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379camcc2200397 c 4500 | |
001 | 000045645230 | |
005 | 20110428183441 | |
007 | ta | |
008 | 110428s2011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5677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375481 | |
040 | ▼a 222001 ▼c 222001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1.2/00973 ▼2 22 |
085 | ▼a 371.200973 ▼2 DDCK | |
090 | ▼a 371.200973 ▼b 2011 | |
100 | 1 | ▼a Hall, Gene E., ▼d 1941- ▼0 AUTH(211009)108513 |
245 | 1 0 | ▼a 학교 변화와 혁신 : ▼b 패턴, 원리, 당면과제 / ▼d Gene E. Hall, ▼e Shirley M. Hord 공저 ; ▼e 양성관 [외] 공역 |
246 | 1 9 | ▼a Implementing change : ▼b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g (2nd ed.)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1 | |
300 | ▼a 540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역자: 양성관, 손희권, 박종필, 이용운, 이경호, 전상훈, 윤수정 | |
500 | ▼a 부록: 관심 단계 질문지, 관심 단계 질문지 채점 방식 안내, 혁신 활용의 수준 외 | |
504 | ▼a 참고문헌(p. 521-53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chool improvement programs ▼z United States |
650 | 0 | ▼a Educational leadership ▼z United States |
700 | 1 | ▼a Hord, Shirley M., ▼e 저 ▼0 AUTH(211009)124298 |
700 | 1 | ▼a 양성관, ▼e 역 |
700 | 1 | ▼a 손희권, ▼e 역 |
700 | 1 | ▼a 박종필, ▼e 역 |
700 | 1 | ▼a 이용운, ▼e 역 ▼0 AUTH(211009)43504 |
700 | 1 | ▼a 이경호, ▼e 역 |
700 | 1 | ▼a 전상훈, ▼e 역 |
700 | 1 | ▼a 윤수정,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00973 2011 | 등록번호 1116235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00973 2011 | 등록번호 1116235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학교 변화의 축을 ‘관계’와 ‘소통’에 두었으며, 세 가지(방향, 대상, 방법) 키워드로 변화 과정을 기술하고 여러 가지 변화 혁신 관련 도구와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학교 변화는 이벤트 행사처럼 단숨에 치르고 끝나는 성질이 아니며, 눈으로 보이는 가시적인 결과가 변화의 전부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변화는 지속적인 관계와 소통의 깊은 곳에서 무성한 주름처럼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 때 비로소 나타난다. 이 책은 이 부분을 제1, 2장과 제12장에서 언급하고 있는데, 학교혁신에 대한 개발과 이행이 서로 다른 사람이더라도 신뢰가 바탕이 된 관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둘째, 변화의 진정한 가치는 개인이 아니라 집단이다. 개인이 변화혁신을 이행하였다고 학교조직 전체가 달라지지 않는다. 이 책은 이 부분을 제3, 4, 5장과 제11장에서 언급하고 있다. 학교사회의 변화는 각 개인이 혁신에 참여하여 진행하는 것이지만 집단의 공감과 협력으로 함께 이행하지 않으면 변화의 성과는 이루어낼 수 없다. 이 때문에 전문적인 연수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을 강조하고, 조직개발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셋째, 변화는 시스템적 접근이어야 한다. 변화 혁신은 절대적 권위를 가진 한 개인의 부르짖음이나 강한 신념을 가진 몇몇 사람이 의욕만 앞세우고 주먹구구식으로 추진한다고 해서 되는 그런 성질이 아니다. 이 책은 이 부분을 제6, 7, 8, 9, 10장에서 언급하고 있다. 어떤 것 하나가 바뀐다고 변화가 현실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화의 도구를 체계적으로 다루어 이를 현장에 반영시켰을 때 비로소 분위기가 일고, 변화가 서서히 진행된다는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Shirley M. Hord(지은이)
텍사스 주의 오스틴에 있는 남서교육개발센터의 수석개발연구원이자 학교현장 변화혁신 조정자다. 그녀는 교육변화, 학교개선 및 학교의 리더십에 관련된 전문적인 개발활동을 기획하고 조정(coordinator)하며, 연구소의 대상지역에서 행해지는 학교개선 프로젝트의 작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녀의 이전 직책은 텍사스 대학교의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개발연구센터 공동연구책임자였다. 거기에서 그녀는 학교변화에 있어서 학교리더십의 역할과 학교개선에 관한 연구를 관장하고 수행하였다. 그녀는 Journal of Teacher Education의 편집 및 출판위원이며, 각 지역 학교개선의 실천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 연수회 그리고 정책을 개발하고자 하는 국제적인 노력인 OECD/CERI 국제 학교개선 프로젝트 미국측 대표이기도 하다.
Gene E. Hall(지은이)
케인즈 빌에 있는 플로리다 대학교 교육행정학과 교수이자 동 대학교 사범대학의 학교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센터 소장이다. 그가 현재 진행 중인 연구와 교수활동은 학교 개선의 지원자로서 학교 교장의 역할과 교육청 사람들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다. 1968년부터 1986년까지 그는 텍사스 대학교의 교사교육을 위한 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이때 그는 관심에 기초한 학교혁신모형의 연구와 개발의 주요 기획자였다. 또한 텍사스 대학교 연구센터에서 2년 동안 연구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양성관(옮긴이)
고려대에서 영어영문학(학사), 교육학(석사)을 공부하고 텍사스대(University of Texas- Austin) 교육행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 사범대학 교직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대학선진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공저, 2009),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공저, 2011),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공저, 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학교변화와 혁신》(공역, 2011), 《지식사회와 학교교육》(공역, 2011)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제1부 변화 실행을 위한 맥락 01 변화 혁신의 이해 = 25 변화의 원리 = 28 요약 = 51 02 전문적 연수 공도체 개발 및 조직 문화의 이해 = 55 맥락? 풍토? 문화? = 58 조직의 맥락 = 59 전문적 연수 공동체의 맥락과 문화 = 67 전문적 연수 공동체에서의 리더십 = 75 협동적 문화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 = 81 끝맺음 = 83 요약 = 84 제2부 변화를 이해하는 서로 다른 관점 03 시스템적 사고 = 91 시스템적 사고와 관련해 통용되는 용어 = 93 시스템적 관점에 대한 면밀한 검토 = 95 교육 시스템 구성 요소 = 97 학교에서의 시스템적 작업 = 100 시스템적 작업의 결과 = 106 시스템적 작업의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 = 108 시스템적 작업의 한계 = 114 요약 = 121 04 변화 혁신의 보급 및 확산 = 125 혁신에 대한 의사소통 = 128 채택자들의 특성 = 138 알림 = 141 변화 주도자의 역할 = 148 요약 = 153 05 조직개발 = 157 조직개발이란 무엇인가 = 159 집단/팀 및 개인별 훈련 과정 기술 = 168 전체 조직의 변화를 위해 조직개발 사용하기 = 174 조직개발 과정 컨설턴트 = 188 요약 = 193 제3부 변화 혁신 참여자를 이해하기 위한 도구와 기법 06 변화 혁신의 실행 = 203 변화 현신: 무엇이 변화 혁신이고, 무엇이 그렇지 않은가 = 205 학교혁신 적응 = 206 개념으로서 혁신실행 = 209 혁신실행 지도 제작 = 214 혁신실행: 적용과 함의 = 231 충실도에 대한 의문점 = 234 요약 = 238 07 변화 혁신 참여자의 관심 수준 이해 = 241 변화에 대한 개인적 측면 = 244 혁신에 대한 관심 단계 = 244 관심과 변화 과정 = 251 왜 그것을 '관심 단계'라고 부르는가 = 258 한 단계 이상의 관심이 있을 수 있는가 = 260 전형적인 관심 단계 분석표 제시가 가능한가 = 261 관심 단계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 = 262 관심 단계 분석표에서 저항 또는 거부의 의미 = 275 요약 = 285 08 변화 혁신 참여자의 활용 수준 이해 = 289 활용 수준의 개념 = 292 개인의 활용 수준 진단하기 = 302 활용 수준의 적용 = 309 활용 수준에 대한 추가 설명 = 317 요약 = 327 제4부 변화에 필요한 리더십 원칙 09 변화 촉진자 행위 기술 = 335 촉진 활동의 정의 = 337 촉진 활동의 이행 = 341 촉진 활동의 여섯 가지 기능 = 342 부가적인 촉진 활동 = 354 촉진 활동의 규모 = 356 촉진 활동의 구조 = 362 요약 = 368 10 변화 촉진자 유형 정의 = 371 리더와 리더십에 관한 연구의 역사 = 375 변화 촉진자 유형의 개념 = 379 변화 촉진자 유형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 391 변화 촉진자 유형으이 하위 차원 = 397 변화의 주요한 요인으로서 변화 촉진자 유형 = 402 요약 = 412 11 변화 혁신의 구성 요소 이해 = 417 버섯 소개하기: 특별한 형태의 촉진 활동 = 420 버섯 촉진 활동 구성 요소 = 424 버섯 촉진 활동의 생명주기 = 428 촉진 활동 버섯 구성의 열쇠 = 432 죽순처럼 자라는 버섯 다루기 = 444 시들지 않는 고집불통의 버섯 = 448 요약 = 453 제5부 도구와 관점 결합하기 12 변화 혁신의 평가 및 전망 = 459 촉진 활동의 상이한 단위 = 460 격차 좁히기: 평가, 실행 그리고 성과로의 연결 = 465 조직 문화에 대한 반성: 그 구성과 전문적 연수 공동체 = 477 포스트모더니즘: 또 다른 변화 관점 = 489 변화 실행에 대한 전망 = 493 요약 = 498 부록 = 501 참고문헌 = 521 찾아보기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