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행정학의 일반이론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 15
1. 행정의 개념 = 16
2. 행정의 구조와 활동 = 18
3. 공공행정의 발전과 행정국가 = 21
4. 우리나라 행정의 실체 = 27
5. 우리나라 정부의 변천 = 36
제2장 공행정과 사경영 = 45
1. 공행정과 사경영의 관계 = 46
2. 공기업이란 무엇인가 = 48
3. 시민사회단체(NGO)란 무엇인가 = 53
제3장 현대 행정학의 발달 = 61
1.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62
2. 유럽의 행정연구 = 66
3. 미국 행정학의 발달 = 68
4. 현대 행정이론의 변천과정 = 71
5. 한국 행정학의 발달 = 74
제4장 행정이념과 행정문화 = 95
1. 행정이념 = 96
2. 현대행정과 가치 = 100
3. 행정윤리 = 103
4. 행정부패 = 106
5. 행정문화 = 110
제2부 기획과 정책결정 과정
제5장 기획론 = 123
1. 기획의 본질 = 124
2. 기획의 유형 = 126
3. 기획의 원칙과 접근방법 = 128
4. 기획의 과정과 한계 = 130
5. 미래예측기법 = 133
제6장 정책과정 = 139
1. 정책의 개념과 유형 = 140
2. 정책과정의 단계 = 142
3. 정책과정 참여자 = 144
제7장 정책형성 = 149
1. 정책형성의 유형 = 150
2. 대안의 탐색과 분석 = 152
3.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 154
제8장 정책집행ㆍ평가 = 161
1. 정책집행의 의의 = 162
2. 정책집행의 유형 = 163
3. 정책평가의 의의 = 165
4. 정책평가의 방법 및 과정 = 167
제3부 조직의 기초이론
제9장 조직의 개념과 원리 = 173
1. 조직의 개념 = 174
2. 조직의 원리 = 174
3. 조직이론의 발전 = 179
제10장 조직의 목표 = 189
1. 목표의 유형 = 190
2. 목표의 기능과 조직효과성 = 191
3. 목표의 변동 = 191
4. 목표의 수와 과다측정 = 193
5. 목표에 의한 관리(MBO) = 194
제11장 조직의 제 유형 = 199
1. 조직의 유형 = 200
2. 관료제 조직 = 202
3. 계선과 참모 조직 = 206
4.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 208
5. 위원회 조직 = 210
6. 애드호크라시와 사업부 조직 = 212
제12장 집권과 분권 = 219
1. 분권화 이론의 성격 =220
2.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221
3. 신중앙집권화와 중앙통제 = 222
4. 일선기관 = 223
5. 광역행정 = 223
제4부 조직관리론
제13장 조직관리와 동기 = 229
1. 조직관리의 개념 및 체계 = 230
2. 조직관리의 인간화 =232
3. 관리자의 기능 = 234
4. 조직과 개인의 관계 = 236
5. 동기부여 이론 = 237
제14장 조직네 권력과 의사결정 = 243
1. 권력의 개념 = 244
2. 조직내 권력관계 = 245
3. 조직과 권위 = 247
4. 의사결정과 인간행태 = 248
5. 집단 의사결정 = 249
6. 조직 의사결정 = 249
제15장 리더십 = 253
1. 개념 = 254
2. 리더십의 유형 = 254
3. 상황조건론 = 255
제16장 의사소통과 공공관계 = 259
1. 개념 = 260
2. 원칙과 통로 = 262
3. 의사소통의 유형 = 264
4. 의사소통의 한계 = 265
5. 행정과 정보 = 266
제17장 갈등관리 = 275
1. 개념 및 특성 = 276
2. 갈등의 유형 = 276
3. 갈등의 기능과 요인 = 278
4. 갈등관리의 전략 = 283
제5부 인사행정
제18장 인사행정 의의와 인사제도 = 289
1. 인사행정의 개념 = 290
2. 인적자원관리 이념과 목표 = 291
3. 중앙인사기관 = 292
4. 인사행정 제도 = 295
5. 공무원 제도 = 301
6. 공무원의 분류 = 304
제19장 모집과 교육훈현 및 보수 = 309
1. 공무원의 모집 = 310
2. 공무원 시험 = 311
3. 임용 = 312
4. 교육훈련 = 316
5. 보수 = 319
6. 승급과 승진 = 322
7. 연금 = 323
제20장 근무성적평정과 공무원의 윤리 = 327
1. 근무성적평정 = 328
2. 공무원 윤리 = 330
제6부 재무행정
제21장 예산과 회계의 종류 = 337
1. 예산의 개념 = 338
2. 예산의 종류 = 339
3. 회계연도 = 340
4. 세입예산과 세출예산 = 341
5. 일반회계 예산과 특별회계 예산 및 기금 = 343
6. 예산의 성립시기에 따른 종류 = 345
7. 예산 불성립시의 종류 = 346
제22장 예산의 분류와 이론 = 351
1. 예산회계의 과목구조 = 352
2. 예산의 내용 = 353
3. 예산의 분류 = 355
4. 예산관련 법률 = 362
제23장 예산의 원칙과 이론 = 365
1. 예산의 원칙 = 366
2. 예산이론 = 370
제24장 예산의 주기 = 371
1. 예산의 주기 = 372
2. 한국의 예산편성 과정 = 373
제25장 예산제도 = 381
1. 품목별예산제도 = 382
2. 성과주의예산제도 = 383
3. 계획예산제도 = 384
4. 영기준예산제도 = 385
제7부 지방자치
제26장 지방자치의 구조 = 389
1. 지방자치의 개념 = 390
2. 지방자치의 유형 = 392
제27장 지방자치의 집행기관 = 395
1. 집행기관의 구성과 역할 = 396
2. 집행기관의 권한 = 397
제28장 지방자치의 의결기관 = 403
1. 지방의회의 구성과 역할 = 404
2. 지방의회의 권한 = 406
제29장 지방자치의 재무 = 409
1. 지방자치단체의 예산편성과 심의과정 = 410
2.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과 자립도 = 412
3. 지방재정조정제도 = 413
제8부 행정책임과 행적개혁
제30장 행정책임 = 419
1. 개념 및 유형 = 420
2. 외부통제(민주통제) = 423
3. 행정참여 = 427
제31장 행정개혁 = 431
1. 개념 및 목표 = 432
2. 행정개혁의 촉진요인 = 433
3. 행정개혁의 과정 = 435
4. 행정개혁 성공의 조건 = 436
5. 행정개혁사업과 개혁방안 = 440
부록 1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인터넷 홈페이지 = 447
부록 2 의전관련 영문표기 = 454
참고문헌 = 457
찾아보기 =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