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생체재료과학

생체재료과학 (Loan 5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Temenoff, J.S. Mikos, Antonios G., 저 이우걸, 역 김해원, 역 이해형, 역 장영욱, 역 장은주, 역 장준혁, 역
Title Statement
생체재료과학 / J.S. Temenoff, A.G. Mikos 공저 ; 이우걸 [외] 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홍릉과학출판사,   2011  
Physical Medium
xx, 588 p. : 삽화, 도표 ; 26 cm
Varied Title
Biomaterials : the intersection of biology and materials science
ISBN
9788972839415
General Note
역자: 이우걸, 김해원, 이해형, 장영욱, 장은주, 장준혁  
원서총서표제: Pearson Prentice Hall bioengineering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Biomedical materials Biocompatible Materials
000 01366camcc2200421 c 4500
001 000045646748
005 20110513111702
007 ta
008 110506s2011 ulkad b 001c kor
020 ▼a 9788972839415 ▼g 93550
035 ▼a (KERIS)BIB000012375435
040 ▼a 222001 ▼c 222001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0.284 ▼2 22
085 ▼a 610.284 ▼2 DDCK
090 ▼a 610.284 ▼b 2011
100 1 ▼a Temenoff, J.S.
245 1 0 ▼a 생체재료과학 / ▼d J.S. Temenoff, ▼e A.G. Mikos 공저 ; ▼e 이우걸 [외] 공역
246 1 9 ▼a Biomaterials : ▼b the intersection of biology and materials science
260 ▼a 서울 : ▼b 홍릉과학출판사, ▼c 2011
300 ▼a xx, 588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0 ▼a 역자: 이우걸, 김해원, 이해형, 장영욱, 장은주, 장준혁
500 ▼a 원서총서표제: Pearson Prentice Hall bioengineering
504 ▼a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650 0 ▼a Biomedical materials
650 1 2 ▼a Biocompatible Materials
700 1 ▼a Mikos, Antonios G., ▼e
700 1 ▼a 이우걸, ▼e
700 1 ▼a 김해원, ▼e
700 1 ▼a 이해형, ▼e
700 1 ▼a 장영욱, ▼e
700 1 ▼a 장은주, ▼e
700 1 ▼a 장준혁, ▼e
740 2 ▼a Pearson Prentice Hall bioengineering
900 1 0 ▼a 테메노프, J. S., ▼e
900 1 0 ▼a 미코스, 안토니오스 G.,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212096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212096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3/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410779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3/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410779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513580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212096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212096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3/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410779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3/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410779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0.284 2011 Accession No. 1513580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01 생체의학용 재료
 1.1 서론: 생체재료 = 1
  1.1.1. 주요 정의 = 2
  1.1.2. 생체재료개발의 역사와 현황 = 3
  1.1.3. 향후 전망 = 8
 1.2 생체재료의 생물학적 반응 = 8
 1.3 생체재료 제품의 시험과 FDA승인 = 9
 1.4 생체재료의 종류 = 10
  1.4.1. 금속 = 10
  1.4.2. 세라믹 = 11
  1.4.3. 고분자 = 13
  1.4.4. 천연고분자 vs. 합성고분자 = 13
 1.5 생체재료의 가공 = 15
 1.6 생체재료의 주요 성질 = 15
  1.6.1. 생체재료의 열화특성(degradative properties) = 15
  1.6.2. 생체재료의 표면특성 = 16
  1.6.3. 생체재료의 벌크특성 = 17
  1.6.4. 분석기술 = 18
 1.7 화학적 원리 = 18
  1.7.1. 원자구조 = 19
  1.7.2. 원자모델 = 19
  1.7.3. 원자오비탈 = 21
  1.7.4. 원자가전자(valence electrons)와 주기율표 = 24
  1.7.5. 이온결합 = 26
  1.7.6. 공유결합 = 29
  1.7.7. 금속결합 = 34
  1.7.8. 2차 결합 = 34
 요약 = 35
 문제 = 36
 참고문헌 = 37
 Additional Reading = 38
Chapter 02 생체재료의 화학 구조
 2.1 서론: 생체재료의 결합과 구조 = 41
 2.2 금속의 구조 = 42
  2.2.1. 결정 구조 = 42
  2.2.2. 결정계(Crystal Systems) = 46
  2.2.3. 결정구조의 결함 = 52
  2.2.4. 고상 확산 = 55
 2.3 세라믹의 구조 = 60
  2.3.1. 결정구조 = 60
  2.3.2. 결정구조의 결함 = 66
 2.4 고분자의 구조 = 69
  2.4.1. 일반적 구조 = 69
  2.4.2. 고분자 합성 = 81
  2.4.3. 공중합체 = 84
  2.4.4. 중합방법 = 85
  2.4.5. 결정구조와 결함 = 86
 2.5 물질의 구조분석 = 88
  2.5.1. X-선 회절 = 89
  2.5.2.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V-VIS) = 95
  2.5.3. 적외선 분광법(IR) = 99
  2.5.4. 핵자기공명법(NMR) = 104
  2.5.5. 질량분석법(Mass Spectrometry) = 111
  2.5.6. 고성능액체크로마트그래피(HPLC): 크기배제크로마토그래피 = 113
 요약 = 117
 문제 = 119
 참고문헌 = 122
 Additional reading = 123
Chapter 03 생체재료의 물리적 특성
 3.1 서론: 원자에서 재료에까지 = 125
 3.2 결정성과 선결함 = 126
  3.2.1. 전위(Dislocations) = 126
  3.2.2. 변형(deformation) = 130
 3.3 결정성과 면결함(Crystallinity and Planar Defects) = 133
  3.3.1. 외부표면(External surface) = 133
  3.3.2. 입계(Grain Boundaries) = 133
 3.4 결정성과 부피결함(Crystallinity and Volume Defects) = 136
 3.5 결정성과 고분자 재료 = 137
  3.5.1. 결정도 = 138
  3.5.2. 결정성 모델: 사슬접힌 모델(Chain-folded model of Crystallinity) = 140
  3.5.3. 고분자 결정에서의 결함 = 142
 3.6 결정과 비결정 재료의 열전이 = 143
  3.6.1. 점성 유동(viscous flow) = 143
  3.6.2. 열 전이(Thermal transitions) = 144
 3.7 분석 기법: 열분석의 기초 = 149
  3.7.1.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150
 문제 = 155
 참고문헌 = 156
 Additional reading = 157
Chapter 04 생체재료의 기계적 성질
 4.1 서론: 기계적 시험의 종류 = 159
 4.2 기계적 특성 시험법, 결과 및 계산 = 160
  4.2.1. 인장 및 전단 특성 = 161
  4.2.2. 굽힘 특성 = 181
  4.2.3. 경시적(time-dependent)특성 = 183
  4.2.4. 기공의 영향과 기계적 성질의 변화 = 195
 4.3 파절과 실패 = 196
  4.3.1. 연성 파절과 취성 파절 = 196
  4.3.2. 폴리머 잔금 = 199
  4.3.3. 응력 집중 = 199
 4.4 피로와 피로 시험 = 201
  4.4.1. 피로 = 201
  4.4.2. 피로 시험 = 201
  4.4.3. 피로수명에 미치는 요인 = 202
 4.5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 204
 4.6 기술: 기계적 특성 분석의 소개 = 206
  4.6.1. 기계적인 시험 = 206
 요약 = 207
 연습문제 = 209
 참고문헌 = 211
 Additional reading = 212
Chapter 05 생체재료의 분해(Biomaterial Degradation)
 5.1 서론: 생물학적 환경에서의 분해 = 213
  5.2.1. 부식에 관한 기초 지식 = 215
  5.2.2. Pourbaix 도표와 부동태화(Pourbaix Diagrams and Passivation) = 221
  5.2.3. 공정변수의 영향 = 223
  5.2.4. 기계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 = 226
  5.2.5. 생물학적 환경의 영향 = 227
  5.2.6. 부식방지를 위한 방안 = 228
  5.2.7. 세라믹 분해(Ceramic Degradation) = 229
 5.3 고분자 분해(Degradation of Polymers) = 230
  5.3.1. 고분자 분해의 주요 요인들 = 230
  5.3.2. 가수분해에 의한 사슬절단(Chain Scission by Hydrolysis) = 230
  5.3.3. 산화에 의한 사슬절단(Chain Scission Oxidation) = 232
  5.3.4.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 234
  5.3.5. 다공성의 영향(Effects of Porosity) = 235
 5.4 생분해성 물질(Biodegradable Materials) = 235
  5.4.1. 생분해성 세라믹(Biodegradable Ceramics) = 236
  5.4.2.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ble Polymers) = 237
 5.5 분해정도의 측정법 = 241
 요약 = 241
 문제 = 242
 참고문헌 = 244
 Additional reading = 245
Chapter 06 생체재료의 가공
 6.1 서론: 생체재료 가공의 중요성 = 247
 6.2 벌크 특성을 향상시키는 공정 = 248
  6.2.1. 금속 = 248
  6.2.2. 세라믹스 = 252
  6.2.3. 고분자 = 252
 6.3 성형 = 253
 6.4 금속 가공 = 253
  6.4.1. 금속의 성형 = 253
  6.4.2. 금속 주조(casting) = 256
  6.4.3. 금속의 분말 공정 = 257
  6.4.4. 금속의 쾌속조형기술(rapid prototyping) = 258
  6.4.5. 금속의 용접(welding) = 258
  6.4.6. 금속의 기계가공(machining) = 259
 6.5 세라믹 공정 = 259
  6.5.1. 유리 성형 기술 = 259
  6.5.2. 세라믹의 캐스팅(casting)과 소성(firing) = 261
  6.5.3. 세라믹의 분말 공정 = 262
  6.5.4. 세라믹의 쾌속제조 기술 = 262
 6.6 고분자 공정 = 263
  6.6.1. 열가소성과 열경화성(thermoplasts and thermosets) = 263
  6.6.2. 고분자 형상화 = 264
  6.6.3. 고분자 캐스팅 = 265
  6.6.4. 고분자의 쾌속 제조 기술 = 268
 6.7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 = 269
  6.7.1. 멸균(sterilization) = 269
  6.7.2. 천연 재료의 고정 = 271
 요약 = 271
 문제 = 272
 참고문헌 = 273
 Additional reading = 273
Chapter 07 생체재료의 표면성질(Surface Properties of Biomaterials)
 7.1 서론: 표면화학 및 생물학의 개념 = 275
  7.1.1. 단백질 흡착과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 = 276
  7.1.2. 단백질 흡착을 결정하는 표면성질 = 276
 7.2 물리화학적 표면개질법 = 279
  7.2.1. 표면개질법에 관한 개요 = 279
  7.2.2. 물리화학적 표면코팅: 공유결합성 표면코팅 = 279
  7.2.3. 물리화학적 표면코팅(physicochemical surface coating): 비공유성 표면코팅(non-covalent surface coating) = 287
  7.2.4. 막을 형성하지 않는 물리화학적 표면개질법(physicochemical Surface Modification Methods with No Overcoat) = 290
  7.2.5. 표면개질을 위한 레이저법(Laser Methods for Surface Modification) = 293
 7.3 생물학적 표면개질법(Biological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s) = 294
  7.3.1. 공유결합성 생물피막(Covalent Biological Coatings) = 295
  7.3.2. 비공유결합성 생물학적 피막형성(Non-Covalent Biological Coatings) = 297
  7.3.3. 효소 고정화(Immobilized Enzymes) = 298
 7.4 표면성질과 분해(Surface Properties and Degradation) = 299
 7.5 표면 패터닝법(Patterning Techniques for Surfaces) = 299
 7.6 표면특성화에 관한 개요 = 301
  7.6.1. 접촉각 분석(Contact Angel Analysis) = 303
  7.6.2.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y) = 307
  7.6.3. 화학분석을 위한 전자분광법(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ESCA) 또는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 310
  7.6.4. 감쇠전반사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Attenuated Total Internal ATR-FTIR) = 314
  7.6.5. 이차 이온 질량분광광도법(Secodnary Ion Mass Spectrometry, SIMS) = 317
  7.6.6. 전자현미경: 투과현미경과 주사현미경(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39
  7.6.7. 원자탐침 현미경(Scanning Probe Miscroscopy, SPM): 원자힘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 323
 요약 = 329
 문제 = 330
 참고문헌 = 333
 Additional reading = 334
Chapter 08 단백질과 생체재료와의 결합
 8.1 서론: 단백질 흡착에 열역학 = 337
  8.1.1. 깁스의 자유에너지와 단백질의 흡착 = 338
  8.1.2. 단백질 흡착의 성격 = 340
 8.2 단백질의 구조 = 343
  8.2.1. 아미노산화학 = 343
  8.2.2. 1차 구조 = 344
  8.2.3. 2차 구조 = 346
  8.2.4. 3차 구조(Tertiary Structure) = 351
  8.2.5. 4차 구조(Quaternary Structure) = 353
 8.3 단백질 운반과 흡착 동역학 = 354
  8.3.1. 표면으로의 운반 = 354
  8.3.2. 흡착 동역학 = 356
 8.4 단백 흡착의 가역성 = 358
  8.4.1. 가역과 비가역적 결합 = 358
  8.4.2. 탈착과 교환 = 359
 8.5 Techniques: 단백질의 타입과 양에 대한 assays(단백질의 정성과 정량분석) = 362
  8.5.1.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친화 Chromatography = 363
  8.5.2. Colorimetric Assays = 369
  8.5.3. 형광 aasays = 370
  8.5.4.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 371
  8.5.5.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 373
 요약 = 375
 문제 = 376
 참고문헌 = 377
 Additional reading = 378
Chapter 09 생체재료와 세포와의 결합
 9.1 서론: 세포-표면 간의 결합과 세포기능 = 379
 9.2 세포 구조 = 380
  9.2.1. 세포막 = 381
  9.2.2. 세포골격 = 383
  9.2.3. 미토콘드리아 = 383
  9.2.4. 핵 = 384
  9.2.5. 소포체 = 388
  9.2.6. 소낭 = 390
  9.2.7. 막수용체와 세포접촉 = 391
 9.3 세포 외 환경 = 395
  9.3.1. 콜라겐 = 395
  9.3.2. 엘라스틴 = 397
  9.3.3. 프로테오글리칸 = 397
  9.3.4. 당단백질들(Glycoproteins) = 400
  9.3.5. 다른 세포 외 기질 성분들 = 402
  9.3.6. 기질 재구성(Matrix remoding) = 403
  9.3.7. 생체물질로서의 세포 외 기질 분자 = 404
 9.4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환경 상호작용 = 406
  9.4.1. 세포 생존(Cell Survival) = 406
  9.4.2. 세포 증식 = 407
  9.4.3. 세포분화 = 410
  9.4.4. 단백질 합성 = 412
 9.5 부착, 퍼짐과 이동의 모델 = 420
  9.5.1. 기본부착모델 : DLVO 이론 = 420
  9.5.2. DLVO 이론의 한계와 발전된 모델 = 421
  9.5.3. 세포 퍼짐과 이동 모델 = 422
 9.6 기술 : 세포-재료 상호작용의 효과를 결정하는 분석법들 = 427
  9.6.1. 세포독성분석 = 427
  9.6.2. 부착/퍼짐 분석법 = 430
  9.6.3. 이동분석법 = 431
  9.6.4. DNA와 RNA 분석법 = 433
  9.6.5. 단백질 생성 분석 : 면역염색법 = 437
 요약 = 438
 문제 = 440
 참고문헌 = 442
 Additional reading = 443
Chapter 10 생체재료 이식과 급성염증
 10.1 서론: 자연면역 및 획득면역에 관한 개요 = 445
  10.1.1. 백혈구의 특징 = 447
  10.1.2. 자연면역의 구성 = 448
 10.2 염증반응의 임상적 징후 및 원인 = 448
 10.3 조직대식세포 및 호중구의 역할 = 449
  10.3.1. 호중구의 이동 = 450
  10.3.2. 호중구의 작용 = 452
 10.4 다른 백혈구들의 역할 = 454
  10.4.1. 단핵구/대식구 = 454
  10.4.2. 대식세포의 작용 = 454
  10.4.3. 기타 과립구 = 457
 10.5 급성염증의 종료 = 457
 10.6 분석 기법: 염증반응 분석을 위한 시험관내(In Vitro) 방법들 = 458
  10.6.1. 백혈구 검사 = 458
  10.6.2. 기타 분석 기법 = 460
 요약 = 460
 문제 = 462
 참고문헌 = 463
 Additional reading = 463
Chapter 11 창상치유(wound healing)와 생체재료
 11.1 서론: 육아조직 형성 = 465
 11.2 이물반응(Foreign Body Reaction) = 467
 11.3 섬유성 피막형성(Fibrous Encapsulation) = 469
 11.4 만성염증반응(Chronic Inflammation) = 471
 11.5 네 종류의 해소 = 471
 11.6 수복과 재생: 피부의 창상치유 = 472
  11.6.1. 피부수복 = 473
  11.6.2. 피부재생(Skin Regeneration) = 474
 11.7 염증반응에 대한 생체 내 실험 = 476
  11.7.1. 동물모델 개발에서의 고려사항 = 477
  11.7.2. 평가방법 = 480
 요약 = 483
 문제 = 484
 참고문헌 = 485
 Additional reading = 486
Chapter 12 생체재료에 대한 면역반응
 12.1 서론: 획득면역에 관한 개요 = 489
 12.2 항원표지와 림프구 성숙 = 491
  12.2.1. 조직적합성 항원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분자 = 491
  12.2.2. 림프구 성숙과정 = 494
  12.2.3. 클론 집단의 활성화 및 형성 = 496
 12.3 B 세포와 항체 = 496
  12.3.1. B 세포의 종류 = 496
  12.3.2. 항체의 특성 = 498
 12.4 T 세포 = 501
  12.4.1. T 세포의 종류 = 501
  12.4.2. 보조 T 세포($$T_h$$) = 501
  12.4.3. 세포독성 T 세포($$T_c$$) = 503
 12.5 보체계(Complement System) = 503
  12.5.1. 전형적 경고(고전경로, Classical Pathway) = 503
  12.5.2. 대체경로(alternative pathway) = 506
  12.5.3. 막공격 복합체(Membrane Attack Complex) = 506
  12.5.4. 보체계 조절 = 508
  12.5.5. 보체계의 효과 = 508
 12.6 생체재료에 대한 불필요한 면역반응 = 509
  12.6.1. 생체재료에 대한 자연면역과 획득면역 반응 = 509
  12.6.2. 관민반응(hypersensitivity) = 510
 12.7 분석 기법: 면역반응 분석을 위한 검사 = 514
  12.7.1. 시험관 내(in vitro) 분석 = 514
  12.7.2. 생체 내(in vivo) 분석 = 515
 요약 = 516
 문제 = 518
 참고문헌 = 519
 Additional reading = 519
Chapter 13 생체재료와 혈액응고
 13.2 혈소판의 역할 = 522
  13.2.1. 혈소판의 특성과 기능 = 522
  13.2.2. 혈소판 활성화(Platelet Activation) = 522
 13.3 혈액응고 다단계 반응(Coagulation Cascade) = 524
  13.3.1.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 = 525
  13.3.2. 외인성 경로(Extrinsic Pathway) = 526
  13.3.3. 공통경로(Common Pathway) = 527
 13.4 혈액응고를 제한하기 위한 방안 = 529
 13.5 내피의 역할 = 530
 13.6 혈액적합성 평가 = 532
  13.6.1. 일반적인 평가사항 = 532
  13.6.2. In vitro 평가 = 533
  13.6.3. In vivo 평가 = 534
 요약 = 536
 문제 = 537
 참고문헌 = 540
 Additional reading = 540
Chapter 14 생체재료에 의한 감염, 암화, 그리고 석화화
 14.1 서론: 생체재료 이식으로 일어날 수 있는 다른 문제들에 대한 개관 = 543
 14.2 감염 = 544
  14.2.1. Common pathogens and Categories of infection = 544
  14.2.2. Steps to Infection = 545
  14.2.3.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al Surface, the 생체재료 Surface, and the Media = 546
  14.2.4. Specific and Non-Specific Interactions Involved in Bacterial Adhesion = 551
  14.2.5. 이식관련 감염의 요점 = 552
 14.3 감염실험을 위한 방법 = 553
  14.3.1. 박테리아 표면의 특성 = 553
  14.3.2. In Vitro and Vivo Models of Infection = 555
 14.4 종양형성 = 557
  14.4.1. 종양형성의 정의와 과정 = 557
  14.4.2. 화학적 vs. 이물질에 의한 종양형성 = 558
  14.4.3. 이물질 종양형성을 위한 시간대 = 558
  14.4.4. 생체재료 관련 종양형성의 요점 = 559
 14.5 종양형성 시험을 위한 방법 = 560
  14.5.1. 생체 외 시험모델 = 561
  14.5.2. 생체 내 시험모델 = 561
 14.6 병리적 석회화 = 562
  14.6.1. 병리적 석회화의 서론 = 562
  14.6.2. 병리적 석회화의 기전 = 563
  14.6.3. 병적인 석회화를 줄이기 위한 기술과 요약 = 563
 14.7 병적 석회화 실험을 위한 기술(Techniques for Pathologic Clcification Experiments) = 564
  14.7.1. 석회화의 세포 외 모델(In Vitro Models of calcification) = 564
  14.7.2. 석회화의 생체 내 모형(In Vivo Models of calcification) = 564
  14.7.3. 표본 평가 = 565
 요약 = 567
 문제 = 569
 참고문헌 = 570
 Additional reading = 571
Appendix 부록 = 573
찾아보기 = 57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히든그레이스. 데이터분석팀 (2022)
이충열 (2023)
강연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