어 문제 그리고 현실 정치에 관한 글을 주로 써왔다. 매체비평 전문지 〈미디어스〉에서 2012년부터 3년간 정치부 기자로 일했다. 현재는 메디치미디어 출판콘텐츠실 기획위원, 넥스트브릿지 기획위원, 새로운소통연구소 조사분석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추월의 시대》(공저), 《청춘을 위한 나라는 없다》,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공저), 《뉴라이트 사용후기》 등이 있다.
김정근(지은이)
<엑스포츠 뉴스>에서 기자 활동을 했고, e스포츠 칼럼니스트로 각종 언론과 커뮤니티에 칼럼을 게재하고 있다. (e스포츠의 초창기인) 1999년부터 IT 기술을 바탕으로 새롭게 나타난 현상들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았다. e스포츠 업계만의 고유한 문제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다른 영역에서도 폭넓게 발견되는 것을 깨닫고 다른 두 저자와 합심하여 ‘열정 노동’의 여러 현장을 취재하였다. 현재는 한국에서 문화 창작자들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최태섭(지은이)
문화평론가이자 사회학 연구자. 대학에서 문화연구를 공부하고 있으며, 문화, 젠더, 계급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연구와 저술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30년이 넘는 게임 경력을 갖고 있으나, 여전히 게임을 잘하지는 못한다. 지은 책으로 《한국, 남자》 《잉여사회》 《억울한 사람들의 나라》 《모서리에서의 사유》와 다수의 공저가 있다.

목차
목차 추천사 : 궁핍한 소크라테스를 위하여 = 4 여는 말 : 굴러다니고, 널브러지고, 발에 차이는 것들 = 14 Chaper 1 당신의 뜨거운 열정을 보여라 : 열정의 도덕 1. 박카스 권하는 사회 = 20 '바른 생활' 청년이 등장하다 = 20 젊은 날의 선택? = 22 열정을 길들이다 = 24 2. 꿈과 열정의 구조 조정 = 26 《88만 원 세대》그 후 = 26 꿈꿔라 청춘아! = 28 등록금 걱정 말고 취업 준비에 힘쓰세요 = 29 광기의 재발견 = 32 구조 조정의 문맥 = 33 3. 면접관이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 36 감시 사회 = 36 스펙 이상을 요구하다 = 38 평가의 기술 = 40 면접관에 빙의(憑依)하라! = 42 4. 열정이 부족한 당신, 유죄! = 45 우리는 왜 법정에 서 있는가 = 45 당신의 열정을 보여라 = 46 5. '당신을 계발하라'는 명령 = 48 노동자는 어디에? = 48 마시멜로를 모아라 = 50 속물 혹은 '잉여 인간' = 52 박카스, 그리고 새마을 운동 = 55 Chaper 2 대한민국 열정 노동 백서 : 열정의 현장 1. 청소년, 꿈에 사로잡히다 :《프로 게이머와 연예인》 = 58 문근영, 혹은 오영종 = 58 프로화가 진행되다 = 61 어른들의 배를 채우는 청소년의 열정 = 63 누구를 위해 땀을 흘리는가 : 운동선수 = 68 화려한 조명 아래서 : 연예인 = 71 그들의 열정은 어디에서 오는가 = 73 2. "너희는 하고 싶은 일을 하잖아" : 영화와 문화 산업 = 75 서로 안부를 묻지 않는 이유 = 75 영화가 '엎어지는' 것이 가장 두렵다 = 78 만고불변의 법칙 : 인건비가 제일 만만해 = 80 뜨거운 열정, 반갑지 않아 = 83 문화 강국의 꿈? : 외주화와 어시스턴트 = 87 5타수 무안타, 최고은의 경우 = 89 3. 한국의 스티브 잡스를 꿈꾸다 : IT 업계, 달콤한 자기 계발 담론과 씁쓸한 현실 = 90 초인(超人)이 된 노동자 = 90 COLA in, CODE out = 92 너, 퇴근하지마! = 94 마인드를 바꾸면 해결될까 = 99 자기 계발 담론의 실체 = 101 '희망'이라는 이름의 마시멜로 = 103 4. '고시 공화국'을 들여다보다 : 언론사 입사 전형을 '언론 고시'라고 부르는 까닭 = 107 꿈에도 위계가 있다 = 107 그들은 왜 언론사를 지망하는가 = 110 '학벌'의 의미 = 114 조ㆍ중ㆍ동이 더 진보적이다? = 116 스펙의 성격이 다르다 = 119 그들만의 세상 = 121 5. 김삼순은 왜 빵을 구웠을까? : 서비스 직종 = 124 빵과 와인, 그리고 손톱 = 124 열정, 단 하나의 이유 = 126 여류 소설가가 많은 까닭은? = 128 세상은 만만하지 않다 = 131 그들이 꿈꾸는 미래 = 133 6. 하늘에서 '사장님'들이 비처럼 내려오다 : 창업과 영업, 다단계 판매 = 137 창업을 유도하는 사회 = 137 우산이 되기 위해 = 141 사장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고 = 143 응급실에 가라! = 145 젊음의 막장, 다단계 판매 = 147 7. 세상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 : 시민 단체와 노조, 정당의 상근자들 = 149 여가를 돈 버는 직장으로 만들자는 얘기냐! = 149 민주노동당의 경우 = 151 10문 10답 = 155 '활동가 신화'가 무너지다 = 157 어느 트럭 운전사의 꿈 = 158 Chaper 3 오렌지 족, 그리고 '신지식인'의 열정 : 열정의 역사 1. 새로운 아이들의 등장 : 한국의 1990년대 = 162 '보보스'가 되라! = 162 오렌지 족, 아이돌, 오타쿠 = 165 미디어는 메세지다 = 167 새로운 성공 모델의 등장. 한 가지만 잘해도 대학 간다 = 169 용가리와 신지식인. 그리고 한류 = 171 2. 취미가 일로 변하다 = 175 세상이 바뀌었다 = 175 '벤처 기업', 그 험난한 항해 = 177 젊으니까 괜찮다고? = 180 3. 네가 하는 건 노동이 아니야 = 182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말했는가 = 182 사장이 된다는 것 = 184 '열정 노동'이 등장하다 = 186 소비 사회의 논리를 뒤집다 : 워커홀릭 = 187 폭력, 그 단순함의 미학 = 190 Chaper 4 우리를 기다리는 것은 무엇인가 : 열정의 미래 1. 노동의 죽음 = 194 즐거운 일은 노동이 아니다 = 194 워킹 푸어의 증가 = 196 프랑스 시민들은 이렇게 말했다 : 나는 계급 투쟁을 한다 = 200 1987년, 우리는 어떻게 분리되었는가 = 203 노동자의 죽음 = 207 탐욕을 위한 변명 = 210 2. 생산과 소비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다 = 214 사장님들의 나라 = 214 애플이 우리를 구원할 것인가 = 219 '사회적 기업'의 가능성 = 222 정당한 소비를 말하다 = 224 지적 재산권, 그리고 창작자 = 227 '스타크래프트2 리그'의 실험 = 230 어떻게 상황을 반전시킬 것인가 = 233 3. 정치, 그 어려운 숙제 = 237 '88만 원 세대' 담론의 허와 실 = 237 여성과 노인을 생각하다 = 240 변화는 정말 가능한가 = 243 맺는 말 : 사랑과 열정을 그대에게! = 247 신화와 비극 : 영웅은 살아 있다 = 247 열정, 그 불온한 이름 = 248 MTV는 언더그라운드 문화를 이렇게 바꾸었다 = 250 화성에 간 세일즈맨 = 252 〈에반게리온〉의 두 가지 결말, 그리고 재스민 혁명 = 256 부록 : 한국의 열정 노동자 현황 =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