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Loan 3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McCarthy, Michael, 1947- 김지홍, 역
Title Statement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 마이클 머카씨 지음 ; 김지홍 뒤침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광명 :   경진,   2010  
Physical Medium
399 p. : 삽화 ; 24 cm
Series Statement
거시언어학 ;2
Varied Title
Spoken language and applied linguistics
ISBN
9788959960743
General Note
담화ㆍ텍스트ㆍ화용 연구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64-384)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Colloquial language Language and languages -- Study and teaching
000 01105camcc2200349 c 4500
001 000045644474
005 20110425195524
007 ta
008 110425s2010 ggka b 001c kor
020 ▼a 9788959960743 ▼g 93370
035 ▼a (KERIS)BIB000011998931
040 ▼a 211023 ▼c 211023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a eng ▼h eng
082 0 4 ▼a 401.41 ▼2 22
085 ▼a 401.41 ▼2 DDCK
090 ▼a 401.41 ▼b 2010z2
100 1 ▼a McCarthy, Michael, ▼d 1947- ▼0 AUTH(211009)74784
245 1 0 ▼a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 ▼d 마이클 머카씨 지음 ; ▼e 김지홍 뒤침
246 1 9 ▼a Spoken language and applied linguistics
260 ▼a 광명 : ▼b 경진, ▼c 2010
300 ▼a 399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거시언어학 ; ▼v 2
500 ▼a 담화ㆍ텍스트ㆍ화용 연구
504 ▼a 참고문헌(p. 364-384)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650 0 ▼a Colloquial language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x Study and teaching
700 1 ▼a 김지홍, ▼e▼0 AUTH(211009)141898
900 1 0 ▼a 머카씨, 마이클, ▼e
900 1 0 ▼a Kim, Jee-Hong,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1 2010z2 Accession No. 1116230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1 2010z2 Accession No. 11162309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2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어휘 및 입말 담화에서 큰 업적을 이룬 응용언어학 대가 마이클 머카씨 교수의 저작. 특히 영국의 입말 말뭉치를 구축하고(노팅엄 담화뭉치로 부름), 그 말뭉치 속에 있는 언어 사용 방식들을 거시적 차원의 담화 시각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해 줌으로써, 언어 사용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일반 인지전략의 구현 방식임을 입증해 준다.

형식 언어학의 한계
인간만이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언어’는 1950년대에 지성사의 연구 초점을 협소한 경험주의 또는 행동주의로부터 벗어나, 더 심층에 있는 이성주의 또는 합리주의의 연구로 전환케 만든 중요한 대상이다. 그렇지만 인간의 머릿속에 있는 이성에 대한 탐색으로 언어를 다룰 때에, 머릿속 언어만을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1인칭 진술 속에만 갇혀 있다는 비난을 받거나 보다 설득력 있는 상호주관적 자료를 확보할 수 없는 한계가 지적되곤 하였다.

일상언어 철학 또는 화용론
1980년대 이래로 언어에 관심을 둔 흐름들에서는 꾸준히 언어 자료를 광범위하게 모아 전산 처리를 통해 언어의 본질과 언어 사용에 대한 핵심을 드러내려고 노력해 왔다. 뿐만 아니라 언어의 참모습이 진공 속에 갇혀 있는 순수한 모습이라기보다는 실제 인간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적나라한 변이체(참된 실생활 자료)들이라는 자각이 일찍이 형식 언어학에 반발하여 사회언어학이란 이름으로 시작되었고, 분석철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언어 사용의 이면에 들어 있는 질서를 찾아내는 흐름이 일상언어 철학 또는 화용론이란 이름으로 개척되어 왔다.

담화는 언어교육에 응용되어야 하는 중요한 분야
21세기에 들어서서 이런 흐름을 포괄하기 위하여 언어학ㆍ철학ㆍ심리학ㆍ사회학ㆍ인공지능 등에서 서로 비슷하게 ‘담화’ 또는 ‘텍스트’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하였다. 한마디로 말하여, 담화 영역에서는 1차적으로 언어와 비언어의 본질에 대하여 자각하고, 이런 도구들을 사용하는 일에 대하여 깨우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담화는 직접적으로 언어교육에 응용되어야 하는 중요한 분야인 것이다.

말뭉치 속에 있는 언어 사용 방식들을 거시적 차원의 담화 시각에서 실증적으로 분석
영국 노팅엄 대학의 마이클 머카씨 교수는 특히 어휘 및 입말 담화에서 큰 업적을 이룬 응용언어학 대가이다. 이 책에서는 특히 영국의 입말 말뭉치를 구축하고(노팅엄 담화뭉치로 부름), 그 말뭉치 속에 있는 언어 사용 방식들을 거시적 차원의 담화 시각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해 줌으로써, 언어 사용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일반 인지전략의 구현 방식임을 입증해 준다. 어휘, 관용구, 인용 표현, 시제 형태소의 연결 등도 모두 담화의 전개를 뒷받침해 주는 다양한 도구들로서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해 나가는 실체들인 것이다. 여기서 다뤄지는 자료는 영국의 입말 연결체들이지만(따라서 영어교육에 필수적이지만), 그 밑에 깔려 있는 보편 질서는 어느 언어 사용에서든지 다시 검토되고 확정될 수 있는 실체들이다.

이 책이 갖는 의의
누구나 어려움 없이 쓰고 있기 때문에, 언어는 일견 매우 단순해 보일지 모른다. 그렇지만 언어와 언어 사용의 꺼풀을 한 켜씩 벗겨내게 되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층위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작동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또한 이런 복잡한 일을 아무 어려움 없이 잘 해 나가는 인간의 능력을 찬탄치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렇지만, 언어 교육은 그런 무의식적이고 절차 지식에 속한 내용들을 하나씩 하나씩 의식적으로 재점검하며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힘을 길러 주는 의도적 과정이다. 이 책은 이런 관점에서 좋은 표본을 제공해 주며, 또한 여느 책자에서는 찾을 수 없는 지적 즐거움까지 안겨 준다. 언어와 언어 사용에 관심을 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 진지하게 읽어봐야 할 시의적절한 책자인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마이클 머카씨(지은이)

영국 노팅엄 대학 영어학과 응용언어학 교수이다. 그는 1966년 영어교육 전문직을 시작하였고, 그 이래로 스페인,네덜란드,영국,스웨덴,말레지아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 웨일즈 대학, 버밍험 대학, 노팅엄 대학에서 가르쳐 왔다. 다음과 같이 여러 권의 책들을 출간하였다. 1988년 「어휘 및 언어교육(Vocabulary and Language Teaching)」(Longman), 로널드 카터(Ronald Carter)와 공저임. 1990년 「어휘(Vocabulary)」(Oxford University Press), 김지홍 뒤침(2003), 범문사. 1991년 「언어교사들을 위한 담화 분석(Discourse Analysis for Language Teachers)」(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년 「담화로서의 언어(Language as Discourse)」(Longman), 로널드 카터와 공저임. 1994년 「실용 영어 어휘(English Vocabulary in Use)」(Cambridge University Press), 푈리써티 오델(Felicity O'Dell)과 공저임. 1997년 「제2 언어 어휘(Second Language Vocabulary)」(Cambridge University Press), 노벗 슈밋(Norbert Schmitt)과 공저임. 또한 어휘 및 입말 담화에 대하여 학술 논문이 많이 있다. 그는 또한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에서 펴내는 이중언어로 된 ‘유관낱말 총괄사전(thesauruses)’에 대한 ‘낱말 경로/낱말 선택(Word Routes/Word Selector)’의 총서 편집자이기도 하다.

김지홍(옮긴이)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재직중임. 그간 40여 권의 저역서 중에서 10종의 책(★)이 대한민국학술원 및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됨. 한국연구재단의 서양편 명저번역 2종(☆)을 출간했고, 한문 번역서로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된 것 이외에 몇 권이 있음. ‘언어와 현대사상’에 관심을 갖고서 뤄쓸, 무어, 카아냅, 그롸이스, 타아스키, 콰인, 참스키, 췌이프 등의 업적을 중심으로 하여 번역하려고 하며, 북경대 표점본 ≪13경 주소≫를 통독하는 일도 현안임. [저서] ★김지홍(2010) ≪국어 통사・의미론의 몇 측면: 논항구조 접근≫(경진출판) ★김지홍(2010) ≪언어의 심층과 언어교육≫(경진출판) ★김지홍(2014)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경진출판) ★김지홍(2015)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경진출판) ★김지홍(2020)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접속문과 내포문 1~2≫(경진출판) [언어와 현대사상] ★무어(1953; 김지홍 뒤침, 2019) ≪철학에서 중요한 몇 가지 문제≫(경진출판) 참스키(2000) ≪언어 및 정신 연구에서 탐구할 만한 몇 가지 새로운 지평≫(번역중) [심리학(언어의 산출 및 이해), 그리고 담화 분석] ☆르펠트(1989; 김지홍 뒤침, 2008) ≪말하기 그 의도에서 조음까지 1~2≫(나남) ☆킨취(1998; 김지홍・문선모 뒤침, 2011) ≪이해: 인지 패러다임 1~2≫(나남) ★클락(2003; 김지홍 뒤침, 2009) ≪언어 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경진출판) ★머카씨(1998; 김지홍 뒤침, 2010)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 교육≫(경진출판) ★페어클럽(2001; 김지홍 뒤침, 2011) ≪언어와 권력≫(경진출판) 페어클럽(2003; 김지홍 뒤침, 2012) ≪담화 분석 방법: 사회 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경진출판) 페어클럽(1980; 김지홍 뒤침, 2017) ≪담화와 사회 변화≫(경진출판) ★위도슨(2004; 김지홍 뒤침, 2018)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경진출판) [언어교육 평가 및 현장조사 연구] 월리스(1998; 김지홍 뒤침, 2000) ≪언어 교육현장 조사 연구 방법≫(나라말) 루오마(2001; 김지홍 뒤침, 2011) ≪말하기 평가≫(글로벌콘텐츠) 벅(2001; 김지홍 뒤침, 2013) ≪듣기 평가≫(글로벌콘텐츠) 앤더슨・브롸운・쉴콕・율(1984; 김지홍・서종훈 뒤침, 2014) ≪모국어 말하기 교육≫(글로벌콘텐츠) 브롸운・율(1984; 김지홍・서종훈 뒤침, 2014) ≪영어 말하기 교육≫(글로벌콘텐츠) 올더슨(2001; 김지홍 뒤침, 2015) ≪읽기 평가 1~2≫(글로벌콘텐츠) [한문 번역] 유희(1824; 김지홍 뒤침, 2008) ≪언문지≫(지만지, 지식을만드는지식) 최부(1489; 김지홍 뒤침, 2009) ≪최부 표해록≫(지만지) 장한철(1771; 김지홍 뒤침, 2009) ≪표해록≫(지만지) 노상추(1746~1829; 김지홍 외 4인 뒤침, 2017) ≪국역 노상추 일기 1, 2, 3≫(국사편찬위원회)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일러두기 = 5
알림 = 6
제1장 서론 = 13
 1-1 이 책의 탄생 = 13
 1-2 조감도 = 14
 1-3 노팅엄 담화뭉치와 구축 맥락 = 21
 1-4 노팅엄 담화뭉치와 생성 특징 = 25
 1-5 입말 말뭉치에 있는 지속적인 문제점들 = 32
 1-6 녹취 기록: 무한성 포착 시도에서 블랙홀 = 34
 1-7 응용언어학에서 입말의 지위 = 39
 1-8 입말과 의사소통 중심 교육 = 43
 1-9 담화 분석과 대화 분석, 그리고 결론 = 47
제2장 입말, 그리고 갈래의 개념 = 57
 2-1 도입 = 57
 2-2 입말 갈래에 대한 이론 = 59
 2-3 상호작용에서 목표 지향성 = 65
 2-4 사회적 협약으로서의 갈래 = 70
 2-5 더 높은 층위의 특징 및 더 낮은 층위의 특징들을 통합하기 = 82
 2-6 결론 = 101
제3장 입말에 대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 105
 3-1 도입 = 105
 3-2 입말: 핵심적인 기술 영역 = 107
 3-3 논점들을 한데 모아 놓기: 교육 모형 만들기 = 137
제4장 문장 문법이 언제 담화 문법으로 되는가? = 141
 4-1 도입 = 141
 4-2 패러다임과 실제 선택 = 142
 4-3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하는 문법 규칙들 = 149
 4-4 입말 문법 및 글말 문법 = 159
 4-5 문법 및 담화에서의 기술 단위 = 165
 4-6 문법상의 수수께끼 = 173
 4-7 마무리 = 181
제5장 입말 및 글말 영어에서 일부 동사형태의 공기관계 유형 = 183
 5-1 도입 = 183
 5-2 분명한 평행성의 사례: 서사이야기의 '상황-사건' 유형 = 186
 5-3 'used to'와 'would': 또 다른 서사이야기 유형 = 196
 5-4 미래를 이야기하기: 동등한 기능과 관련된 추가 문제 = 206
 5-5 논점들을 한데 모아놓기 = 216
 5-6 마무리 = 217
제6장 어휘와 입말 = 221
 6-1 도입 = 221
 6-2 발화 기능과 실사어휘 밀집성 = 224
 6-3 반복ㆍ재어휘화ㆍ주제 타개책 = 230
 6-4 두 사람 이상의 화자: 어휘 유형화에 대한 청자의 기여 = 238
 6-5 굳어진 표현들 = 246
 6-6 입말 어휘 교과과정 = 251
 6-7 결론 = 260
제7장 자주 쓰이는 관용구 : 담화에 근거하여 언어교육의 전통 영역을 재검토함 = 263
 7-1 도입 = 263
 7-2 자주 사용되는 관용구: 평가하는 힘 = 268
 7-3 일상 이야기와 구체적 사례에서의 관용구 = 272
 7-4 '협동 착상'을 담은 담화들에서의 관용구 = 286
 7-5 관용구ㆍ의미 타개ㆍ합치 = 290
 7-6 실마리 이끌어내기: 담화에서 관용구의 전반적 기능 = 293
제8장 그래서 매뤼가 말하더군요 : 일상대화에 있는 인용 = 301
 8-1 도입 = 301
 8-2 말하기와 글쓰기 = 305
 8-3 진행형 '-ing' 형식의 인용동사를 지닌 인용문 = 320
 8-4 다른 인용동사 = 328
 8-5 시제와 인용동사 = 336
 8-6 '내가/네가 말하듯이' 인용의 담화 기능 = 339
 8-7 논점들을 한데 모아놓기 = 348
용어 해설 = 353
노팅엄 담화뭉치에 대한 참고문헌(1994∼1998) = 364
참고문헌 = 366
찾아보기 = 385
지은이ㆍ뒤친이 소개 = 39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