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50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646749 | |
005 | 20110512120059 | |
007 | ta | |
008 | 110506s2011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47247375 ▼g 93530 | |
035 | ▼a (KERIS)BIB000012375592 | |
040 | ▼a 222001 ▼c 222001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620.82 ▼2 22 |
085 | ▼a 620.82 ▼2 DDCK | |
090 | ▼a 620.82 ▼b 2011 | |
245 | 0 0 | ▼a 인간공학 = ▼x Ergonomicsㆍhuman factors / ▼d 양성환 [외] 공저 |
260 | ▼a 서울 : ▼b 형설출판사, ▼c 2011 | |
300 | ▼a 710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저자: 양성환, 박범, 강영식, 갈원모, 최정화, 김대성, 김태구, 조문선 | |
504 | ▼a 참고문헌(p. 675-697)과 색인, 부록수록 | |
700 | 1 | ▼a 양성환, ▼e 저 ▼0 AUTH(211009)80174 |
700 | 1 | ▼a 박범, ▼e 저 ▼0 AUTH(211009)15360 |
700 | 1 | ▼a 강영식, ▼e 저 ▼0 AUTH(211009)119182 |
700 | 1 | ▼a 갈원모, ▼e 저 |
700 | 1 | ▼a 최정화, ▼e 저 |
700 | 1 | ▼a 김대성, ▼e 저 |
700 | 1 | ▼a 김태구, ▼e 저 |
700 | 1 | ▼a 조문선,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620.82 2011 | 등록번호 1410779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20.82 2011 | 등록번호 1212096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20.82 2011 | 등록번호 1212096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20.82 2011 | 등록번호 1513016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620.82 2011 | 등록번호 1410779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20.82 2011 | 등록번호 1212096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20.82 2011 | 등록번호 1212096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20.82 2011 | 등록번호 1513016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새로운 원리의 제시에 앞서, 오랜 기간 동안 인간공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면서 많은 문헌과 필요한 내용을 정리한 교재이다. 시간에 제약을 받고 있는 대학교재로의 활용과 다방면의 연구활동에 있어서 하나의 참고 서적이 되도록 하였다.
우리는 New-millenium을 희망과 기대의 설레임 속에서 맞이한 바 있다. 이 새로운 시대는 지식과 정보의 시대가 될 것이며 지식과 정보의 원천은 R&D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R&D에 의한 산업기술의 고도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쾌적한 환경조건에서 살고자 하는 우리의 욕구는 점점 증대되고 있다.
21C의 산업사회는 저렴한 노동력과 대량생산체제의 산업구조로부터 탈피하여 기술개발, 제품의 품질성능과 소비자만족에 의한 산업경쟁력의 확보와, 고부가가치 중심의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재편성하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도 산업환경의 복지실현을 위하여 작업장의 안전보건 요건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작업환경의 조건이나 현장근로의 행태들이 빠른 속도로 격변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산업사회의 구조적 변형이나 개선의 상황들이 전반적으로 복지산업국가를 목표로 선진국형 산업환경과 근로조건 수준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WTO체제 이후 나타나고 있는 제품과 작업장에서의 국제적 표준화의 요구와 PL제도, ISO나 BS 등의 국제규격 인증, 작업현장에서의 3D현상, 그리고 노사관계에서 논의되는 작업장의 안전보건환경 시스템 구축등의 요청들이 해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안전과 작업장의 안전보건환경 구축은 대부분의 사용자 및 작업자 중심으로 한 인간요소 데이터를 토대로 그 설계기준과 요건이 결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 및 작업자의 생리적 및 생체역학적 조건과 성능, 그리고 정신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인간공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서의 특징은 새로운 원리의 제시에 앞서, 오랜 기간 동안 인간공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면서 많은 문헌과 필요한 내용을 정리하여 시간에 제약을 받고 있는 대학교재로의 활용과 다방면의 연구활동에 있어서 하나의 참고 서적이 되도록 하였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제1장 인간공학의 개론 1.1 인간공학의 정의 = 16 1.1.1 인간공학의 정의 = 16 1.1.2 인간공학의 목적 = 19 1.1.3 가정 = 20 1.1.4 인간공학자의 역할 = 21 1.1.5 문제유형 = 21 1.2 인간공학의 배경 = 24 1.2.1 역사적 배경 = 24 1.2.2 미래의 인간공학 = 27 1.3 인간공학의 필요성 = 27 1.3.1 비용적 측면(Cost are important) = 28 1.3.2 생상선 및 품질 항샹(Productivity and Quality Enhancements) = 29 1.3.3 노동조합의 지지(Union Support) = 29 1.3.4 경영진의 관심(Management Interest) = 30 1.4 인간공학의 학문적 연구분야 = 31 1.5 현장에서의 인간공학 = 34 1.5.1 기업과 인간공학 = 34 1.5.2 사업장에서의 인간공학 = 34 1.5.3 인간공학적 작업관리의 연구동향 = 35 연습문제 = 37 제2장 인간-기계 시스템 2.1 시스템의 설계 = 39 2.1.1 제1단계 : 시스템의 목표와 성능 명세 결정(determine objectives and performance specifications) = 41 2.1.2 제2단계 : 시스템의 정의(Definition of the System) = 41 2.1.3 제3단계 : 기본설계(Basic Design) = 43 2.1.4 제4단계 : 인터페이스 설계(Interface Design) = 45 2.1.5 제5단계 : 보조물 혹은 편의 수단 설계(Facilitator Design) = 46 2.1.6 제6단계 : 평가(Testing) = 46 2.2 인간-기계 시스템(Man-Machine System) = 47 2.2.1 인간-기계 시스템의 정의 = 47 2.2.2 인간-기계 시스템의 기능 = 48 2.2.3 인간-기계 시스템의 분류 = 50 2.3 인간-기계 시스템의 설계 = 52 2.3.1 인간-기계 시스템 설계시 고려사항 = 53 2.3.2 인간-기계 시스템의 설계 원칙 = 53 2.4 인간-기계 시스템의 분석 및 평가 = 54 2.4.1 기능분석 및 업무분석과의 관계 = 54 2.4.2 실험에 의한 평가 분석 = 54 2.4.3 모의실험법에 의한 평가 = 55 2.4.4 링크 분석 = 55 2.4.5 작동 순서도표의 도법(Operational Sequence diagram : OSD) = 56 2.5 인간-기계 시스템에 사용되는 표시장치 = 56 연습문제 = 58 제3장 인간의 정보입력 및 처리 3.1 정보의 입력 및 처리 = 61 3.1.1 자극의 근원과 경로 = 62 3.1.2 정보이론 = 53 3.1.3 정보의 입력 = 68 3.1.4 표시장치의 정보 표시 = 74 3.1.5 인간의 정보처리 = 82 3.1.6 정보화 시대에서의 인간공학 = 90 연습문제 = 92 제4장 표시장치 4.1 시각표시장치 = 95 4.1.1 시각과정 = 95 4.1.2 시식별에 영향을 주는 인자 = 102 4.1.3 정량적 표시장치 = 106 4.1.4 정성적 표시장치 = 111 4.1.5 상태지시계 = 113 4.1.6 신호 및 경고등 = 113 4.1.7 묘사적 표시장치 = 114 4.1.8 HUD(head-up display) = 117 4.1.9 문자-숫자 표시장치 = 117 4.1.10 시각적 암호, 상징 및 도식적 표현 = 119 4.2 청각표시장치 및 음성 통신 = 123 4.2.1 청각과정 = 123 4.2.2 청각적 표시장치 = 130 4.2.3 음성통신 = 136 4.2.4 합성음성 = 142 4.3 촉각적 및 후각적 표시장치 = 144 4.3.1 촉각적 표시장치 = 144 4.3.2 후각적 표시장치 = 146 연습문제 = 148 제5장 인간의 시스템 제어 5.1 인간의 시스템 제어 = 151 5.1.1 인간의 제어 기능 = 151 5.1.2 제어장치 = 168 연습문제 = 196 제6장 인간오류와 신뢰도 6.1 인간오류(Human Error) = 199 6.1.1 인간오류의 분류 = 202 6.1.2 작업심리와 인간오류 = 206 6.1.3 인간오류의 취급 = 212 6.2 사고 = 213 6.2.1 사고 인과관계 이론 = 214 6.2.2 사고에 기여하는 인자 = 215 6.2.3 행동 변경에 의한 사고 방지 = 217 6.3 인간의 행동과정과 인간오류 = 219 6.3.1 인간오류 감소 대책 = 219 6.3.2 설비, 작업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대책 = 220 6.3.3 인적 요인에 대한 대책 = 222 6.3.4 관리적 요인에 대한 대책 = 223 6.4 작업의 인간화와 인간오류 = 223 6.5 인간 신뢰도(Human Reliability) = 224 6.5.1 인간오류확률 및 직무 신뢰도 = 224 6.5.2 인간-기계 시스템 통합 신뢰도(Integrated Human-Machine System Reliability) = 229 6.5.3 인간오류확률의 추정 기법 = 231 연습문제 = 234 제7장 인체 측정과 작업공간 설계(응용 인체측정학, 작업공간 설계, 자세) 7.1 인체 측정과 작업공간 = 237 7.1.1 인체 측정 = 237 7.1.2 인체 측정자료의 응용 원칙 = 242 7.1.3 작업공간 = 244 7.1.4 작업대의 설계 = 245 7.1.5 의자의 설계 = 249 7.1.6 VDT 작업대 = 254 7.2 작업공간의 배치 = 255 7.2.1 구성요소 배치의 원칙 = 256 7.2.2 작업활동의 분석 및 자료의 이용 = 256 7.2.3 제어장치와 표시장치의 일반적 위치 = 259 7.2.4 구성요소의 배치 = 262 연습문제 = 263 제8장 인간의 작업생리 8.1 신체활동과 생리적 특성 = 265 8.1.1 스트레스와 성능(Stress and performance) = 267 8.1.2 근육생리학 = 269 8.1.3 작업생리 = 278 8.1.4 신체반응의 척도 = 280 8.1.5 육체적 작업의 에너지 소비 = 286 8.1.6 에너지 소비의 한계범위 유지 = 292 8.1.7 근력과 지구력(Strength and Endurance) = 295 8.1.8 운동의 생체역학 = 299 8.1.9 동작의 반응과 정확도 = 303 연습문제 = 320 제9장 수공구와 인력물자취급 9.1 수공구 = 323 9.1.1 손의 구조 = 324 9.1.2 CTDs(Cumulative Trauma Disorders) = 326 9.1.3 VDTs(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 336 9.1.4 수공구의 설계 원리 = 338 9.1.5 진동(동력공구) = 343 9.1.6 보호장비로서의 장갑 = 344 9.2 인력물자취급(Manual Material Handling : MMH) = 345 9.2.1 MMH 현황 및 영향 = 346 9.2.2 요통(Low Back Pain : LBP) = 347 9.2.3 각국의 규정 = 357 9.2.4 MMH 설계시 고려사항 = 358 9.2.5 MMH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방법 = 364 9.2.6 MMH작업 = 368 9.2.7 MMH 관련 상해의 예방 = 370 9.3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장 분석 및 평가 = 372 9.3.1 근골격계질환 발생 모델 = 373 9.3.2 작업부하 평가 기법 = 374 연습문제 = 377 제10장 작업환경조건 10.1 조명 = 379 10.1.1 빛의 성질 = 379 10.1.2 등과 조명기구 = 382 10.1.3 조명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 = 383 10.1.4 적정 조명수준 = 385 10.1.5 빛의 배분 = 387 10.1.6 눈부심 = 388 10.1.7 조명과 노인 = 389 10.1.8 특수조명(VDT 조명, 가로등, 검사공정) = 390 10.2 소음 = 393 10.2.1 소음의 개요 = 393 10.2.2 소음과 청력 손실 = 396 10.2.3 소음의 영향 = 398 10.2.4 소음의 허용기준 = 401 10.2.5 소음의 성가심 = 405 10.2.6 소음 문제와 처리(방지대책) = 405 10.3 기후조건(온열조건) = 409 10.3.1 고열환경 = 409 10.3.2 열교환 과정 = 413 10.3.3 열 스트레스(고온 스트레스) = 420 10.3.4 열 스트레스에 대한 예방대책 = 425 10.3.5 저온환경 = 432 10.4 운동 및 방향감각 = 434 10.4.1 운동 및 방향감각 = 435 10.4.2 전신진동 = 436 10.4.3 가속도 = 440 연습문제 = 442 제11장 작업관리 11.1 작업관리의 개요 = 445 11.1.1 작업관리의 의의 = 445 11.1.2 작업관리의 역사 = 448 11.2 작업관리의 문제해결 절차 = 456 11.2.1 직업관리의 목적 = 456 11.2.2 작업관리의 절차 = 457 11.2.3 디자인 프로세스 = 459 11.2.4 문제의 분석 도구 = 462 11.2.5 대안의 도출방법 = 468 11.3 작업형태와 작업조직 = 473 연습문제 = 475 제12장 작업분석 12.1 작업분석의 개요 = 477 12.1.1 작업분석의 의의 = 477 12.1.2 작업분석의 추진방법 = 478 12.1.3 작업분석의 순서체계 = 479 12.2 공정분석 = 480 12.2.1 공정분석의 의의 = 480 12.2.2 공정분석의 목적 = 481 12.2.3 공정분석의 체계 = 482 12.3 공정효율 = 484 12.3.1 공정의 유형 = 484 12.3.2 라인생간과 고정효율 = 485 12.3.3 라인밸런스(Line Of Balance : LOB) = 486 12.3.4 라인작업 편성과 개선 = 489 12.4 공정도 = 489 12.4.1 공정도 개요 = 489 12.4.2 간트 차트(Gantt Chart) = 492 12.4.3 작업공정도(Operation Process Chart) = 493 12.4.4 흐름공정도표(Flow Diagram) = 495 12.4.5 흐름공정도(Flow Process Chart) = 496 12.4.6 작업자 공정도(Operator Process Chart) = 499 12.4.7 기타 공정도 = 500 12.5 다중활동분석 = 502 12.5.1 다중활동분석표의 개요 = 502 12.5.2 다중활동분석표 작성방법 = 503 12.5.3 최적 기계대수 = 506 연습문제 = 509 제13장 동작분석 13.1 동작분석 = 511 13.1.1 동작분석의 개요 = 511 13.1.2 동작분석 기법 = 513 13.1.3 동작분석기법 선택상의 주의 = 514 13.2 서블릭(Therblig) 분석 = 515 13.2.1 기본동작분석(Therblig 분석) = 516 13.2.2 개별적인 서블릭 개선 착안법 = 518 13.2.3 서블릭 분석과정 = 518 13.3 필름/비디오분석 = 519 13.3.1 미세동작분석(Micro motion study) = 520 13.3.2 메모모션분석(Memo motion study) = 521 13.3.3 기타 필름/비디오분석법 = 522 13.4 동작경제의 원칙 = 525 13.4.1 동작경제의 원칙 개요 = 525 13.4.2 동작 경제 3원칙 = 525 연습문제 = 532 제14장 작업측정 14.1 표준시간의 개요 = 535 14.1.1 표준시간의 구성 및 용도 = 536 14.1.2 표준시간의 측정방법 = 537 14.2 시간연구법 = 540 14.2.1 스톱워치에 의한 시간연구 = 541 14.2.2 시간 자료의 기록 = 541 14.2.3 관측횟수의 결정 = 546 14.3 작업수행도 평가(레이팅 계수) = 553 14.3.1 레이팅 계수(Rating Scale) =554 14.3.2 레이팅 방법 = 555 14.4 여유시간 = 559 14.4.1 여유시간의 분류 = 560 14.4.2 여유율의 표시방법 및 표준시간의 계산 = 560 14.4.3 일반여유 = 562 14.4.4 특수여유 = 563 14.4.5 ILO 여유율 = 563 14.5 워크샘플링(Work Sampling)법 = 570 14.5.1 워크샘플링 개요 = 570 14.5.2 워크샘플링의 이론적 배경 = 572 14.5.3 워크샘플링에 의한 표준시간 산정 = 576 14.5.4 샘플링 방법 = 577 14.6 표준자료법 = 578 14.6.1 PTS법의 개요 =579 14.6.2 WF(Work Factor) = 581 14.6.3 MTM(Method Time Measurement) = 597 연습문제 = 622 제15장 인간공학적 작업설계 및 개선 15.1 인간공학적 작업설계 원리 = 625 15.2 공학적 개선 원칙 = 626 15.3 관리적인 개선 원칙 = 635 15.4 작업환경개선 지침(KOSHA Code H-39-2005) = 636 15.4.1 목적 = 636 15.4.2 적용범위 = 636 15.4.3 용어의 정의 = 637 15.4.4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작업환경 개선 = 637 15.4.5 개선방법 = 639 15.4.6 작업환경개선계획 작성과 시행ㆍ평가 = 644 연습문제 = 646 부록 = 647 참고문헌 = 675 연습문제 해답 = 699 찾아보기 = 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