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84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45819 | |
005 | 20121105160239 | |
007 | ta | |
008 | 110429s2011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5556891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386025 | |
040 | ▼a 211041 ▼c 211041 ▼d 211041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71.3209519 ▼a 495.7071 ▼2 23 |
085 | ▼a 371.320953 ▼2 DDCK | |
090 | ▼a 371.320953 ▼b 2011 | |
100 | 1 | ▼a 김혜련 |
245 | 1 0 | ▼a 일제 강점기 조선어과 교과서와 조선인 / ▼d 김혜련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11 | |
300 | ▼a 363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부록: 학부편찬국, 『보통교육학』(1910), 조선총독부 편찬,『교육학교과서(조선역문)』(1912) 영인본 수록 외 | |
504 | ▼a 참고문헌: p. 283-295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320953 2011 | 등록번호 1116234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320953 2011 | 등록번호 1116234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1.320953 2011 | 등록번호 1212214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1.320953 2011 | 등록번호 1513115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320953 2011 | 등록번호 1116234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320953 2011 | 등록번호 1116234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1.320953 2011 | 등록번호 1212214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1.320953 2011 | 등록번호 1513115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어 교과서를 둘러싼 일부 통념들, 이를테면 국어 교과서를 언어 교육을 위한 가치 중립적 텍스트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식적인 교재, 아니면 보다 위험한 방식이지만 국가 주도 하에 만들어진 ‘객관적 진리’의 구성물로 이해하는 관습에 대한 전복적 사고를 요구한다. 적어도 역사의 어떤 특정 시기에서 국어 교과서는 국가 권력에 적합한 국민을 창출하기 위해 기획된 이념적 텍스트로 복무했다. 일제 강점기에는 더욱 그러했다. 저자는 책을 통해 일제 강점기 조선어과 교과서를 통한 조선어과 교육과 조선인의 관계에 대한 탐색을 시도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서문 01 '국어' 교과서와 '국가' 그리고 '국민' = 17 1. 제도 교과로서의 '국어', 그 정체성에 대한 회의 = 17 2. '국어' 교과서와 '국민' 사이, 국어교육학의 존재와 학문적 과제 = 31 02 일제 강점기 중등학교 교육 정책과 조선어과 교육의 제도화 = 45 1. 중등학교 교육 정책 실행과 조선어과 교육의 제도화 = 45 2. 교육의 정치적 활용과 조선어과 교육과정ㆍ조선어과 교과서 = 98 03 조선어과 교과서의 내용 조직과 텍스트 유형 = 143 1. 교과서의 체제 및 단원 구성 = 143 2. 조선어과 교육의 이념적 활용과 텍스트 유형 배치 = 162 04 조선어과 교과서와 '조선인' 형성 기획 = 207 1.『여자고등조선어독본』과 '신민지 조선 여성'의 재구성 = 210 2.『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과 '식민지 조선인'의 재구성 = 239 05 국어과 교육과 '국민' 형성 기획 = 275 참고문헌 = 283 부록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