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ⅲ
저자 서문 = ⅴ
저자 저자의 한국어판 서문 = ⅸ
1 들어가기 = 1
1. 동기과학 = 4
2. 두 가지 계속적인 물음 = 6
무엇이 행동을 일으키는가 = 6
왜 행동의 강도가 변동하는가 = 7
3. 주제내용 = 9
내적 동기 = 10
외적 사건 = 11
4. 동기의 표현 = 12
행동 = 13
관여 = 14
뇌의 활성과 생리학 = 14
자기보고 = 15
5. 동기 연구의 주제 = 16
동기는 적응을 돕는다 = 16
동기는 주의를 지시하고 행동을 준비시킨다 = 17
동기는 시간에 따라 변하고 진행 중인 행동의 흐름에 영향을 준다 = 18
동기의 유형들이 존재한다 = 20
동기는 접근경향성과 회피경향성을 포함한다 = 21
동기 연구는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밝혀준다 = 22
동기는 번영을 위해서 지지 조건이 필요하다 = 22
좋은 이론보다 더 실용적인 것은 없다 = 24
6. 종합: 동기 연구를 이해하기 위한 틀 = 25
요약 = 26
2 동기의 역사적 조망과 현대적 조망 = 28
1. 동기개념의 철학적 기원 = 29
2. 큰 이론들 = 31
의지 = 31
본능 = 32
추동 = 35
추동이론의 퇴조 = 39
추동이론 이후 시대 = 40
3. 작은 이론들 = 42
사람의 능동적 본성 = 43
인지적 혁명 = 44
사회적으로 적절한 응용 연구 = 45
4. 현대 = 46
1990년대 동기 연구의 재출현 = 49
새로운 패러다임 = 50
결론 = 52
요약 = 53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55
3 동기와 정서 뇌 = 56
1. 동기와 정서 뇌 = 59
세 가지 원리 = 60
2. 뇌의 내부를 들여다보기 = 61
3. 뇌에 의해 발생되는 접근의 회피 = 64
시상하부 = 65
내측전뇌 신경다발 = 66
안와전두피질 = 67
편도체 = 67
중격-해마 회로 = 69
전대상피질 = 70
망상체 = 71
전전두피질과 정서 = 71
4. 신경전달물질 = 74
도파민 = 75
도파민 방출과 유인 = 76
도파민 방출과 보상 = 76
도파민과 동기화되는 행위 = 78
중독 = 79
좋아하기와 원하기 = 79
5. 신체 호르몬 = 79
6. 뇌가 살고 있는 세상 = 80
동기는 자신이 포함된 사회의 맥락과 분리될 수 없다 = 82
행동의 동기적 기반을 항상 의식적으로 자각하는 것은 아니다 = 83
결론 = 84
요약 = 84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 거리 = 86
제1부 욕구
4 생리적 욕구 = 89
1. 욕구 = 92
욕구 구조 = 92
2. 조절의 원리 = 94
생리적 욕구 = 95
심리적 추동 = 95
항상성 = 96
부적 피드백 = 96
다중 입력/다중 출력 = 97
유기체 내적 기제 = 98
유기체 외적 기제 = 98
항상성 기제: 신체의 지혜 = 99
3. 갈증 = 99
생리적 조절 = 100
환경적 영향 = 102
4. 배고픔 = 104
단기 식욕 = 105
장기 에너지 균형 = 107
배고픔 조절의 포괄적 모형 = 108
환경적 영향 = 109
기준점인가, 안정점인가 = 112
5. 성 = 114
생리적 조절 = 114
얼굴 지표 = 116
성 각본 = 120
성적 지향성 = 121
성적 동기 부여의 진화적 기초 = 122
6. 생리적 욕구의 자기조절 실패 = 124
요약 = 125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 거리 = 127
5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128
1.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131
내재적 동기 = 132
무엇이 내재적 동기에서 중요한가 = 133
외재적 동기 = 135
2. 동기의 외적 조절: 유인, 결과 및 보상 = 136
유인 = 136
강화물은 무엇인가 = 137
강화물을 제공하여 행동을 관리하기 = 138
결과 = 140
보상 = 143
보상이 작용을 하는가 - 보상이 바람직한 행동을 촉진하는가 = 144
3. 보상의 숨겨진 대가 = 146
기대된 유형적 보상 = 149
함의 = 149
유인, 결과 및 보상의 이점 = 151
4. 인지평가이론 = 153
통제 사건과 정보 사건의 두 가지 예 = 155
5. 외재적 동기의 유형 = 157
외적 조절 = 159
내사 조절 = 159
동일시 조절 = 160
통합 조절 = 160
6. 흥미 없는 활동을 하도록 다른 사람을 동기화시키기 = 161
7. 흥미를 육성하기 = 163
요약 = 165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167
6 심리적 욕구 = 168
1. 심리적 욕구 = 170
동기에 대한 유기체적 접근 = 171
개인-환경 대립 = 171
유기체의 심리적 욕구 = 173
2. 자율성 = 173
선택이라는 수수께끼 = 175
자율성 지지하기 = 176
자율성 지지의 이점 = 182
두 가지 예 = 183
3. 유능성 = 185
유능성에 관여하기 = 185
유능성을 지지하기 = 190
4. 관계성 = 192
관계성에 참여하기: 타인과의 상호작용 = 193
관계성을 지지하기: 사회적 결속의 지각 = 194
공유 관계와 교환 관계 = 195
내면화 = 196
5. 종합: 심리적 욕구를 지지하는 사회적 맥락 = 197
관여 = 197
무엇이 좋은 날을 만드는가 = 199
활기 = 200
요약 = 200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202
7 사회적 욕구 = 203
1. 획득된 욕구 = 206
유사욕구 = 207
사회적 욕구 = 208
사회적 욕구가 행동을 동기화시키는 방식 = 209
2. 성취 = 210
성취욕구의 기원 = 211
Atkinson의 모형 = 213
행위역동 모형 = 216
성취욕구를 포함하고 만족시키는 조건 = 218
성취목표 = 219
성취동기에 대한 고전적 접근과 현대적 접근의 통합 = 222
회피동기와 안녕 = 224
암묵이론들 = 226
상이한 암묵이론들은 상이한 성취목표들을 의미한다 = 227
노력의 의미 = 229
3. 친애와 친밀 = 230
친애욕구와 친밀욕구를 포함하는 조건 = 231
친애욕구와 친밀욕구를 만족시키는 조건 = 233
4. 권력 = 234
권력욕구를 포함하고 만족시키는 조건 = 235
권력과 목표추구 = 238
리더십 동기 패턴 = 238
요약 = 240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242
제2부 인지
8 목표설정과 목표추구 = 245
1. 동기에 대한 인지적 관점 = 247
2. 계획 = 248
교정동기 = 250
불일치 = 252
두 가지 유형의 불일치 = 253
3. 목표설정 = 254
목표-수행 불일치 = 254
어렵고 구체적인 목표의 수행 증진 = 256
피드백 = 258
목표수용 = 259
비판점 = 262
장기목표설정 = 263
4. 목표추구 = 265
정신적 시뮬레이션: 행위에 초점 = 265
실행의도 = 267
목표추구: 시작하기 = 269
목표추구: 지속하기와 끝내기 = 270
5. 종합: 효과적인 목표설정 프로그램의 고안 = 271
요약 = 273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274
9 개인적 통제신념 = 276
1. 개인적 통제행상 동기 = 278
두 종류의 기대 = 279
지각된 통제: 자기, 행위와 통제 = 280
2. 자기효능 = 281
자기효능의 정보원 = 283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효과 = 286
자기효능과 유능성에 대한 심리적 욕구 = 290
임파워먼트 = 291
임파워링하기: 숙달모델링 프로그램 = 292
3. 숙달신념 = 293
대처방식 = 294
숙달 대 무기력 = 294
4. 학습된 무기력 = 296
무기력의 학습 = 297
인간에 대한 적용 = 299
구성요소 = 301
무기력의 효과 = 303
무기력과 우울증 = 305
설명양식 = 307
비판점과 대안적 설명 = 308
5. 저항이론 = 311
저항과 무기력 = 312
6. 종합: 희망 = 314
요약 = 316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318
10 자기와 자기 추구 = 319
1. 자기 = 321
자기존중과 관련된 문제 = 323
2. 자기개념 = 325
자기도식 = 326
자기도식의 동기적 속성 = 327
일관된 자기 = 328
자기검증을 하는 이유 = 331
가능한 자기 = 332
인지부조화 = 335
3. 정체성 = 340
역할 = 340
정체성-확인 행동 = 342
정체성-회복 행동 = 342
4. 주체성 = 343
행위로서의 자기와 내부로부터의 발달 = 343
자기일치 = 346
5. 자기조절 = 352
자기조절: 반추를 통한 선견 = 352
보다 유능한 자기조절의 발달 = 353
요약 = 355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357
제3부 정서
11 정서의 본질: 다섯 가지 불변의 질문 = 361
1. 다섯 가지 질문 = 363
2. 정서의 정의 = 364
정서의 정의 = 366
정서의 동기의 관계 = 367
3. 정서의 원인 = 369
생물학과 인지 = 369
이중체계 관점 = 372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 373
포괄적 생물학-인지 모델 = 374
4. 정서의 종류 = 375
생물학적 관점 = 375
인지적 관점 = 377
정서의 개수 문제에 대한 절충 = 378
기본 정서 = 380
5. 정서의 장점 = 386
대처 기능 = 387
사회적 기능 = 388
우리에게 정서가 있는 이유 = 390
6. 정서와 기분의 차이 = 393
일상의 기분 = 393
긍정적 감정 = 395
요약 = 398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400
12 정서의 여러 측면 = 401
1. 정서의 생물학적 측면 = 403
제임스-랑게 이론 = 404
현대적 관점 = 405
차별적 정서이론 = 409
안면 피드백 가설 = 411
2. 정서의 인지적 측면 = 419
평가 = 420
복합적 평가 = 422
평가 과정 = 426
정서지식 = 429
귀인 = 432
3. 정서의 사회적ㆍ문화적 측면 = 434
사회적 상호작용 = 437
정서의 사회화 = 438
정서 관리 = 440
요약 = 442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443
제4부 개인차
13 성격 특성 = 447
1. 행복감, 각성, 통제에서의 개인차 = 449
2. 행복감 = 450
외향성과 행복감 = 452
신경증과 고통감 = 454
대체로 행복한 외향성자와 대체로 불행한 신경증자 = 455
3. 각성 = 456
수행과 정서 = 457
불충분한 자극과 낮은 각성 = 458
과도한 자극과 지나친 각성 = 460
역U자형 곡선 가설의 신뢰성 = 461
감각추구 = 463
정서강도 = 465
4. 통제 = 469
지각된 통제 = 469
통제욕구 = 472
요약 = 475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477
14 무의식적 동기 = 479
1. 정신역동적 관점 = 481
정신분석이 정신역동으로 = 482
이중본능이론 = 482
추동 또는 소망 = 484
현대의 정신역동이론 = 485
2. 무의식 = 486
프로이드 학파의 무의식 = 487
적응적 무의식 = 489
암묵적 동기 = 490
잠재의식적 동기 = 492
3. 정신역동 = 493
억압 = 494
사고억제 = 495
원초아와 자아는 실제로 존재하는가 = 497
4. 자아심리학 = 498
자아발달 = 498
자아방어 = 500
자아효율 = 504
5. 대상관계이론 = 505
6. 비판점 = 509
요약 = 511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512
15 성장 동기와 긍정 심리 = 514
1. 총체주의 인식론과 긍정심리학 = 517
총체주의 인식론 = 518
긍정심리학 = 518
2. 자기실현 = 519
인간욕구의 위계 = 520
성장촉진 = 523
3. 실현 경향성 = 524
자기출현 = 527
가치 조건 = 528
일치 = 531
온전히 기능하는 개인 = 532
4. 인과관계 지향성 = 532
5. 성장추구 대 확인추구 = 536
6. 대인관계는 어떻게 자기실현 경향성을 지원하는가 = 538
타인 돕기 = 539
타인과 관계 맺기 = 539
학습의 자유 = 540
자기정의와 사회적 정의 = 541
7. 악의 문제 = 542
8. 긍정심리와 성장 = 544
낙관주의 = 545
의미 = 546
의미추구적 안녕 = 548
긍정심리 치료 = 549
9. 비판점 = 549
요약 = 550
추가 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 552
16 결론 = 554
1. 동기의 이해와 응용 = 555
동기 설명하기: 우리는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을 왜 하는가 = 556
동기 예측하기: 선행요인 확인하기 = 557
동기 적용하기: 문제해결하기 = 558
2. 자기와 타인 동기화하기 = 560
자기 동기화하기 = 560
타인 동기화하기 = 562
자기와 타인을 동기화하기 위한 노력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 = 564
3. 동기적 개입 설계하기 = 565
네 가지 사례 연구 = 566
네 가지 성공 사례 = 567
4. 동기와 정서의 과학적 연구로부터 얻은 지혜 = 574
참고 문헌 = 576
찾아보기 =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