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7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46642 | |
005 | 20110506161747 | |
007 | ta | |
008 | 110504s201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64541104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2375454 | |
040 | ▼a 222001 ▼c 222001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52.1409519 ▼2 22 |
085 | ▼a 352.140953 ▼2 DDCK | |
090 | ▼a 352.140953 ▼b 2011 | |
100 | 1 | ▼a 지병문 |
245 | 1 0 | ▼a 도시와 지방의 정치이론 / ▼d 지병문 |
246 | 1 1 | ▼a Political theories of cities and localities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11 | |
300 | ▼a viii, 369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140953 2011 | 등록번호 1116225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140953 2011 | 등록번호 1116225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지병문(지은이)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광주 서중, 광주 제일고등학교 졸업 전남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뉴욕주립대학교(Stony Brook) 정치학 박사 한국정치학회 이사 한국지방자치학회 이사 17대 국회의원(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교육위원회, 정무위원회, 문화관광위원회, 방송통신특별위원회 위원) -저서 및 논문 '한국 지방자치의 이해 , 풀빛, 1992 '현대 한국정치의 새로운 인식 , 박영사, 2001(공저) '한국 지역사회 엘리트: 특성과 구조 , 도서출판 오름, 2004(공저) '한국 지역사회 주민 참여 , 도서출판 오름, 2005(공저) '한국 지역사회 이익단체: 활동과 영향 , 도서출판 오름, 2005(공저) '한국 지역사회 정치문화: 특성과 유형 , 도서출판 오름, 2005(공저) 등 “Institutions and Reform: Reinventing Local Government,” Urban Affairs Review, vol. 34, no. 3, January 1999, pp. 433-455(공저) “The Political Economy of Intergovernmental Grant Seeking: Targeting and Suburbs, 1977 and 1982,”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34, no. 2, May 1990, pp. 408-420(공저) “지방정부에 대한 시민접촉 모델: 광주의 경험,” 한국정치학회보 제39집 제1호, 2005, pp. 233-251 “한국 지방정부의 개혁, 성과와 과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2권 제3호, 2000, pp. 29-43 등

목차
목차 제1장 지방정부의 가치 1. 지방정부의 가치 = 4 2. 지방정부와 지방의 정치 = 15 참고문헌 = 19 제2장 민주주의와 지방정부 1. 민주주의의 의미 = 28 2. 지방정부의 민주성 = 31 3. 지방정치의 민주성 제고 = 36 참고문헌 = 42 제3장 지역사회의권력구조: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 1. 엘리트이론과 도시 및 지방정치 = 50 2. 다원주의와 도시 및 지방정치 = 58 3. 다원주의와 민주주의 = 70 참고문헌 = 75 제4장 성장기제이론과 레짐이론 1. 성장기제이론 = 82 2. 레짐이론 = 89 3. 레짐이론과 다원주의 = 98 참고문헌 = 104 제5장 관료에 대한 정치적 통제와 기업 1. 관료에 대한 통제 = 111 2. 기업의 힘 = 117 3. 제도변화를 통한 통제 = 122 참고문헌 = 125 제6장 통합과 분할의 정치: 규모와 효율성 그리고 민주성 1. 통합의 논리 = 132 2. 공공선택이론 = 137 3. 통합의 정치 = 142 참고문헌 = 147 제7장 지방정부의 자율성과 중앙-지방의 관계 1.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 = 152 2. 중앙정부에 대한 지방정부의 정치적 접근 = 161 3. 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평가 = 170 참고문헌 = 174 제8장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관계 1. '재정자립도' 의문제점 = 181 2. 재정능력의 비교 = 185 3. 재정적 불균형의 실태 = 188 4. 재정지원의 필요성 = 192 5. 재정지원의 실태 = 195 6. 지방세와 지방재정 = 197 참고문헌 = 202 제9장 중간 지방정부와 기초 지방정부의 관계: 미국과 한국의 비교 1. 지방정부의 계층과 중간 및 기초 지방정부 사이의 관계 = 209 2. 중간 지방정부의 전통적 기능과 지위 = 211 3. 새로운 서비스 공급자로서의 중간 지방정부 = 213 4. 중간 지방정부와 기초 지방정부의 관계 = 216 5. 시ㆍ도와 시ㆍ군ㆍ구의 관계정립 방안 = 223 참고문헌 = 229 제10장 정부개혁과 지방정치 1. 정부개혁의 배경 = 238 2. 정부개혁과 대의 민주주의 = 243 3. 지방정부의 개혁과 지방정치 = 247 참고문헌 = 255 제11장 지방정부의 구조개혁: 영국과 미국의 경험 1. 지방정부의 구조 = 261 2. 지방정부 개혁운동 = 268 3. 비교와 평가 = 277 참고문헌 = 283 제12장 세계화와 지방정부의 역할: 지방의 국제화 1. 세계화(globalization)의 ?미 = 291 2. 세계화와 지방화: 민족국가의 해체 = 294 3. 지방정부의 세계화 = 297 4. 지방의 세계화를 위한 조건 = 303 참고문헌 = 310 제13장 한국의 지방의회: 지위와 권한 1. 지방정치와 지방의회 = 315 2. 지방의회의 지위와 권한 = 316 3. 지방의원의 지위 = 324 4. 지방의회와 정당 = 326 5. 국회와 지방의회 = 329 6. 지방의회에 대한 평가 = 333 7. 지방의회의 활성화 방안 = 336 참고문헌 = 338 제14장 한국의 지방선거: 역사와 특징 1. 지방선거의 의미 = 343 2. 지방선거제도 = 346 3. 지방선거의 특징 = 348 4. 지방선거에 대한 평가 = 360 참고문헌 = 362 색인 =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