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행정의 기초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 13
1. 의의 = 13
2. 행정의 정의 = 14
3. 행정의 제 특성 = 19
제2장 (공공)행정과 사행정(경영) = 21
1. 의의 = 21
2. 공공행정과 사행정(행정과 경영)의 두 가지 입장 = 21
3. 공공행정과 사행정의 유사성과 차이점 = 22
제2편 조직관리론
제3장 조직관리이론의 전개 = 31
1. 조직관리이론의 의의 = 31
2. 조직관리이론 발달의 시대적 구분 = 32
제4장 고전적 조직관리론(1900∼1930년대) = 33
1. 총론 = 33
2. 고전적 조직관리이론의 2대 지적 기원 = 34
3. 고전적 조직관리이론(기계모형, Machine Model)의 주요 특징 = 35
4. 고전적 조직관리이론의 약점 = 36
5. 고전적 조직관리이론에서의 인간관 = 36
제5장 과학적 조직관리론 = 39
1. 성립(1880∼1920년대)배경 = 39
2.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Taylorism)의 개요 = 44
3. 과학적 관리법의 지적 기반 및 기본가정 = 46
4. 과학적 관리법에서의 관리자의 역할 = 47
5. 과학적 관리법의 주요 목적 = 48
6. 과학적 관리법의 주요 내용 = 49
7. 과학적 관리법의 문제점 = 51
8. 과학적 관리법이 행정에 미친 영향 = 53
제6장 행정관리론 = 57
1. 개요 = 57
2. 페이올(Fayol : 1841∼1925년)의 이론 = 58
3. 무니(Mooney)와 레일리(Reiley)의 이론 = 62
4. 귤릭(Gulick)과 어윅(Urwick)의 이론 = 64
5. 행정관리론의 공헌 및 비판 = 67
제7장 관료제론 = 68
1. 관료제(Bureaucracy)의 정의 = 68
2. 막스 웨버 관료제의 내용 = 69
3. 관료제의 수정 = 76
제8장 신고전적 조직관리론 = 79
1.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의의 = 79
2. 신고전적 조직관리론의 특성 = 81
3. 고전적 조직관리론과 신고전적 조직관리론(Human Relations Approach)의 주된 차이 = 82
4. 과학적 관리론과의 상호 연관성 = 83
5. 인간관계론의 실증적 연구 = 84
6. 호손 실험의 결과 및 내용 정리 = 89
7. 신고전적 조직관리론의 등장요인과 배경 = 93
8. 신고전적 조직관리론 등장의 세부적 이유(동기) = 94
9. 인간관계론적 조직관리론과 행정관리 = 96
10. 인간관계론적 조직관리론의 한계와 비판 = 98
1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의 상호관계 = 103
12. 인간관계론적 조직관리론의 인간관(사회적 인간관 : Socialman) = 104
13. 인간관계론적 조직관리론의 재인식 = 105
14. 인간관계론적 행정학(행태론적 행정학) = 106
제9장 현대적 조직관리론 = 108
1. 현대적 조직관리론의 의의 = 108
2. 현대적 조직관리론의 주된 학파 = 110
3. 현대적 구조이론 = 111
4. 후기행태이론 = 112
5. 관리과학(management science) = 113
6. 체제론적 접근방법론(Systems Approach) = 115
7.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 = 124
8. 기타 최근의 주요 현대적 조직관리론 = 125
9. 현대적 조직관리론에서의 인간관 = 126
10. 현대적 조직관리론에 대한 비판적 인식 = 129
제3편 조직구조의 재구성과 정부재창조
제10장 조직구조의 재구성 = 135
1. 의의 = 135
2. 조직 구조조정의 요인들 = 136
3. 조직 구조조정의 원칙 = 137
4. 조직 구조조정의 기법들 = 139
5. 조직 구조조정 그 이후 = 154
제11장 정부조직의 재창조 = 156
1. 의의 = 156
2. 오스본과 게이블러의 정부재창조 = 158
3. 알고어(A. Gore)의 국가성과심의회 = 173
4. 신관리주의(New Managerialism) = 178
5. 로보트 덴하트(Robert Denhart)의 행정혁신론 = 180
6. 한국 정부 조직혁신에의 도입 한계 = 181
제4편 리더십
제12장 리더십 = 185
1. 의의 = 185
2. 리더십 이론의 변천 = 187
3. 최고관리층의 기능 = 189
4. 최고관리층의 능력과 자질 = 192
제13장 특성추구 리더십론 = 194
1. 의의 = 194
2. 특성추구 리더십론의 내용 = 195
3. 특성추구 리더십론의 미비점과 기여도 = 197
제14장 리더십 행태(행위)이론 = 199
1. 의의 = 199
2. 1차원적 관점에서의 리더십 행태이론의 예 = 200
3. 2차원적 관점에서의 리더십 행태이론의 예 = 207
4. 리더십 행태이론의 종합평가 = 214
5. 특성추구이론(자질론)과 행태이론과의 관계 = 216
제15장 상황적 리더십론(Situation Theory) = 220
1. 의의 = 220
2. Fiedler의 상황조건론 = 221
3. 경로ㆍ목표이론(Path-Goal Theory) = 230
4. Reddin의 리더십 이론 = 236
5. 허시(Paul Hersey)와 블랜차드(K. H. Blanchard)의 3차원 리더십론 = 242
제5편 리더십과 동기부여론
제16장 동기부여이론 개요 = 247
1. 의의 = 247
2.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 250
3. 동기부여의 잠재적 영향 = 251
4. 동기부여의 중요성 = 252
5. 동기부여이론의 연구대상 = 254
6. 두 가지 종류의 동기부여 = 255
7. 동기부여와 성과 간의 관계 = 256
8. 동기부여의 과정 = 257
9. 동기부여이론의 4대 모형 = 262
제17장 경영학적 관점에서의 동기부여론 = 264
1. 동기부여이론의 접근방법 = 264
2. 경영학적 관점에서의 동기부여론 개요 = 265
3. 고전적 조직관리이론에서의 동기부여론(합리적ㆍ경제적 인간관계에서의 동기부여론) = 266
4. 신고전적 조직관리이론에서의 동기부여론(인간관계론적 접근법에서의 동기부여론) = 268
5. 현대적 조직관리이론에서의 동기부여론(인적자원관리론에서의 동기부여론) = 270
제18장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동기부여론 = 275
1. 구분 = 275
2. 이론유형 = 275
3. 개인 및 조직생활에서의 이론 적용 = 284
제6편 리더와 행정 밑 법률상식
제19장 리더와 행정의 이해 = 291
제20장 리더와 행정역량 강화방안 = 307
제21장 리더와 법관련 상식 = 320
참고문헌 = 339
찾아보기 =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